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베트남 조왕 설화와 <복 많은 백정 딸>의 서사 비교 = A comparative study on the Vietnamese kitchen god tale and the narrative of <A Fortunate Daughter of a Butcher> 하은하 p. 5-33
한국 이주민 구술설화의 상징적 표상을 매개로 한 상호문화 감수성 신장의 문화교육 : Cultural education for boosting intercultural sensibility through symbolic representation in folktales narrated by immigrants in Korea : to expand research on folktales using The Comprehensive Collection of Multicultural Oral Literature in Korea / 『다문화 구비문학대계』를 활용한 설화연구의 확장을 위하여 김정은 p. 35-75

구비설화 속 일생의례 관련 속신(俗信)의 양상과 의식체계 = Aspect and consciousness system of folk belief in the lifetime ritual in oral folktales 유경자 p. 77-108
정선아리랑 수용 공연콘텐츠의 양상과 특징 고찰 = A study on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contents accepted by Jeongseon Arirang 박경수 p. 109-155
설화 <팥죽할머니와 호랑이>에 드러난 비인간의 힘 = The force of nonhuman in the folk tale <The Red Bean Porridge Grandma and the Tiger> 박성혜 p. 157-188
다문화사회를 위한 설화의 문화 교육 연구 동향과 전망 : Trends and prospects of cultural educational research of folktale for multicultural society : for research on domestic journals from 1999 to 2022 / 1999~2022년 국내 학술지 연구를 대상으로 오정미 p. 189-216
『잡기고담』의 논평을 통해 본 임매의 비평의식 = Yim-mae's critical consciousness revealed in the commentary of Jabki-godam 정보라미 p. 217-249
서산의 중고제 예인들과 문화유적 개발을 위한 연구 = Research for Seosan's Junggoje artists and cultural relics development 최혜진 p. 251-279

역사문화자원으로서 김덕령 활용과 장소성 : Using Kim Deok-Ryong as a historical-cultural resource and his placeness : focusing on the ‘Vibrant Cultural Property’ program / '생생문화재'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헤본디얀 크리스티나 p. 281-334

참고문헌 (3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도후, 『신들의 소리』, 2001(대본). 미소장
2 김도후, 『아우라지』, 2002(대본). 미소장
3 김도후, 『소풍』, 2010(대본). 미소장
4 김도후, 『어머이』, 2012(대본). 미소장
5 김도후, 『정선아리랑극, 열두 고개 넘으며(1999~2011)』, 정선군, 2012. 미소장
6 김시업, 『정선의 아라리』,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3. 미소장
7 이하륜, 『나비야 저 청산에』, 도서출판 사람사이, 1997. 미소장
8 이하륜, 『정선아리랑』, 1984(대본). 미소장
9 정선아리랑연구소, 『아리랑 문학작품 목록집』, 정선아리랑연구소 아리랑아카이브, 2012. 미소장
10 진용선, 『정선아라리』, 집문당, 1993. 미소장
11 진용선, 『정선아리랑 가사사전』, 정선군∙정선아리랑문화재단, 2014. 미소장
12 최병화, 『최병화 희곡집3』, 도서출판 예니, 2018. 미소장
13 허규, 『(허규 희곡집) 물도리동』, 평민사, 1998. 미소장
14 강등학, 「아리랑의 형질 전승과 문화적 실천의 문제」, 『한국민요학』 31, 한국민요학회, 2011, 7-46쪽. 미소장
15 강등학, 「아리랑 문화사의 중심, 서울시의 아리랑문화 발전과제」, 『한국민요학』 40, 한국민요학회, 2014, 7-32쪽. 미소장
16 강원정보문화진흥원, 「정선아리랑 스토리텔링 및 애니메이션 창작 액션플랜 연구개발보고서」, 정선아리랑문화재단, 2010. 12. 미소장
17 김남석, 「연극 <아리랑 고개>의 창작과정에 수용된 <아리랑>의 영향 관계 연구」, 『철학사상문화』 33,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0, 1-23쪽. 미소장
18 김종민 외, 「정선아리랑 컨텐츠개발 중장기 계획」, 정선아리랑문화재단, 2013. 10. 미소장
19 김진순, 『한국아리랑의 원형 정선아리랑 –아우라리 뱃사공아 배좀 건네주게』 (CD), 강원도민일보, 2008. 미소장
20 문무연 편, 『허규의 놀이마당 –마당극ᆞ축제ᆞ창극의 개척자』, 인문당출판사, 2004. 미소장
21 박경수, 「정선아리랑의 문화 수용 양상과 과제」, 『한국민요학』 55, 한국민요학회, 2019, 85-123쪽. 미소장
22 박경수, 『아리랑의 문학 수용과 문화 창출』, 민속원, 2021. 미소장
23 변혜성, 「한유한의 가극 <아리랑>에서 불린 <한국행진곡>의 실체」, 『이화음악논집』 25-3,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101-135쪽. 미소장
24 이동근, 「<정선아라리>와 <양반전>의 문화콘텐츠적 융합」, 『어문연구』 64, 어문연구학회, 2010, 201-233쪽. 미소장
25 이승은,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공연 콘텐츠 사례와 전망 : 정선아리랑을 중심으로」, 『고전과 해석』 28집 고전한문학연구학회, 2019, 27-57쪽. 미소장
26 이창식, 「아리랑, 아리랑학, 아리랑콘텐츠」, 『한국민요학』 21, 한국민요학회, 2007, 181-213쪽. 미소장
27 이창식, 「아리랑축제 관련 문화유산과 소리축제」, 『공연문화연구』 21, 한국공연문화학회, 2010, 449-489쪽. 미소장
28 이현수, 「지역문화를 소재로 한 공연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온지논총』 33, 온지학회, 2012, 119-146쪽. 미소장
29 임형택, 「구비문학 3.0 : 디지털과 3차적 구술성의 문학 환경에 대하여」, 『한민족문화연구』 59, 한민족문화학회, 7-44쪽. 미소장
30 정우택, 「정선아리랑의 정립과 기원의 창조」, 『국제어문』 65, 국제어문학회, 2015, 46-53쪽. 미소장
31 Ong, Walter J.,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이기우·임명진 옮김, 문예출판사, 1995. 미소장
32 진용선, <아리랑 이야기: 정선아리랑, 무대에 오르다>, 2005. 10. 10., 아리랑아카이브, https://blog.naver.com/arari63, 2020. 6. 20 접속.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