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국립현대미술관, https://mmca.go.kr. | 미소장 |
2 | 국토연구원(2022). 균형발전 모니터링 & 이슈 Brief 10. | 미소장 |
3 | 김성조, 김재학(2020). 박물관 방문객의 비선형 행위적태도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44(1), 113-133. | 미소장 |
4 | 김세영(2013). 예술과 테크놀러지를 활용한 유희적 공간에서의 미적 경험에 관한 연구 22(3), 61-69. | 미소장 |
5 | 김혜영, 김세준(2014). 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이장소애착과 장소가치인식, 행위의도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 정동지역 박물관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30, 186-217. | 미소장 |
6 | 권남희(2017). 박물관교육 참여자의 회상을 통해 본미적경험 연구, 박물관교육연구 17, 59-86. | 미소장 |
7 | 네일 코틀러, 필립 코틀러, 한종훈, 이혜진 역(2007). 박물관학: 뮤지엄 경영과 전략, 박영사. | 미소장 |
8 | 에드워드 렐프, 김덕현, 김현주 역(2005).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 미소장 |
9 | 박은진(2000). 환경의 미적 경험과 장소성 형성을 위한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장식미술학과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박정희, 송행란(2017). 유아의 교육기관 장소애착 관련변인 연구-대인적 요소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3), 227-251. | 미소장 |
11 | 서울시립미술관, https://sema.seoul.go.kr. | 미소장 |
12 | 서울특별시, https://news.seoul.go.kr. | 미소장 |
13 | 서울앤, http://seouland.com. | 미소장 |
14 | 송영민, 강준수(2017). 박물관에서의 관광경험에 대한미학(Aesthetics)적 고찰: 김중업 박물관 방문객 인터뷰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1(5), 107-120. | 미소장 |
15 | 신창엽, 윤나라(2012). 웹페이지에 사용된 색과 음악간의 의미 부합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41(5), 957-990. | 미소장 |
16 | 신희진, 김세준(2019). 학습관점에 따른 뮤지엄 전시관람객의 미적경험 측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58, 193-224. | 미소장 |
17 | 아트렉쳐, https://artlecture.com. | 미소장 |
18 | 윤나라, 이윤경, 이철성(2013). 브랜드 스캔들의 유형과 소비자의 사고체계에 따른 스캔들 유출효과의 차이가 기업과 경쟁사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42(4), 875-897. | 미소장 |
19 | 이모영(2011). 미적경험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과 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6(4), 1-24. | 미소장 |
20 | 이보아(2006). 모바일 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박물관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 연구, 인문콘텐츠 7, 23-50. | 미소장 |
21 | 이세규(2016). 장소애착이 도시브랜드에 미치는 영향:함평나비축제를 사례로, 지방행정연구 30(4), 331-352. | 미소장 |
22 | 이승훈(2019). ‘미적 경험’과 가치 생성, 공공사회연구 9(2), 5-33. | 미소장 |
23 | 이은숙(2006). 장소애착의 본질: 시 「다시 엘르에게」를 통해서, 문화역사지리 18(1), 1-10. | 미소장 |
24 | 이정호(2011).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장소애착이 장소가치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4), 209-234. | 미소장 |
25 | 정윤희, 이종호(2009). 경험적 소비에서 경험특성, 즐거움과 죄책감, 재경험 의도의 관계, 경영학연구 38(2), 523-553. | 미소장 |
26 | 최낙환(2011). 선호도 유창성의 요인과 긍정적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40(1), 207-232. | 미소장 |
27 | 최열, 임하경(2005). Poisson regression을 이용한주거정주의 결정요인 분석, 국토연구 46, 1-17. | 미소장 |
28 | 티모시 앰브로즈 외, 이보아 역(2001). 실무자를 위한 박물관 경영 핸드북, 학고재. | 미소장 |
29 | 하동현(2011). 관광목적지 장소애착의 구성요인이 해설 만족, 관여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1(3), 1-16. | 미소장 |
30 | Adams, G.D. (1983). Museum Public Relations, American Association for State and Local History. | 미소장 |
31 | Ali, F., K. Ryu, and K. Hussain (2016). Influence of Experiences on Memorie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A Study of Creative Tourism, Journal of Travel &Tourism Marketing 33 (1), 85-100. | 미소장 |
32 | An, D., Lee, C., Kim, J., & Youn, N.(2019). Grotesque imagery enhances the persuasiveness of luxury brand advertis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38(1), 1-19. | 미소장 |
33 | Anand, P. & B. Sternthal(1991). Perceptual Fluency and Affect Without Recognition, Memory&Cognition 19(3), 293-300. | 미소장 |
34 | Aronson, E., Wilson, T. D., Akert, R. M., &Fehr, B. (2005). Social psychology(3rd Canadian ed.), Pearson Prentice Hall. | 미소장 |
35 | Berleant, A. (1970). The aesthetic field: A phenomenology of aesthetic experience. | 미소장 |
36 | Barnard, W.A., Loomis, R.J., Cross, H.A. (1980). Assessment of visual recall and recognition learing in a museum, Bulletin of Psychonomic Society 16(4), 311-313. | 미소장 |
37 | Brocato, E.D. (2006). Place attachment: an investigation of environments and outcomes in a service context, [Doctorial dissertation thesis, University of Texas], ProQuest Dissertations and Theses database. | 미소장 |
38 | Chen, N., & Dwyer, L.(2018). Residents’ place satisfaction and place attachment on destination brand-buiding behaviors:Conceptual and empirical differentiation, Journal of Travel Research 57(8), 1026-1041. | 미소장 |
39 | Choi, I., Dalai, R., Kim-Prieto, C., & Park, H. (2003). Culture and judgement of causal relev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1), 46. | 미소장 |
40 | Choi, I., Koo, M., & Choi, J. A.(2007). Individual differences in analytic versus holistic thinking,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3(5), 691-705. | 미소장 |
41 | Ekinci, Y., & Hosany, S. (2006). Destination personality: An application of brand personality to tourism destinations. Journal of Travel Research 45(2), 127-139. | 미소장 |
42 | Ellis, D.(2010). The role of the university museum in community development, UMAC journal 2,1-4. | 미소장 |
43 | Feldman, R.(1990). Tourism and place identity. Unpublished Dissertation, Dept. of Recreation, Parks and Tourism Science, Texas A &M University. | 미소장 |
44 | Finke, R. A. (1996). Imagery, creativity, and emergent structure, Con sciousness &Cognition 5, 381-393. | 미소장 |
45 | Heidegger, Martin(1958). An Ontological Consideration of Place, The Question of Being, Twayne Publishers. | 미소장 |
46 | Jacoby, L.L.(1983). Perceptual enhancement Persistent effects of an experienc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9, 21-38. | 미소장 |
47 | Kim, L. & Chan, J. (2009). The consumption of museum service experiences: Benefits and value of museum experiences. Journal of Hospitality Marketing & Management 18(2-3), 173-196. | 미소장 |
48 | Kesner, L. (2006). The role of cognitive competence in the art museum experience, Museum management and curatorship 20, 1-16. | 미소장 |
49 | Kotler, N. (1999). Delivering Experience: Marketing the Museum’s Full Range of Assets, Museum News 5(6), 30-39. | 미소장 |
50 | Lee, A. Y., Keller, P. A., & Sternthal, B. (2010). Value from regulatory construal fit: The persuasive impact of fit between consumer goals and message concretenes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6(5), 735-747. | 미소장 |
51 | Lee and Labroo (2004). The effect of conceptual and perceptual fluency on brand evalua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6, 151-165. | 미소장 |
52 | Lee, J. K., Lee, B. K., & Lee, W. N. (2013). Country-of-origin fit's effect on consumer product evaluation in cross-border strategic brand allianc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6(3), 354-363. | 미소장 |
53 | Loureiro, S. M. C. (2014). The role of the rural tourism experience economy in place attachment and behavioral inten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40, 1-9. | 미소장 |
54 | Lukermann, F.(1964). Geography as a formal intellectual discipline and the way in which it contributes to human knowledge, Canadian Geographer 8(4), 167-172. | 미소장 |
55 | MacInnis, D. J., & Park, C. W. (1991). The differential role of characteristics of music on high-and low-involvement consumers'processing of ad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8(2), 161-173. | 미소장 |
56 | Mandler. G.(1980). Recognizing the judgement of previous occurrence, Psychological Review 87, 252-271. | 미소장 |
57 | Masuda, T., & Nisbett, R. E. (2001). Attending holistically versus analytically: comparing the context sensitivity of Japanese and America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1(5), 922. | 미소장 |
58 | Mazumdar, S., & Mazumdar, S. (2004). Religion and place attachment: A study of sacred place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4(3), 385-397. | 미소장 |
59 | McArthur, S. and Hall, C. M. (1996). Interpretation:Principles and practice. In C.M. Hall and S. McArthur Heritage Management in Australia and New Zealand(2nd edn),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60 | Monga, A. B., & John, D. R. (2007). Cultural differences in brand extension evaluation:The influence of analytic versus holistic think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3(4), 529-536. | 미소장 |
61 | Nisbett, R. E., Peng, K., Choi, I., & Norenzayan, A. (2001). Culture and systems of thought:holistic versus analytic cognition. Psychological review 108(2), 291. | 미소장 |
62 | Proshansky, H. M. (1978). The city and selfidentity, Environment and Behavior 10(2), 147-169. | 미소장 |
63 | Reber, R., Schwarz, N., & Winkielman, P. (2004). Processing fluency and aesthetic pleasure:Is beauty in the perceiver's processing experienc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8(4), 364-382. | 미소장 |
64 | Relph, E. (1976). Place and placelessness (Vol. 1), Pion. | 미소장 |
65 | Scannell, L., & Gifford, R. (2010). Defining place attachment: A tripartite organizing framework,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30(1), 1-10. | 미소장 |
66 | Smith, J. K., & Wolf, L. F. (1996). Museum visitor preferences and intentions in constructing aesthetic experience. Poetics 24(2-4), 219-238. | 미소장 |
67 | Stedman, R. C. (2002). Toward a social psychology of place: predicting behavior from place-based cognitions, attitude, and identity, Environ. Behav. 34, 561-581. | 미소장 |
68 | Tanner, J.(2009). Special Places: Place attchment and children’s happiness, Primary Geography, spring, 5-8. | 미소장 |
69 | Therkelsen, A., Halkier, H., & Jensen, O. B. (2010). Branding Aalborg: Building com munity or selling place? In G. Ashworth, & M. Kavaratzis (Eds.). Towards effective place brand management, Edward Elgar. | 미소장 |
70 | Vaughan, R.(2001). Images of a museum, Museum Management and Curatorship, 19(3): 253-268. | 미소장 |
71 | Wanzer, D. L., Finley, K. P., Zarian, S., &Cortez, N. (2020). Experiencing flow while viewing art: Development of the Aesthetic Experience Questionnaire,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14(1), 113-124. | 미소장 |
72 | Williams, D. R., Roggenbuck, J. W., Patterson, M. E. & Watson, A. E.(1992). Beyond the Commodity Metaphor: Examining Emotional and Symbolic Attachment to Place, Leisure Sciences 14(1), 29–46. | 미소장 |
73 | Yuksel. A., Yuksel, F, Bilim, Y. (2010). Destination attachment: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ognitive, affective and conative loyalty, Tourism management 31, 274-284. | 미소장 |
74 | Zeelenberg, M., & R. Pieters (2004). Beyond Valence in Customer Dissatisfaction: A Review and New Findings on Behavioral Responses to Regret and Disappointment in Failed Servic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7 (4), 445-45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