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고석주(2007), ‘이동 동사 ‘가다’와 ‘오다’의 의미’, 「한국어학」 (한국어학회) 36, 73-97쪽. | 미소장 |
2 | 김광섭(2018), ‘양화사 표류와 목적어 이동’, 「현대문법연구」 99. 1-25쪽. | 미소장 |
3 | 김민채(2022), ‘‘들다[入]’ 어휘 의미의 통시적 고찰’, 「인문사회21」 13(3), 2283-2297쪽. | 미소장 |
4 | 김윤신(2019), ‘논항의 유형과 실현 양상: 생성 어휘부 이론을 중심으로’, 「언어학」(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83. 49-73쪽. | 미소장 |
5 | 김흥수(1986), ‘행동 동기 표현의 한 문제’, 「국어문학 26: 소석 이기우 선생화갑기념호」, 전주: 선명문화사. 399-418쪽. | 미소장 |
6 | 남승호(2000), ‘한국어 이동동사의 논항구조와 사건구조’. 이정민・김영화・강범모・남승호・이하규 공저. 「의미구조의 표상과 실현」. 서울: 도서출판 소화. 229-281쪽. | 미소장 |
7 | 선한빛(2020), ‘17세기 국어 이동동사 구문과 격 교체’, 「어문론집」(중앙어문학회) 83. 7-34쪽. | 미소장 |
8 | 손광락(2018), ‘유동양화사의 논항출현 금지 규칙’, 「현대문법연구」 99. 27-41쪽. | 미소장 |
9 | 이동혁(2019), ‘양화사 ‘모두’의 의미 구성에 대하여’. 「우리말연구」(우리말학회) 56. 35-62쪽. | 미소장 |
10 | 이정화(2009), ‘한국어 직시적 이동사건의 의미에 대한 말뭉치 연구’, 「한국어의미학」(한국어의미학회) 29. | 미소장 |
11 | 이호승(2011), ‘목적성 이동동사 구문과 복합서술어’. 「語文硏究」(한국어문교육연구회) 70. 53-77쪽. | 미소장 |
12 | 전수태(1986), ‘운동동사의 개념과 범주’, 「國語學新硏究- 若泉金敏洙敎授華甲記念」, 서울: 塔出版社. 450-462쪽. | 미소장 |
13 | 정수진(2010), ‘국어 공간동사의 유형과 의미 양상’, 「어문학」(한국어문학회) 109. 63-97쪽. | 미소장 |
14 | 천기석(1988), ‘국어 운동동사의 분석’, 「語文學」 49. 237-286쪽. | 미소장 |
15 | 한재영(1996), 十六世紀國語構文의 硏究, 서울: 신구문화사. | 미소장 |
16 | 홍달오(2013), ‘가다, 오다, 들다, 나다’의 의미 합성에 관한 인지의미론적 고찰. 「語文論集」(중앙어문학회) 55. 63-88쪽. | 미소장 |
17 | Asher, Nicholas. 2011. Lexical Meaning in Context: A web of wor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8 | Audring, Jenny and Geert Booij. 2016. Cooperation and coercion. Linguistics 54(4). 617-637. | 미소장 |
19 | Bernolet, Sarah and Timothy Colleman. 2016. Sense-based and lexeme-based alternation biases in the Dutch dative alternation. In Jiyoung Yoon and Stefan Th. Gries eds. Corpus-based Approaches to Construction Grammar. pp. 165-198. | 미소장 |
20 | Blank, Andreas 1999. ‘Why do new meanings occur? A cognitive typology of the motivation for semantic change’, in Andreas Blank and Peter Koch eds, Historical Semantics and Cognition. Berlin-New York: Mouton de Gruyter, pp. 61–89. | 미소장 |
21 | De Smet, Hendrik. 2012. The Course of Actualization. Language 88(3). pp. 601-632. | 미소장 |
22 | Dworkin, Steven N. 2011, ‘LEXICAL CHANGE’, In Martin Maiden, John Charles Smith and Adam Ledgeway eds.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Romance Languages vol. 1. Structures. Cambridge an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585-605. | 미소장 |
23 | Evans, Vyvyan. 2009. How Words Mean. Oxford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4 | Goldberg, Adele. 1995. Constructions: A Construction Grammar Approach to Argument Structur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미소장 |
25 | Im, Sung-Chool, 2001. Typological patterns of motion verbs in Korea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at Buffalo,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 미소장 |
26 | Langacker, Ronald W. 1987. Foundations of Cognitive Grammar I.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7 | Miller, Geroge A. and Philip N. Johnson-Laird. 1976. Language and Perception. Cambridge: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8 | Pustejovsky, James. 2011. Coercion in a general theory of argument selection. Linguistics 49-6. pp. 1401-1431. | 미소장 |
29 | Quirk, R., Greenbaum S., Leech G., Svartvik J.(1985), A Comprehensiv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London: Longman, 1383f. | 미소장 |
30 | Romain, Laurence. 2022. Putting the argument back into argument structure constructions. Cognitive Linguistics 33(1). pp. 35-64. | 미소장 |
31 | Sweetser, Eve. 1999. Compositionality and blending: semantic composition in a cognitively realistic framework. In Gisela Redeker and Theo Janssen. eds. Cognitive Linguistics: Foundations, Scope and Methodology, Berlin: Mouton de Gruyter. pp. 129-162. | 미소장 |
32 | Tenny, Carol. 1992. The Aspectual Interface Hypothesis. In Ivan A. Sag and Anna Szabolsci eds. Lexical Matters. CSLI. pp.1-28. | 미소장 |
33 | Traugott, Elizabeth Closs 2008. Grammaticalization, constructions and the incremental development of language: Suggestions from the development of degree modifiers in English. In Jaeger Gerhard ed. Variation, Selection, Development. Probing the Evolutionary Model of Language Change. pages 219-250. Berlin/New York: Mouton de Gruyter. | 미소장 |
34 | Vendler, Zeno. 1967. Linguistics in Philosophy. Ithaca and London: Cornell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