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청산도 구들장논 석축(石築)의 관속식물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ascular plants in the stone retaining wall of Gudeuljang paddy fields in Cheongsan-Island / 차두원 ; 김지연 1
ABSTRACT 1
국문초록 1
Ⅰ. 서론 1
Ⅱ. 연구방법 2
1. 연구대상지 2
2. 조사방법 및 분석 2
Ⅲ. 결과 및 고찰 3
1. 관속식물상 3
2. 희귀 및 한국특산식물 4
3.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4
4. 암벽식생 4
5. 침입외래식물 5
Ⅳ. 결론 5
REFERENCES 6
부록 1. 청산도 구들장논 석축의 전체 관속식물 목록 7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농촌진흥청(2022). 농업기술길잡이 우리가 알아야 할 농업유산. 진한엠앤비. | 미소장 |
2 | 조영재, 유학열, 윤원근, 최식인, 이영옥(2012). 청산도 구들장논의 분포와 물리적 구조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8(3): 103-110. | 미소장 |
3 | 완도군(2014). 국가중요농업유산 제1호 청산도 구들장논 종합계획 및 지표자원 조사. | 미소장 |
4 | 신재열, 김장수, 고병천, 홍영민(2020). 청산도 구들장논의 수원 및 수리체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6(2): 89-100. | 미소장 |
5 | 김영모(2017). 알기 쉬운 전통조경 시설사전. 동녘. | 미소장 |
6 | 장익식, 최기수(2010). 전통조경공간 석축기법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0(1): 146-149. | 미소장 |
7 | 장익식(2010). 전통조경공간 석축기법 해석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조경학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8 | 노재현, 오현경, 최영현, 김영숙(2014). 제주 정의읍성 벽면식생에 근거한 벽면식재용 식물 선정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2(2):33-40. | 미소장 |
9 | 정광중, 강성기(2020). 제주 돌문화경관 연구. 한그루. | 미소장 |
10 | 차두원, 최동석, 김지석(2021). 남한산성 성벽의 관속식물 특성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9(1): 20-30. | 미소장 |
11 | 한국농어촌공사 지역개발지원단(2020). 2020년 세계중요농업유산 구들장논 모니터링 연구용역. | 미소장 |
12 | 완도군(2021). 완도군 통계연보. | 미소장 |
13 | 조양훈, 김종환, 박수현(2016). 벼과·사초과 생태도감. 지오북. | 미소장 |
14 | 김진석, 김중환, 김종현(2018). 한국의 들꽃. 돌베개. | 미소장 |
15 | 이창숙, 이강협(2018). 한국의 양치식물. 지오북. | 미소장 |
16 | 김태영, 김진석(2021). 한국의 나무. 돌베개. | 미소장 |
17 | 국립수목원(2022). 국가표준식물목록. | 미소장 |
18 | 김철환, 문명옥, 안진갑, 황인천, 이승혁, 최승세, 이중효, 범현민, 김철구, 차진열(2018). 한국산 최신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국립생태원. | 미소장 |
19 | 이창복(200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 미소장 |
20 | 김종원(2013). 한국식물생태보감. 자연과생태. | 미소장 |
21 | 이정윤, 박정원, 명현호, 김하송(2007). 시간경과에 따른 청산도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연구. 19(2): 179-203. | 미소장 |
22 | 오현경, 한윤희, 최송현(2011). 문경 봉암사 일대의 식물상 유형별 분류 및 보전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4): 447-469. | 미소장 |
23 | 김종원, 이율경(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 조사와 평가 방법. 월드사이언스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