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도후, 『신들의 소리』, 2001(대본). | 미소장 |
2 | 김도후, 『아우라지』, 2002(대본). | 미소장 |
3 | 김도후, 『소풍』, 2010(대본). | 미소장 |
4 | 김도후, 『어머이』, 2012(대본). | 미소장 |
5 | 김도후, 『정선아리랑극, 열두 고개 넘으며(1999~2011)』, 정선군, 2012. | 미소장 |
6 | 김시업, 『정선의 아라리』,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3. | 미소장 |
7 | 이하륜, 『나비야 저 청산에』, 도서출판 사람사이, 1997. | 미소장 |
8 | 이하륜, 『정선아리랑』, 1984(대본). | 미소장 |
9 | 정선아리랑연구소, 『아리랑 문학작품 목록집』, 정선아리랑연구소 아리랑아카이브, 2012. | 미소장 |
10 | 진용선, 『정선아라리』, 집문당, 1993. | 미소장 |
11 | 진용선, 『정선아리랑 가사사전』, 정선군∙정선아리랑문화재단, 2014. | 미소장 |
12 | 최병화, 『최병화 희곡집3』, 도서출판 예니, 2018. | 미소장 |
13 | 허규, 『(허규 희곡집) 물도리동』, 평민사, 1998. | 미소장 |
14 | 강등학, 「아리랑의 형질 전승과 문화적 실천의 문제」, 『한국민요학』 31, 한국민요학회, 2011, 7-46쪽. | 미소장 |
15 | 강등학, 「아리랑 문화사의 중심, 서울시의 아리랑문화 발전과제」, 『한국민요학』 40, 한국민요학회, 2014, 7-32쪽. | 미소장 |
16 | 강원정보문화진흥원, 「정선아리랑 스토리텔링 및 애니메이션 창작 액션플랜 연구개발보고서」, 정선아리랑문화재단, 2010. 12. | 미소장 |
17 | 김남석, 「연극 <아리랑 고개>의 창작과정에 수용된 <아리랑>의 영향 관계 연구」, 『철학사상문화』 33,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0, 1-23쪽. | 미소장 |
18 | 김종민 외, 「정선아리랑 컨텐츠개발 중장기 계획」, 정선아리랑문화재단, 2013. 10. | 미소장 |
19 | 김진순, 『한국아리랑의 원형 정선아리랑 –아우라리 뱃사공아 배좀 건네주게』 (CD), 강원도민일보, 2008. | 미소장 |
20 | 문무연 편, 『허규의 놀이마당 –마당극ᆞ축제ᆞ창극의 개척자』, 인문당출판사, 2004. | 미소장 |
21 | 박경수, 「정선아리랑의 문화 수용 양상과 과제」, 『한국민요학』 55, 한국민요학회, 2019, 85-123쪽. | 미소장 |
22 | 박경수, 『아리랑의 문학 수용과 문화 창출』, 민속원, 2021. | 미소장 |
23 | 변혜성, 「한유한의 가극 <아리랑>에서 불린 <한국행진곡>의 실체」, 『이화음악논집』 25-3,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101-135쪽. | 미소장 |
24 | 이동근, 「<정선아라리>와 <양반전>의 문화콘텐츠적 융합」, 『어문연구』 64, 어문연구학회, 2010, 201-233쪽. | 미소장 |
25 | 이승은,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한 공연 콘텐츠 사례와 전망 : 정선아리랑을 중심으로」, 『고전과 해석』 28집 고전한문학연구학회, 2019, 27-57쪽. | 미소장 |
26 | 이창식, 「아리랑, 아리랑학, 아리랑콘텐츠」, 『한국민요학』 21, 한국민요학회, 2007, 181-213쪽. | 미소장 |
27 | 이창식, 「아리랑축제 관련 문화유산과 소리축제」, 『공연문화연구』 21, 한국공연문화학회, 2010, 449-489쪽. | 미소장 |
28 | 이현수, 「지역문화를 소재로 한 공연콘텐츠 활용 방안 연구」, 『온지논총』 33, 온지학회, 2012, 119-146쪽. | 미소장 |
29 | 임형택, 「구비문학 3.0 : 디지털과 3차적 구술성의 문학 환경에 대하여」, 『한민족문화연구』 59, 한민족문화학회, 7-44쪽. | 미소장 |
30 | 정우택, 「정선아리랑의 정립과 기원의 창조」, 『국제어문』 65, 국제어문학회, 2015, 46-53쪽. | 미소장 |
31 | Ong, Walter J.,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이기우·임명진 옮김, 문예출판사, 1995. | 미소장 |
32 | 진용선, <아리랑 이야기: 정선아리랑, 무대에 오르다>, 2005. 10. 10., 아리랑아카이브, https://blog.naver.com/arari63, 2020. 6. 20 접속.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