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연구목적: 본 탐구의 목적은 유아의 사진찍기를 중심으로 유아들이 세상과 어떻게 관계맺는지에 대해 귀 기울이는 데 있다. 유아의 사진찍기에 대한 맥락을 뿌리 깊게 주목함으로써, 유아와 세상의 관계맺기를 유아들의 목소리를 통해, 그리고 현장의 맥락을 통해 나타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관계적 존재론을 바탕으로 후기질적 접근에서 ‘존재들과 함께 하기’의 작동을 통해 수행되었으며, 결과에 기술되는 데이터는 2022년 1월부터 2월까지 22회기로 만 5세 유아반에서 생성되었다. 연구결과: 존재인식론적 평등의 고른판 위에서 유아들은 끊임없는 ‘되기’의 존재들이었다. 충만한 기관없는 신체의 유아는 잠재성의 존재로, 무엇이든 될 수 있었다. 끊임없는 되기와 탈주의 과정에서 유아들은 생성의 선들을 그려나갔다. 이를 통해 유아들의 리좀의 지도가 그려졌으며, 리좀의 지도는 다른 존재들과 만날 때 새롭게 그려질 수 있을 것이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는 고른판에서 존재를 다시 만나도록, 리좀적 삶의 유아를 다시 만나도록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후기질적 연구를 통해 복잡다변한 삶과 교육현장의 맥락이 결핍의 차이가 아닌 생성의 차이로 기술될 수 있음을 논의한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세종: 교육부·보건복지부. | 미소장 |
2 | 권구영 (2021). 유치원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에서의 유아의 관계 맺기 경험의 의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 | 김기국 (2007). 소쉬르 탄신 150주년 기념 학술논문집 : 소쉬르의 현재성과 탈현대성 : 소쉬르 기호학과 사진 리터러시 – 이미지 읽기교육을 중심으로 -. 기호학 연구, 21(0), 255-285. | 미소장 |
4 | 김윤미 (2019). Deleuze 철학을 바탕으로 영유아와 멀티미디어 내부작용 바라보기. 생애학회지, 9(2), 47-67. | 미소장 |
5 | 김은아 (2020). 물질적 전회를 통해 본 나무와 인간의 얽힘, 그리고 상황적 지식. 교육인류학연구, 23(2), 1-37. | 미소장 |
6 | 김은하, 배지현 (2016). 담임교사 중간 이직에 따른 가을반 유아들의 새 담임교사와 관계 맺기및 유치원 생활 적응과정의 의미. 열린유아교육연구, 21(4), 49-76. | 미소장 |
7 | 김환석 (2018). 사회과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신유물론. 지식의 지평, 25, 81-89. | 미소장 |
8 | 남영림 (2017). ‘기관없는 신체’로 살펴 본 <종이와 함께 놀기> 미술 교육 프로그램의 생성 특성에 관한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51(-), 259-284. | 미소장 |
9 | 동풀잎 (2019). 유아 교실 속 디지털 사진이 구성하는 다양하고 예측 불가능한 관계와 의미: 행위자-네트워크 이론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22(3), 173-198. | 미소장 |
10 | 서미정 (2018). 영유아기 자녀양육을 통해 경험하는 아버지 되어가기의 의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안혜림, 강승지, 이연선 (2019). 다시 현장으로 돌아간 한 유아교사의 사건화된 경험: 들뢰즈의존재론에 기초한 후기 질적 연구. 유아교육연구, 39(5), 161-187. | 미소장 |
12 | 안효진, 김현수 (2018). 들뢰즈의 기호와 배움을 통해 바라본 유아교사들의 얽힌 되기: 프로젝트기반 STEM 교육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6(4), 113-132. | 미소장 |
13 | 우정길 (2021). 포스트휴머니즘과 교육학. 서울: 학지사. | 미소장 |
14 | 윤은주, 송영선, 김윤미, 김미서, 고은경 (2019). Deleuze 의 ‘단절’개념에 따른 유아교사들의 교육과정 풀기: 후기 질적 연구를 적용하여. 유아교육연구, 39(2), 361-384. | 미소장 |
15 | 이연선, 정혜영 (2018). 회절과 회절분석으로 예비유아교사교육을 실험하기. 교육인류학연구, 21(1), 193-224. | 미소장 |
16 | 이용숙 (2002). 현장 연구의 새로운 방향에 대한 고찰 -다섯 가지 유형의 현장연구 설계와 사례. 교육인류학연구, 5(2), 83-114. | 미소장 |
17 | 이정우 (2019). 다양체 개념의 변환 – 리만에서 들뢰즈로 -. 시대와 철학, 30(4), 89-121. | 미소장 |
18 | 이정은 (2019). 유아교육과정 속 나(교사)의 운동성 의미 탐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이조은 (2018). 유아들의 이야기판에서 물질적 내부작용 들여다보기. 유아교육연구, 38(6), 319-338. | 미소장 |
20 | 이진경 (2002). 노마디즘1. 서울: 휴머니스트. | 미소장 |
21 | 이효원, 조희숙 (2019).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이 체험하는 공간의 의미. 생태유아교육연구, 18(3), 293-323. | 미소장 |
22 | 전가일 (2013). 자유놀이에서 유아의 관계맺기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3 | 정진성, 임부연 (2014). 교사와 유아들의 대화에서 나타나는 만남에 대한 의미 탐구: Buber의 만남 철학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2), 203-227. | 미소장 |
24 | 정혜영, 이연선 (2020). 우리는 왜 이런 방식으로 수업하고 있을까?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의 수업융합사례. 어린이교육비평, 10(1), 7-35. | 미소장 |
25 | 최연철 (2007). 유아가 찍은 사진에 귀 기울이기. 열린유아교육연구, 14(2), 217-237. | 미소장 |
26 | Barad, K. (2007). Meeting the universe halfway: Quantum physics and the entanglement of matter and meaning. Durham, NC: Duk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7 | Barad, K. (2014). Diffracting diffraction: Cutting together-apart. Parallax, 20(3), 168-187. | 미소장 |
28 | Barthes, R. (1980). Camera Lucida: Reflections on Photography. 김웅권 역 (2006). 밝은 방. 서울: 동문선. | 미소장 |
29 | Berger, A, A. (1989). Seeing is believing: An introduction to visual communication. 이지희 역 (1997).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 서울: 미진사. | 미소장 |
30 | Braidotti, R. (2013). The Posthuman. 이경란 역 (2015). 포스트휴먼. 경기도: 아카넷. | 미소장 |
31 | Burke, C. (2005). “Play in Focus”: Children Researching Their Own Spaces and Places for Play. Children, Youth and Environments, 15(1), 27–53. | 미소장 |
32 | Davies, B. (2014). Listening to Children: Being and becoming. 변윤희, 유혜령, 윤은주, 이경화, 이연선, 임부연 공역 (2017). 어린이에게 귀 기울이기: ‘이기’와 ‘되기’. 서울: 창지사. | 미소장 |
33 | Deleuze, G., & Guattari, F. (1972). Anti-Oedipus : Capitalism and Schizophrenia. 김재인 역 (1997). 앙띠 오이디푸스: 자본주의와 분열증. 서울: 민음사. | 미소장 |
34 | Deleuze, G., & Guattari, F. (1980). A Thousand Plateaus. 김재인 역 (2001). 천개의 고원. 서울: 새물결. | 미소장 |
35 | Didi-Huberman, G. (2009). Survivance des lucioles. 김홍기 역 (2012). 반딧불의 잔존. 서울: 길. | 미소장 |
36 | Eckhoff, A. (2017). Images of Play Experiences Through a Child’s Lens: An Exploration of Play and Digital Media with Young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49(1), 113-129. | 미소장 |
37 | Flusser, V. (1983). Für eine Philosophie der Fotografie. 윤종석 역 (2012). 사진의 철학을 위하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 미소장 |
38 | Haus, J. M. (2020). Performative intra-action of a paper plane and a child: Exploring scientific concepts as agentic playmate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50(4), 1305-1320. | 미소장 |
39 | Honan, E., & Bright, D. (2016). Writing a thesis differently.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Studies in Education, 29(5), 731-743. | 미소장 |
40 | Jackson, A. Y., & Mazzei, L. A. (2013). Plugging one text into another: Thinking with theory in qualitative research. Qualitative Inquiry, 19(4), 261-271. | 미소장 |
41 | Lambert, L. (2021). Diffraction as an otherwise practice of exploring new teachers’ entanglements in time and space.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ducation, 47(2-3), 421-435. | 미소장 |
42 | Lenz Taguchi, H. (2014). New materialisms and play. Sage Handbook of Play and Learning in Early Childhood, 79-90. | 미소장 |
43 | Lenz Taguchi, H. (2010). Going Beyond the Theory/Practice Divid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troducing an Intra-Active Pedagogy. 신은미, 안효진, 유혜령, 윤은주, 이진희, 임부연, 전가일, 한선아, 변윤희 공역 (2018). 들뢰즈와 내부작용 유아교육: 이론과 실제 구분 넘어서기. 서울: 창지사. | 미소장 |
44 | Lenz Taguchi, H. (2021). From “best practice” and “one size-fits-all” to multiple ways and practices to engage different children differently in a learning develop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한국유아교육학회 추계정기학술대회 논문집, 48-64. | 미소장 |
45 | MacLure, M. (2013). Researching without representation? Language and materiality in post- qualitative methodology.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Studies in Education, 26(6), 658-667. | 미소장 |
46 | Moss, P. (2018). Alternative Narratives in Early Childhood: An Introduction for Students and Practitioners. 이연선, 손유진, 신은미, 이경화, 이진희, 정혜영 공역 (2021). 유아교육과 대안적 내러티브. 서울: 살림터. | 미소장 |
47 | Murris, K. (2020). Introduction: Making Kin: Postqualitative, New Materialist and Critical Posthumanist Research. In Navigating the Postqualitative, New Materialist and Critical Posthumanist Terrain Across Disciplines (pp. 1-21). Routledge. | 미소장 |
48 | Murris, K. (2016). The Posthuman Child: Educational transformation through philosophy with picturebooks. 이연선, 변윤희, 손유진, 신은미, 이경화, 한선아 공역 (2021). 포스트휴먼 어린이. 서울: 살림터. | 미소장 |
49 | Murris, K., & Bozalek, V. (2019). Diffraction and response-able reading of texts: the relational ontologies of Barad and Deleuze.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ative Studies in Education, 32(7), 872-886. | 미소장 |
50 | Myers, C. Y. (2015). Children, among other things: Entangled cartographies of the more-than-human kindergarten classroom. Doctoral dissertation, Kent State University. | 미소장 |
51 | Pacini-Ketchabaw, V., Kind, S., & Kocher, L. L. (2017). Encounters With Materia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이연선, 전가일, 정혜영, 최승현, 하영유 공역 (2021). 물질과의 새로운 만남. 서울: 살림터. | 미소장 |
52 | Rinaldi, C. (2006). In Dialogue with Reggio Emilia: Listening, Researching and Learning. 이부연, 김혜숙, 손명선 공역 (2017). 레지오 에밀리아와의 대화. 서울: 한양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53 | St. Pierre, E. A. (2011). Post qualitative research: The critique and the coming after. In N.K. Denzin and Y.S. Lincoln (Eds.).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Inquiry (4th ed.) (pp. 611-635). Los Angeles, CA: SAGE. | 미소장 |
54 | Tsing, A. (2013). More-than-human sociality: a call for critical description. In Anthropology and Nature (pp. 37-52). Routledge. | 미소장 |
55 | Tuin, I. V. D., & Dolphijn, R. (2012). New Materialism: Interviews & Cartographies. 박준영 역 (2021). 신유물론: 인터뷰와 지도제작. 경기: 교유당.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