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청산도 구들장논 석축(石築)의 관속식물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the stone retaining wall of Gudeuljang paddy fields in Cheongsan-Island / 차두원 ; 김지연 1

ABSTRACT 1

국문초록 1

Ⅰ. 서론 1

Ⅱ. 연구방법 2

1. 연구대상지 2

2. 조사방법 및 분석 2

Ⅲ. 결과 및 고찰 3

1. 관속식물상 3

2. 희귀 및 한국특산식물 4

3.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4

4. 암벽식생 4

5. 침입외래식물 5

Ⅳ. 결론 5

REFERENCES 6

부록 1. 청산도 구들장논 석축의 전체 관속식물 목록 7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농촌진흥청(2022). 농업기술길잡이 우리가 알아야 할 농업유산. 진한엠앤비. 미소장
2 조영재, 유학열, 윤원근, 최식인, 이영옥(2012). 청산도 구들장논의 분포와 물리적 구조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8(3): 103-110. 미소장
3 완도군(2014). 국가중요농업유산 제1호 청산도 구들장논 종합계획 및 지표자원 조사. 미소장
4 신재열, 김장수, 고병천, 홍영민(2020). 청산도 구들장논의 수원 및 수리체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6(2): 89-100. 미소장
5 김영모(2017). 알기 쉬운 전통조경 시설사전. 동녘. 미소장
6 장익식, 최기수(2010). 전통조경공간 석축기법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0(1): 146-149. 미소장
7 장익식(2010). 전통조경공간 석축기법 해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조경학석사학위논문. 미소장
8 노재현, 오현경, 최영현, 김영숙(2014). 제주 정의읍성 벽면식생에 근거한 벽면식재용 식물 선정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2(2):33-40. 미소장
9 정광중, 강성기(2020). 제주 돌문화경관 연구. 한그루. 미소장
10 차두원, 최동석, 김지석(2021). 남한산성 성벽의 관속식물 특성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9(1): 20-30. 미소장
11 한국농어촌공사 지역개발지원단(2020). 2020년 세계중요농업유산 구들장논 모니터링 연구용역. 미소장
12 완도군(2021). 완도군 통계연보. 미소장
13 조양훈, 김종환, 박수현(2016). 벼과·사초과 생태도감. 지오북. 미소장
14 김진석, 김중환, 김종현(2018). 한국의 들꽃. 돌베개. 미소장
15 이창숙, 이강협(2018). 한국의 양치식물. 지오북. 미소장
16 김태영, 김진석(2021). 한국의 나무. 돌베개. 미소장
17 국립수목원(2022). 국가표준식물목록. 미소장
18 김철환, 문명옥, 안진갑, 황인천, 이승혁, 최승세, 이중효, 범현민, 김철구, 차진열(2018). 한국산 최신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국립생태원. 미소장
19 이창복(200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미소장
20 김종원(2013). 한국식물생태보감. 자연과생태. 미소장
21 이정윤, 박정원, 명현호, 김하송(2007). 시간경과에 따른 청산도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연구. 19(2): 179-203. 미소장
22 오현경, 한윤희, 최송현(2011). 문경 봉암사 일대의 식물상 유형별 분류 및 보전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4): 447-469. 미소장
23 김종원, 이율경(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 조사와 평가 방법. 월드사이언스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