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인해 오랜 기간 방송국과 TV 매체 중심이었던 한국 드라마의 양상이 OTT 중심으로 달라지고 있다. 바야흐로 OTT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이 글은 OTT 시대의 드라마를 TV드라마와 OTT드라마로 구분하여 드라마 변화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OTT 시대의 드라마를 TV드라마와 OTT드라마로 구분하여 그 변화와 특징을 시청 방식과 제작 방식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다양한 매체와 플랫폼으로 인해 드라마 시청 방식이 개인 맞춤형으로, 그리고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시청으로 변모하였다. 다시보기와 몰아보기는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시청을 뒷받침한다. 특히 몰아보기를 할 때 건너뛰기와 배속 재생 같은 선택적 시청을 통해 시청자는 드라마 감상자에서 드라마 소비자와 편집자로 탈바꿈하였다. 다음으로 제작 방식에서는 시즌제가 유행하면서 횟수가 유연해지고(주로 짧아지고) 에피소드 형식의 구성이 증가하였으며, 또한 소재 선택과 표현의 자율성이 확보되면서 드라마와 영화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영화 같은 드라마가 양산되었다.

결론을 대신해서 TV드라마와 OTT드라마, 그리고 드라마와 영화의 비교를 통해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드라마의 정체성을 재고하였다. TV드라마와 OTT드라마는 각자의 영역을 확보하며 서로 공존ㆍ상생하고 있으며, 또한 드라마와 영화의 경계가 모호해진 OTT 시대에도 여전히 영화와 구분되는 드라마의 정체성은 바로 서사에 있다. 마지막으로 이 글이 OTT 시대 드라마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작업의 토대가 되고, 나아가 드라마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고민하는 작업에 보탬이 되기를 고대한다.

참고문헌 (2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문성길, 『넷플릭스하다』, 스리체어스, 2017. 미소장
2 이호수, 『넷플릭스 인사이트』, 21세기북스, 2020. 미소장
3 임홍택, 『90년대생이 온다』, 웨일북스, 2018. 미소장
4 한국콘텐츠진흥원 산업진흥정책본부, 『2016 방송영상산업백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미소장
5 이나다 도요시, 황미숙 옮김, 『영화를 빨리 감기로 보는 사람들: 가성비의 시대가 불러온 콘텐츠 트렌드의 거대한 변화』, 현대지성, 2022. 미소장
6 코리 바커ㆍ마이크 비아트로스키 외, 임종수 옮김, 『넷플릭스의 시대』, 팬덤북스, 2019. 미소장
7 김민영, 「플랫폼의 확장과 좀비 서사의 구현 연구-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킹덤> 시즌1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연구』 제77집, 현대문학이론학회, 2019. 미소장
8 김영훈, 「포스트네트워크 시대 텔레비전 드라마 연구」, 『현대영미어문학』 제38권 1호, 현대영미어문학회, 2020. 미소장
9 김원식ㆍ유종민, 「글로벌 OTT의 국내시장 진출과 미디어 지형 변화 예측」, 『방송통신연구』 제91호, 한국방송학회, 2015. 미소장
10 김일중ㆍ손태영ㆍ김치호, 「OTT 플랫폼의 한국 드라마 서비스 확대와 드라마 제작사의 전략 변화: 동적역량관점(Dynamic Capabilities View)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제59호, 인문콘텐츠학회, 2020. 미소장
11 박찬효, 「‘몰아보기(binge viewing)’를 위한 OTT드라마의 스토리텔링 전략 연구: <킹덤>1,2를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제60호, 인문콘텐츠학회, 2021. 미소장
12 서은혜, 「시즌제 시트콤 <프렌즈(Friends)>의 내러티브와 유머 효과: 몰아보기 (Binge Watching) 시청 방식과 관련하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2호, 한국콘텐츠학회, 2020. 미소장
13 유세문, 「OTT 한국 드라마의 서사전략 연구: 넷플릭스 드라마 <킹덤>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019 봄철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한국방송학회, 2019. 미소장
14 윤복실, 「OTT 드라마 <킹덤>의 서사 전략 연구-재매개 이론을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제43호,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0. 미소장
15 윤석진, 「‘놀이’로서의 TV드라마 시청 방식 고찰」, 『한국언어문화』 제47집, 한국언어문화학회, 2012. 미소장
16 이다운, 「<오징어 게임> 연구: 글로벌 플랫폼과 전 세계 시청 공동체의 결연」, 『문화와 융합』 제44권 2호,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미소장
17 장동현, 「올드미디어와 OTT 서비스 콘텐츠 분석-시장변화와 외주제작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미소장
18 황인화, 「경계를 넘은 도전, 신선한 작품이 되다-드라마ㆍ영화 크로스오버 프로젝트 」, 『방송문화』 제422호, 한국방송협회, 2020. 미소장
19 김민지, 「점점 짧아지는 드라마...12부작 콘텐츠 러시 배경은」, 『news1』, 2022.04.09. (검색일: 2023.01.24.) https://www.news1.kr/articles/?4642115. 미소장
20 김수현ㆍ변휘, 「10년 묵은 ‘오징어 게임’이 넷플릭스 갈 수밖에 없던 이유」, 『머니투데이』, 2021.09.30.(검색일: 2023.01.26.)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092923220596929. 미소장
21 나원정, 「이병헌ㆍ연상호…1000만 영화감독들 드라마로 가는 이유는?」, 『중앙일보』, 2019.09.08.(검색일: 2023.01.28.) https://www.joongang.co.kr/article/23573464. 미소장
22 박수현, 「“넷플릭스 잡는다” 티빙ㆍ시즌 합병, 560만 이용자 ‘토종 OTT 1위’ 탄생」, 『조선비즈』, 2022.07.15.(검색일: 2023.01.26.)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2/07/15/ER35GPEIVRAUPENXY C2Z5PHFZI/. 미소장
23 방연주, 「시즌제 드라마 어디까지 갈까」, 『PD저널』, 2021.08.13.(검색일: 2023.01.30.) http://www.p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72804. 미소장
24 이정현, 「한국형 시즌제 드라마, 궤도 진입할까 불시착할까」, 『연합뉴스』, 2019.07.07. (검색일: 2023.01.24.) https://www.yna.co.kr/view/AKR20190704058800005?input=1195m. 미소장
25 이화정, 「OCN 드라마틱 시네마 <타인은 지옥이다> 촬영 현장을 가다」, 『씨네21』, 2019.08.26.(검색일: 2023.01.29.) http://www.cine21.com/news/view/?mag_id=93734. 미소장
26 장우정, 「‘오징어게임’ 황동혁 감독 “10년간 아무도 투자하지 않던 작품, 넷플릭스만 알아봤다”」, 『조선비즈』, 2021.10.03.(검색일: 2023.01.26.) https://biz.chosun.com/it-science/ict/2021/10/03/JEJVOOYU7NEFHD4VN3F7CJWXD4/. 미소장
27 차민영, 「200억 훌쩍 넘은 제작비...K-OTT 기업 투자 활성화돼야」, 『아시아 경제』, 2022.10.13.(검색일: 2023.01.31.) https://www.asiae.co.kr/article/2022101322300498688. 미소장
28 채민기, 「TV 드라마가 짧아진다」, 『조선일보』, 2017.11.09.(검색일:2023.01.24.) https: // www.chosun.com/si te/data/ html _dir/ 2017/ 11/ 08/2017110803764.html. 미소장
29 방송통신심의위원회(방송심의기획팀), 『방송심의에 관한 규정』, 2020.12.28.(검색일:2023.01.30.) https://law.go.kr/%ED%96%89%EC%A0%95%EA%B7%9C%EC%B9%99/%EB%B0%A9%EC%86%A1%EC%8B%AC%EC%9D%98%EC%97%90%20%EA%B4%80%ED%95%9C%20%EA%B7%9C%EC%A0%9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