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적: 시신경유두함몰비가 큰 미숙아의 장기적인 경과 관찰 결과를 분석하여 선천 녹내장의 발생 위험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시신경유두함몰비가 0.3 이상인 미숙아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초진 시와 마지막 추적 관찰 시 시신경유두함몰비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이와 연관된 임상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74명이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교정 연령을 기준으로 33.96 ± 19.86개월까지 추적 관찰하였다. 초진 시 안압은 17.12 ± 4.01 mmHg였으며, 수평각막직경은 10.34 ± 0.83 mm였다. 시신경유두함몰비는 초진 시 0.54 ± 0.14였으며, 마지막 추적 관찰 시 0.57 ± 0.14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초진 시 시신경유두함몰비가 작은 것이 시신경유두함몰비의 증가와 관련된 임상인자로 나타났으며(regression coefficient, β=-0.111, p=0.028), 이외 재태연령, 출생 체중, 안압, 각막직경은 유의한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천 녹내장으로 진단된 경우는 없었다.
결론: 미숙아에서 시신경유두함몰비가 0.3 이상이더라도 안압이 높지 않은 경우 녹내장의 발생 위험이 높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The Korean Glaucoma Society. Glaucoma, 6th ed. Seoul: The Korean Glaucoma Society, 2017. | 미소장 |
2 | Badawi AH, Al-Muhaylib AA, Al Owaifeer AM, et al. Primary congenital glaucoma: an updated review. Saudi J Ophthalmol 2019;33:382-8. | 미소장 |
3 | Lee SJ, Kim S, Rim TH, et al. Incidence, comorbidity, and mortality of primary congenital glaucoma in Korea from 2001 to 2015: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Korean J Ophthalmol 2020;34:316-21. | 미소장 |
4 | Zhou G. The C/D ratio in normal newborns. Zhonghua Yan Ke Za Zhi 1993;29:105-7. | 미소장 |
5 | Khodadoust AA, Ziai M, Biggs SL. Optic disc in normal newborns. Am J Ophthalmol 1968;66:502-4. | 미소장 |
6 | Hakeem AH, Mohamed GB, Othman MF. Retinopathy of prematurity:a study of prevalence and risk factors. Middle East Afr J Ophthalmol 2012;19:289-94. | 미소장 |
7 | Hackl S, Zeman F, Helbig H, Oberacher-Velten IM. Optic disc morphology in premature infants. Br J Ophthalmol 2013;97:314-7. | 미소장 |
8 | Hellström A, Hård AL, Chen Y, et al. Ocular fundus morphology in preterm children. Influence of gestational age, birth size, perinatal morbidity, and postnatal growth. Invest Ophthalmol Vis Sci 1997;38:1184-92. | 미소장 |
9 | Kim J, Choi DY, Park KA, Oh SY. Cup-to-disc and arteriole-to-venule ratios in preterm birth. Eye (Lond) 2015;29:1167-72. | 미소장 |
10 | Park JW, Park SW, Heo H. RetCam image analysis of the optic disc in premature infants. Eye (Lond) 2013;27:1137-41. | 미소장 |
11 | Quigley HA, Enger C, Katz J, et al.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glaucomatous visual field loss in ocular hypertension. Arch Ophthalmol 1994;112:644-9. | 미소장 |
12 | Alshaarawi S, Shatriah I, Zunaina E, Wan Hitam WH. Assessment of the optic nerve head parameters using Heidelberg retinal tomography III in preterm children. PLoS One 2014;9:e88056. | 미소장 |
13 | Hellström A, Hård AL, Svensson E, Niklasson A. Ocular fundus abnormalities in children born before 29 weeks of gestation: a population-based study. Eye (Lond) 2000;14:324-9. | 미소장 |
14 | Kuruvilla SE, Simkin S, Welch S, Dai S. Comparison of optic disk features in preterm and term infants. J AAPOS 2018;22:376-80.e2. | 미소장 |
15 | Deb AK, Kannan NB, Ramasamy K, Mishra C. Double ring sign in optic nerve head hypoplasia. Indian J Ophthalmol 2019;67:1187. | 미소장 |
16 | Garcia-Filion P, Borchert M. Optic nerve hypoplasia syndrome: a review of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associations. Curr Treat Options Neurol 2013;15:78-89. | 미소장 |
17 | Kaur S, Jain S, Sodhi HB, et al. Optic nerve hypoplasia. Oman J Ophthalmol 2013;6:77-82. | 미소장 |
18 | Sehrawat P, Beri S, Garg R, et al. Central corneal thickness and corneal diameter in preterm and term newborns and preterm neonates at term. Indian J Ophthalmol 2019;67:1575-8. | 미소장 |
19 | Trivedi RH, Wilson ME. Biometry data from caucasian and african-american cataractous pediatric eyes.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7;48:4671-8.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