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한국어교육에서의 수업 사례연구에 대한 연구방법론적 경향 = Research methodological trends for class case stud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구민지 p. 1-15
한국어 학습서에 나타난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인식 연구 = A study on the early protestant missionaries' perception reflected in Korean language study books : focusing on the first editions of Korean language study books in the 1890s : 1890년대 한국어 학습서 초판본을 중심으로 이민경 p. 17-35
중국 내 한국어 교육 발전의 특성과 향후 발전을 위한 과제 =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development in China and tasks for future development : focused on education in universities : 대학 교육을 중심으로 홍금주 p. 37-48
문자 텍스트와 복합양식 텍스트에 따른 학습자의 작문 양상 연구 = A study on aspect of learners’ writing depending on letter-based text and multimodal text 한주연 p. 49-62
한국어 학술 논문에 나타나는 객관성 확보 전략 표현의 사용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use of objectivity-securing strategy expressions in Korean academic papers 손연정 p. 63-77
메타버스 활용 블렌디드 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연구 = A study of blended learning using metaverse :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instructor and learners 박주현, 한송이, 박성경, 김영윤 p. 79-95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외국인 대학생의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for foreign university students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추가영, 주수언 p. 97-108
메타버스를 활용한 의료·돌봄 통합시스템 구축 및 활성화 = Establishment and vitalization of integrated medical care system using metaverse 김일노, 윤준영 p. 109-122
2020~2022년 국내 메타버스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domestic metaverse education research trends from 2020 to 2022 : focusing on topic modeling : 토픽 모델링을 중심으로 한송이, 김태종 p. 123-141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의 분석 자동화 기술 동향 = Analysis automation technology trends in cloud-based platforms 김윤기, 한성수 p. 143-155
대학 기초교양 교육과정에서의 SW·AI 관련 교과 현황 연구 =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SW·AI-related subjects in the basic liberal arts curriculum at universities 전종희 p. 157-172
대학 신입생을 위한 소프트웨어 기초 교육 만족도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university freshmen's satisfaction with introductory software education classes 이은미, 최명숙 p. 173-188
대학 역량교육 비교과프로그램 운영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operation of non-ubject programs centered on university competency education : the effect of reading community book club experience on core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 책읽기공동체 북클럽 경험이 대학생 핵심역량에 미치는 효과 심보경 p. 189-202
학습민첩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variables affecting learning agility : focusing on army officers & NCOs : 육군 간부를 중심으로 최순원 p. 203-226
예비교사의 프로젝트 학습 경험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project-based learning experience of pre-service teachers 신혜원, 박성희 p. 227-244
생애담 연구에 있어서 주변 지인 목격담의 특징과 의의 =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sightings of neighbors in life story research : focusing on the study of the life story of Shim Hwa-young, a human cultural property : 인간문화재 고(故) 심화영 생애담 연구를 중심으로 백민정 p. 245-258

영화 <버닝>(2018)에 나타난 '감각'의 이행(移行) = The transition of 'sense' in the movie Burning 최민서 p. 259-270
외국인 선교사의 조선 경험 서사를 활용한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 = A study on the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using foreign missionary’s narrative of Josun experience 윤인선 p. 271-280
남송(南宋) 시기의 소외 사문학(詞文學) = A study on the alienated Ci’literature of Nan’Song Dynasty 홍병혜, 윤혜지 p. 281-290
K-드라마 팜 파탈 캐릭터의 원형성 = The archetype of femme fatale character in K-drama : focusing on the heroine of Misty : <미스티> 여주인공을 중심으로 김공숙 p. 291-308

설치미술과 경험의 미학 = Installation art and the aesthetics of experience 박재형 p. 309-320
시각 예술에서 응시와 여성의 주체 = A study on the gaze and subjectivity of women in visual art : focused on Cindy Sherman and Caroline Walker’s works : 신디 셔먼과 캐롤라인 워커의 작품을 중심으로 양화선 p. 321-332
미술관과 전시의 정체성 일치가 미술관 장소애착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identity fit between museum and exhibition on museum place attachment :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 서울 소재 대학생을 중심으로 이해리, 허은진, 윤나라 p. 333-347
코로나 팬데믹 시기의 한국대중문화에 나타난 한국전통문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Korean popular culture and the traditional culture in the COVID-19 era : focusing on the BTS and Leenalchi’s performances : BTS와 이날치의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문선아 p. 349-360
BTS 콘텐츠에 함의된 성장의 의미 분석 = Analysis of the meaning of growth implied in BTS contents : focusing on the 《WINGS》 album : 《WINGS》 앨범을 중심으로 조희연 p. 361-373
세계유산 경주역사유적지구의 관리전략 연구 = A study on the management strategy of World Heritage Gyeongju Historic Area : focusing on the credibility of the World Heritage list : 세계유산목록의 신뢰성을 중심으로 김수민 p. 375-387
GIS를 활용한 한려해상국립공원 문화유산의 분포 분석 = Distributions and management of cultural heritage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using GIS : 한려해상지역 고고·역사분야를 중심으로 김영완 p. 389-399
문화예술회관의 브랜드가 지역민의 만족과 애착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brand equity on residents’ satisfaction and community attachment in culture and arts center : focused on Seongnam Arts Center : 성남아트센터를 중심으로 백혜원, 김선영 p. 401-418
지체장애인의 장애수용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disability acceptance of persons with physical disabilities 정문경 p. 419-432
성격강점의 극단과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treme levels of character strengths and psychological maladjustment 조현석 p. 433-447
예비유아교사의 놀이성과 창의적 인성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layfulness and creative personality on play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the mediating effects of play belief : 놀이신념의 매개효과 김은하, 박희숙 p. 449-463
MZ세대 대학생의 미술치료 경험 내러티브 탐구 = Narrative inquiry of art therapy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MZ generation : 부모로부터 심리적 독립과 나로서기 여정에 관한 하채은, 김서현 p. 465-480
뉴 시니어를 위한 자세/체형 교정용 이너웨어의 잠재적 수요조사 = Analysis of the potential demand for posture/body shape correction inner-wear for new seniors 한현정, 황현정, 이현주 p. 481-492

중년여성의 우울증상 완화를 위한 핵심감정 표현 통합예술 치료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core emotional expression integrated art therapy for the relief of depressive symptoms in middle-aged women 장만식, 정영기 p. 493-510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인문학 이미지 활용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 Development of a group counselling program using humanities images and its effect validation for establishment of ego ident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오명애, 김성봉, 조숙 p. 511-526
알고 있는 표현항목의 텍스트 점유율이 한국어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ext coverage of known expression items on Korean reading comprehension 윤새롬, 황혜란 p. 527-536
과목을 중심으로">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한국어 수업 모형 개발 및 효과 연구 =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 verification of blended learning-based Korean teaching model : focus on the "Intermediate Korean2" course at G university in China : 중국 G대학의 <중급 한국어2> 과목을 중심으로 강미함 p. 537-552
한국어 교육 문법 항목의 사용역 분석 연구 = A study on the register of grammar item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based on spoken formal/informal register : 구어 격식/비격식 사용역을 중심으로 강혜림, 백재파 p. 553-563

드랙 페르소나와 분장의 상관성 연구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drag persona and makeup : focusing on drag makeup contents on YouTube : 유튜브 내 드랙 분장 콘텐츠를 중심으로 윤세희 p. 565-574
부르디외의 장이론으로 본 NFT 아트의 가치 정립 = Constructing the value of NFT art from the perspective of Bourdieu’s field theory : focusing on the case of Seoul Auction : 서울옥션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진우 p. 575-589
대학 신입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igital literacy capacity and perception of new college students 이연정 p. 591-602
입체조형을 통한 초등미술 교육의 확장 = Expansion of elementary art education through three-dimensional sculpture 강태환 p. 603-613
언어의 한계와 인공지능(AI)을 통해 확장된 소통의 가능성 = The limitations of language and the possibility of expanded communication through the AI : focusing on the exhibition "Sorry, Please Say That Again" : ⟪잘 알아듣지 못했어요, 다시 한번 말씀해 주세요⟫ 전시를 중심으로 박제언, 곽민정, 이미영 p. 615-629
카뮈의 "이방인"에 등장하는 주인공 뫼르소의 탈신화화 = A demythization of the main character, Meursault in Camus’s The Stranger 김성수 p. 631-643
대학 전공능력 진단도구의 통합적 타당화 연구 = Study on the integrated validation of college major ability diagnosis tool : focusing on the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 화학공학과를 중심으로 김경리 p. 645-658
음악기호학을 활용한 영화음악 분석 = Film music analysis using semiotics : focusing on <The Children Act> : <칠드런 액트>를 중심으로 안수환, 강은수 p. 659-675
M. 불가코프 드라마 <위선자들의 카발라>의 해빙기, 포스트 소비에트 시대의 무대화 연구 = A study on the staging of M. Bulgakov's Play <Kabbalah of Hypocrites> in the Thawing Ages and post-Soviet Era : focusing on performances by Efros in 1966, Yefremov in 1988, and Tabakov in 2001 : 1966년 에프로스, 1988년 예프레모프, 2001년 타바코프의 공연을 중심으로 이승억 p. 677-692

FPBL 플립프로젝트기반 학습의 패션스터디 교과과정 설계 = FPBL(Flipped Project Based-Learning) applied to fashion study curriculum design : the history of modern fashion culture and art using film and video media : 영화 및 영상매체 활용을 통한 시대별 현대패션 문화예술사를 중심으로 이규진 p. 693-708
: 작품 <4분 33초>를 중심으로"> 존 케이지의 음악에 나타난 동양 철학 사상 연구 = A study on John Cage’s Eastern philosophical thought appearing in his music : focusing on <4' 33"> : 작품 <4분 33초>를 중심으로 이희영, 김현태 p. 709-719
영화 음악으로서의 기존 음악(pre-existing music) 연구 = A study on pre-existing music as film music : focusing on the movie <Decision to Leave> : 영화 <헤어질 결심>을 중심으로 왕혜은, 김현태 p. 721-735
북한이주여성들의 자기돌봄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전문가집단 FGI연구 = A FGI study on the expert group of self-care programs for North Korean immigrant women 전주람, 신윤정, 배일현, 배지홍 p. 737-749
초등학교 교과융합 기반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 Effectiveness analysis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 based on curriculum convergence in elementary school 이형순, 박성희 p. 751-764
통합 교육과정 관점에서 본 가정 교과서 통합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home textbook integ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ed curriculum 주수언 p. 765-779
다단계판매자들의 내적 동기와 지속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ntrinsic motivation and business continuity of multi-level marketing sellers : focusing on participants in happy enterprises : 행복기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김은정 p. 781-797
전남 도서지역의 초등학교 교가에 표현된 오감의 경관 자원의 분포와 특성 = Distributions and characteristics on the resources of the five senses expressed in elementary school songs in the island area of Jeollanam-do 한명호 p. 799-810

조직 구성원들의 대인관계능력향상을 위한 비대면 집단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non-face-to-face group counseling to improve interpersonal skills of organization members : utilizing humanities convergence therapy : 인문융합치료를 활용하여 김진선 p. 811-829
중국 20대 여성들의 SNS 사교회피 현상에 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social avoidance of SNS of Chinese women in their 20s : focusing on in-depth interview on users of Samilgasi in WeChat Moment : 위챗 모멘트(WeChat Moment)의 삼일가시(三日可示) 이용자에 대한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안결경, 나미수 p. 831-846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이용한 학령기 아동의 성별 및 운동참여 여부에 따른 학업수행능력 및 학업동기의 차이 분석 = The analysis of differences among academic performance and academic motive by gender and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using panel study on Korean school age children 한건수 p. 847-857
문화유산 태도, 사회자본, 참여활동, 문화유산 가치인식 간 인과관계 분석 =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cultural heritage attitudes, social capit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cultural heritage value recognition 채경진 p. 859-869
미용대학에서 집중이수제를 적용한 헤어실무 PBL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PB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using the intensive completion system in the university beauty department 이서희, 권기한 p. 871-882
지적장애인의 대인관계조화 집단상담 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A qualitative research on the the experience of harmonic interpersonal relation program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백유미 p. 883-894
스네어 드럼 스트레이너의 변천 과정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snare drum straine 김지현 p. 895-907
MZ세대의 헤어관리행동과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감성지능 매개 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air care behavior and self-efficacy of MZ generation 임미연 p. 909-922
D. H. 로렌스 교육론의 의의와 현재성 = D. H. Lawrence on modern education 윤영필 p. 923-933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론' 영역 문항 개선 방안 연구 = Improving the 'Studies in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items on the Test of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 a mixed methods study : 혼합연구방법을 중심으로 민진영, 황명환 p. 935-948
청년공간에서의 시 창작 활동 교육 프로그램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poetry creative activity education program in youth space 권현지 p. 949-967
근대 한국 주거문화에서 여성의 역할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role of women in modern Korean residential culture : construction of basic materials for Korean teacher education : 한국어 교원 교육 기초 자료 구축 최영희 p. 969-988
국내 인문사회기반 융합연구의 학술 및 과학기술 성과 분석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analysis of academic an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chievements of domestic humanities and social-based convergence research : 한국연구재단 학제간융합연구지원사업과 일반공동연구지원사업(융복합연구)을 중심으로 노영희, 신영지 p. 989-999
가상 공간에서의 교회 모임에 대한 성서학적 근거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biblical basis for church meetings in virtual space : focusing on temple theology : 성전신학을 중심으로 김재현 p. 1001-1011
초·중·고등학생이 지각하는 테크노스트레스, 멀티리터러시, 학업적 자기효능감, 행복플로리시 간의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perceived techno-stress, multi-literacy, academic self-efficacy, and happiness flourishing amo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우채영 p. 1013-1027

참고문헌 (7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국립현대미술관, https://mmca.go.kr. 미소장
2 국토연구원(2022). 균형발전 모니터링 & 이슈 Brief 10. 미소장
3 김성조, 김재학(2020). 박물관 방문객의 비선형 행위적태도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44(1), 113-133. 미소장
4 김세영(2013). 예술과 테크놀러지를 활용한 유희적 공간에서의 미적 경험에 관한 연구 22(3), 61-69. 미소장
5 김혜영, 김세준(2014). 박물관의 장소성 형성요인이장소애착과 장소가치인식, 행위의도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 정동지역 박물관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30, 186-217. 미소장
6 권남희(2017). 박물관교육 참여자의 회상을 통해 본미적경험 연구, 박물관교육연구 17, 59-86. 미소장
7 네일 코틀러, 필립 코틀러, 한종훈, 이혜진 역(2007). 박물관학: 뮤지엄 경영과 전략, 박영사. 미소장
8 에드워드 렐프, 김덕현, 김현주 역(2005).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미소장
9 박은진(2000). 환경의 미적 경험과 장소성 형성을 위한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장식미술학과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0 박정희, 송행란(2017). 유아의 교육기관 장소애착 관련변인 연구-대인적 요소를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4(3), 227-251. 미소장
11 서울시립미술관, https://sema.seoul.go.kr. 미소장
12 서울특별시, https://news.seoul.go.kr. 미소장
13 서울앤, http://seouland.com. 미소장
14 송영민, 강준수(2017). 박물관에서의 관광경험에 대한미학(Aesthetics)적 고찰: 김중업 박물관 방문객 인터뷰를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1(5), 107-120. 미소장
15 신창엽, 윤나라(2012). 웹페이지에 사용된 색과 음악간의 의미 부합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41(5), 957-990. 미소장
16 신희진, 김세준(2019). 학습관점에 따른 뮤지엄 전시관람객의 미적경험 측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58, 193-224. 미소장
17 아트렉쳐, https://artlecture.com. 미소장
18 윤나라, 이윤경, 이철성(2013). 브랜드 스캔들의 유형과 소비자의 사고체계에 따른 스캔들 유출효과의 차이가 기업과 경쟁사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42(4), 875-897. 미소장
19 이모영(2011). 미적경험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과 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6(4), 1-24. 미소장
20 이보아(2006). 모바일 기술과의 융합을 통한 박물관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 연구, 인문콘텐츠 7, 23-50. 미소장
21 이세규(2016). 장소애착이 도시브랜드에 미치는 영향:함평나비축제를 사례로, 지방행정연구 30(4), 331-352. 미소장
22 이승훈(2019). ‘미적 경험’과 가치 생성, 공공사회연구 9(2), 5-33. 미소장
23 이은숙(2006). 장소애착의 본질: 시 「다시 엘르에게」를 통해서, 문화역사지리 18(1), 1-10. 미소장
24 이정호(2011).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장소애착이 장소가치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4), 209-234. 미소장
25 정윤희, 이종호(2009). 경험적 소비에서 경험특성, 즐거움과 죄책감, 재경험 의도의 관계, 경영학연구 38(2), 523-553. 미소장
26 최낙환(2011). 선호도 유창성의 요인과 긍정적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40(1), 207-232. 미소장
27 최열, 임하경(2005). Poisson regression을 이용한주거정주의 결정요인 분석, 국토연구 46, 1-17. 미소장
28 티모시 앰브로즈 외, 이보아 역(2001). 실무자를 위한 박물관 경영 핸드북, 학고재. 미소장
29 하동현(2011). 관광목적지 장소애착의 구성요인이 해설 만족, 관여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1(3), 1-16. 미소장
30 Adams, G.D. (1983). Museum Public Relations, American Association for State and Local History. 미소장
31 Ali, F., K. Ryu, and K. Hussain (2016). Influence of Experiences on Memories,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A Study of Creative Tourism, Journal of Travel &Tourism Marketing 33 (1), 85-100. 미소장
32 An, D., Lee, C., Kim, J., & Youn, N.(2019). Grotesque imagery enhances the persuasiveness of luxury brand advertising,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38(1), 1-19. 미소장
33 Anand, P. & B. Sternthal(1991). Perceptual Fluency and Affect Without Recognition, Memory&Cognition 19(3), 293-300. 미소장
34 Aronson, E., Wilson, T. D., Akert, R. M., &Fehr, B. (2005). Social psychology(3rd Canadian ed.), Pearson Prentice Hall. 미소장
35 Berleant, A. (1970). The aesthetic field: A phenomenology of aesthetic experience. 미소장
36 Barnard, W.A., Loomis, R.J., Cross, H.A. (1980). Assessment of visual recall and recognition learing in a museum, Bulletin of Psychonomic Society 16(4), 311-313. 미소장
37 Brocato, E.D. (2006). Place attachment: an investigation of environments and outcomes in a service context, [Doctorial dissertation thesis, University of Texas], ProQuest Dissertations and Theses database. 미소장
38 Chen, N., & Dwyer, L.(2018). Residents’ place satisfaction and place attachment on destination brand-buiding behaviors:Conceptual and empirical differentiation, Journal of Travel Research 57(8), 1026-1041. 미소장
39 Choi, I., Dalai, R., Kim-Prieto, C., & Park, H. (2003). Culture and judgement of causal relev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1), 46. 미소장
40 Choi, I., Koo, M., & Choi, J. A.(2007). Individual differences in analytic versus holistic thinking,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3(5), 691-705. 미소장
41 Ekinci, Y., & Hosany, S. (2006). Destination personality: An application of brand personality to tourism destinations. Journal of Travel Research 45(2), 127-139. 미소장
42 Ellis, D.(2010). The role of the university museum in community development, UMAC journal 2,1-4. 미소장
43 Feldman, R.(1990). Tourism and place identity. Unpublished Dissertation, Dept. of Recreation, Parks and Tourism Science, Texas A &M University. 미소장
44 Finke, R. A. (1996). Imagery, creativity, and emergent structure, Con sciousness &Cognition 5, 381-393. 미소장
45 Heidegger, Martin(1958). An Ontological Consideration of Place, The Question of Being, Twayne Publishers. 미소장
46 Jacoby, L.L.(1983). Perceptual enhancement Persistent effects of an experience,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9, 21-38. 미소장
47 Kim, L. & Chan, J. (2009). The consumption of museum service experiences: Benefits and value of museum experiences. Journal of Hospitality Marketing & Management 18(2-3), 173-196. 미소장
48 Kesner, L. (2006). The role of cognitive competence in the art museum experience, Museum management and curatorship 20, 1-16. 미소장
49 Kotler, N. (1999). Delivering Experience: Marketing the Museum’s Full Range of Assets, Museum News 5(6), 30-39. 미소장
50 Lee, A. Y., Keller, P. A., & Sternthal, B. (2010). Value from regulatory construal fit: The persuasive impact of fit between consumer goals and message concretenes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6(5), 735-747. 미소장
51 Lee and Labroo (2004). The effect of conceptual and perceptual fluency on brand evalua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6, 151-165. 미소장
52 Lee, J. K., Lee, B. K., & Lee, W. N. (2013). Country-of-origin fit's effect on consumer product evaluation in cross-border strategic brand allianc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6(3), 354-363. 미소장
53 Loureiro, S. M. C. (2014). The role of the rural tourism experience economy in place attachment and behavioral inten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Hospitality Management 40, 1-9. 미소장
54 Lukermann, F.(1964). Geography as a formal intellectual discipline and the way in which it contributes to human knowledge, Canadian Geographer 8(4), 167-172. 미소장
55 MacInnis, D. J., & Park, C. W. (1991). The differential role of characteristics of music on high-and low-involvement consumers'processing of ad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8(2), 161-173. 미소장
56 Mandler. G.(1980). Recognizing the judgement of previous occurrence, Psychological Review 87, 252-271. 미소장
57 Masuda, T., & Nisbett, R. E. (2001). Attending holistically versus analytically: comparing the context sensitivity of Japanese and America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1(5), 922. 미소장
58 Mazumdar, S., & Mazumdar, S. (2004). Religion and place attachment: A study of sacred place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4(3), 385-397. 미소장
59 McArthur, S. and Hall, C. M. (1996). Interpretation:Principles and practice. In C.M. Hall and S. McArthur Heritage Management in Australia and New Zealand(2nd edn),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60 Monga, A. B., & John, D. R. (2007). Cultural differences in brand extension evaluation:The influence of analytic versus holistic thinking,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33(4), 529-536. 미소장
61 Nisbett, R. E., Peng, K., Choi, I., & Norenzayan, A. (2001). Culture and systems of thought:holistic versus analytic cognition. Psychological review 108(2), 291. 미소장
62 Proshansky, H. M. (1978). The city and selfidentity, Environment and Behavior 10(2), 147-169. 미소장
63 Reber, R., Schwarz, N., & Winkielman, P. (2004). Processing fluency and aesthetic pleasure:Is beauty in the perceiver's processing experienc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8(4), 364-382. 미소장
64 Relph, E. (1976). Place and placelessness (Vol. 1), Pion. 미소장
65 Scannell, L., & Gifford, R. (2010). Defining place attachment: A tripartite organizing framework,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30(1), 1-10. 미소장
66 Smith, J. K., & Wolf, L. F. (1996). Museum visitor preferences and intentions in constructing aesthetic experience. Poetics 24(2-4), 219-238. 미소장
67 Stedman, R. C. (2002). Toward a social psychology of place: predicting behavior from place-based cognitions, attitude, and identity, Environ. Behav. 34, 561-581. 미소장
68 Tanner, J.(2009). Special Places: Place attchment and children’s happiness, Primary Geography, spring, 5-8. 미소장
69 Therkelsen, A., Halkier, H., & Jensen, O. B. (2010). Branding Aalborg: Building com munity or selling place? In G. Ashworth, & M. Kavaratzis (Eds.). Towards effective place brand management, Edward Elgar. 미소장
70 Vaughan, R.(2001). Images of a museum, Museum Management and Curatorship, 19(3): 253-268. 미소장
71 Wanzer, D. L., Finley, K. P., Zarian, S., &Cortez, N. (2020). Experiencing flow while viewing art: Development of the Aesthetic Experience Questionnaire,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14(1), 113-124. 미소장
72 Williams, D. R., Roggenbuck, J. W., Patterson, M. E. & Watson, A. E.(1992). Beyond the Commodity Metaphor: Examining Emotional and Symbolic Attachment to Place, Leisure Sciences 14(1), 29–46. 미소장
73 Yuksel. A., Yuksel, F, Bilim, Y. (2010). Destination attachment: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ognitive, affective and conative loyalty, Tourism management 31, 274-284. 미소장
74 Zeelenberg, M., & R. Pieters (2004). Beyond Valence in Customer Dissatisfaction: A Review and New Findings on Behavioral Responses to Regret and Disappointment in Failed Servic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7 (4), 445-45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