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Atwood, Margaret. Oryx and Crake. New York: Anchor Books, 2004. Print. | 미소장 |
2 | Atwood, Margaret. The Year of the Flood. London: Virago, 2010. Print. | 미소장 |
3 | Atwood, Margaret. “Dire Cartographies: The Roads to Ustopia.” In Other Worlds: Science Fiction and the Human Imagination. London: Virago, 2011. 38-66. Print. | 미소장 |
4 | Atwood, Margaret. MaddAddam. New York: Anchor Books, 2014. Print. [애트우드, 마가렛. 『매드 아담』. 이소영 역. 서울: 민음사, 2019.] | 미소장 |
5 | Baccolini, Raffaella and Moylan, Tom. eds., Dark Horizons: Science Fiction and the Dystopian Imagination. New York: Routledge, 2003. Print. | 미소장 |
6 | Bender, Stephanie. “Just Popular Entertainment of Longing for a Posthuman Eden?” https://jrfm.eu/index.php/ojs_jrfm/article/view/138. 2 November, 2019. | 미소장 |
7 | Berger, James. After the End: Representations of Post-apocalypse. Minneapolis: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9. Print. | 미소장 |
8 | Curtis, Claire. Postapocalyptic Fiction and the Social Contract: We’ll Not Go Home Again. Lanham, MD: Lexington Books, 2012. Print. | 미소장 |
9 | Haraway, Donna. Staying with the Trouble: Making Kin in the Chthulucene. Durham: Duke UP, 2016. Print. [해러웨이, 도너. 『트러블과 함께하기』(Staying with the Trouble). 최유미역. 서울: 마농지, 2021.] | 미소장 |
10 | Joo, Kee Wha. “Pandemic and Futurism in Margaret Atwood’s MaddAddam.”The Journal of East-West Comparative Literature 59 (2022a): 464-87. Print. [주기화. 팬데믹과 미래주의: 마가렛 애트우드의 『매드 아담』 . 『동서비교문학저널』 59 (2022a): 464-87.] | 미소장 |
11 | Joo, Kee Wha. “The Five Arts of Living on the Pandemic Planet: Haraway’s Compostism in Margaret Atwood’s MaddAddam.” The Journal of Teaching English Literature 26.1 (2022b): 307-32. Print. [주기화. 팬데믹 행성에서의 삶의 기예: 마가렛 애트우드의 『매드아담』에나타난 해러웨이의 퇴비주의 . 영미문학교육 26 (2022b): 307-32.] | 미소장 |
12 | Joo, Kee Wha. “The Symbiotic Ethos and Form of Life of Women at the End of the World: Margaret Atwood’s MaddAddam Trilogy.” The Journal of East-West Comparative Literature 62 (2022c): 316-39. Print. [주기화. 세상 끝에 있는 여성들의 공생적 에토스와 삶형태: 마가렛 애트우드의 매드아담 3부작 . 동서비교문학 62 (2022c): 316-39.] | 미소장 |
13 | Kim, Cho Yeop. Greenhouse at the End of the Earth. Seoul: Giant Bookds, 2021. Print. [김초엽. 『지구 끝의 온실』, 고양: 자이언트북스, 2021.] | 미소장 |
14 | Lee, Ji-Yong. “The Meaning of Dung/Waste in Korean SF.” Seoul: Sanghur Hakbo 65 (2022): 519-46. Print. [이지용. 한국 SF에서의 똥/쓰레기들이 가지는 의미 . 상허학보 65(2022): 519-47.] | 미소장 |
15 | Moon, Hyong Jun. “Why Do Humans Survive in Post-Apocalyptic Novels? Critiquing Post-Apocalpytic Novels in the Anthropcene Epoch.”In/Outside 43 (2017): 59-78. Print. [문형준. 왜 포스트아포칼스 소설은 인간을 살려두는가? 인류세 시대 서사로서의 포스트아포칼립스소설 . 안과밖 43 (2017): 59-78.] | 미소장 |
16 | Philbeck, Thomas. “Posthumanist Selfhood: Challenges to Being a Conglomerate.” Trans-Humanities Journal 6 (2013): 121-34. Print. [필벡, 토마스. 포스트휴먼 자아: 혼합체로의 도전 . 『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 안소영 외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3.] | 미소장 |
17 | Son, Hyesuk. “An unfinished story about ‘small possibilities’.” Seoul: Literacy Studies 13.2 (2022): 539-55. Print. [손혜숙. ‘작은 가능성’에 대한 끝나지 않은 이야기-김초엽, 『지구 끝의온실』 . 리터러시 연구 46 (2022): 539-55.] | 미소장 |
18 | Watkins, Susan. Contemporary Women’s Post-Apocalyptic Fiction. London:Palgrave Macmillan, 2020. Print.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