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고령자 기본권 보장 체계와 법제 및 고령자 법령정보접근권의 보장 : 고령자기본법 제정을 제안하며 = A study on the guarantee of the basic rights of the elderly and the legal system and the right to access legal information of the elderly : proposing the enactment of The Basic Act on the elderly / 방동희 ; 권건보 1
ABSTRACT 1
Ⅰ. 서언 2
Ⅱ. '고령자'의 개념 - 새로운 용어 - 3
Ⅲ. '고령자'의 기본권 - 새로운 관점과 시각 - 6
Ⅳ. 고령자 기본권 보장 법률 체계 및 내용 8
1. 고령자로서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보장하는 법률과 내용 9
2. 고령자의 주거권 보장 법률과 그 내용 10
3. 고령자의 보건권 보장 법률과 그 내용 12
4. 고령자의 근로권 보장 법률과 그 내용 14
5. 고령자의 교육받을 권리를 보장하는 법률과 그 내용 16
6. 고령자 기본권 보장 법제의 문제점과 한계 (중결 및 정리) 18
Ⅴ. 고령자 기본권으로서 법령정보접근권의 모색과 법제화 방안 18
1. 법령정보접근권의 개념과 의미 19
2. 고령자의 법령정보접근권 보장 21
Ⅵ. 결어 (고령자 기본권의 체계적 보장을 위한 (가칭) 고령자기본법 제정 검토) 22
참고문헌 24
국문초록 25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권건보․방동희, “고령자의 헌법적 지위와 법적 보호에 대한 고찰”, 「공법학연구」 제24권 제1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23. 2. | 미소장 |
2 | 김경호, “연령통합의 관점에서 고찰한 노인복지 관련 실정법상 연령기준의 정책적 함의”, 「법과 정책연구」 제5권 제1호, 2005. | 미소장 |
3 | 김용태,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복지의 헌법적 연구방향 고찰”, 「법학논총」 통권 제31호,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 미소장 |
4 | 김용태, 「노인과 사회적 기본권」, 한국법제연구원, 2018. | 미소장 |
5 | 김정순․박종준, 「고령사회의 노인복지 관련법제의 개선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5. | 미소장 |
6 | 김정현․한은희, “노인복지 사각지대 발굴 가능성 향상을 위한 탐색적 연구: 복지사각지대발굴관리시스템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제76권제3호, 한국노인복지학회, 2021. 9. | 미소장 |
7 | 김주현. “연령주의(agerism) 관점을 통한 노년의 이해”, 「사회와 역사」, 제82집, 2009. | 미소장 |
8 | 김진곤, “노인보호의 헌법적 근거와 노후소득보장의 체계”, 「헌법학연구」 제27권제1호, 한국헌법학회, 2021. | 미소장 |
9 | 방동희, “법령정보접근권과 「대한민국 현행법령집」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논고”, 「공법학연구」 제22권제4호, 2021. 12. | 미소장 |
10 | 서울지방변호사회, 「노인학대법률지원 매뉴얼」, 2021. 03. | 미소장 |
11 | 이세주, “사회적 약자의 기본권과 실질적 보장의 실현 - 노인의 권리 보장 실현을 위한 유럽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공법학연구」 제30권제2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19. | 미소장 |
12 | 이준일, 「헌법과 사회복지법제」, 세창출판사, 2010. | 미소장 |
13 | 장철준, “헌법개정과 연령통합 - 노인 기본권 실현을 위한 대안적 헌법 패러다임의 모색 -”, 「법학논집」 제42권 제2호,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 미소장 |
14 | 표갑수,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나남출판, 2010. | 미소장 |
15 | 허영, 『한국헌법론(전정 13판)』, 박영사, 2017, 564면. | 미소장 |
16 | 홍성대, “복지사각지대 해소 방안으로서의 사례관리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적 과제”, 「입법과 정책」 제3권2호, 2011. 12. | 미소장 |
17 | 홍일선, “고령사회를 대비한 헌법적 논의 - 국가의 노인보호의무와 노인의 사회적 기본권을 중심으로 -, 「공법학연구」 제9권제2호, 한국비교공법학회, 2008. | 미소장 |
18 | UN HABITAT, “The Right to Adequate Housing”, Fact Sheet. 21/Rev.1,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United Nations Office at Geneva.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