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최상승론(最上乘論)』의 사상적 특징과 그 의의 =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ory of the Zuishangchenglun(最上乘論) and its significance / 김정미 1

목차 1

국문요약 2

Ⅰ. 서언(緖言) 3

Ⅱ. 홍인(弘忍)의 전기와 『최상승론』의 저자 문제 4

Ⅲ. 『최상승론』의 선사상 11

1. 『최상승론』의 구성 11

2. 『최상승론』의 선사상 14

3. 도신선(道信禪)과의 관계 21

Ⅳ. 결어 23

참고문헌 25

Abstract 27

초록보기

동산법문(東山法門)은 중국 선종의 본격적인 출발을 알리는 중요한 단계이다. 본 논문에서는 도신(道信)을 계승하여 동산법문을 창립한 홍인의 생애와 그의 저술인 󰡔최상승론󰡕에 나타난 선사상을 고찰하였다.

홍인의 문하로부터 중국선의 중요한 계열들이 출현하였던 까닭에 홍인의 전기와 그의 ‘십대제자’의 명칭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홍인의 저술로 󰡔최상승론󰡕이 대장경에 수록되어 있었지만, 홍인은 제자들에게 묵묵히 현리(玄理)를 가르쳤기 때문에 저술을 남기지 않았다고 알려져 역대로 중시되지 못하였다. 그러나 돈황 문헌이 발굴되면서 󰡔최상승론󰡕이 홍인의 저술임이 밝혀졌다. 그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최상승론󰡕의 구성으로부터 그에 나타나는 선사상을 고찰하였다. 󰡔최상승론󰡕은 모두 14개의 질문과 그에 대한 답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논에서는 ‘자심(自心)’에 금강불성(金剛佛性)이 갖추어져 있음을 밝히고, 그 ‘자심’을 지키는 방법을 수본진심(守本眞心)으로 칭한다. 나아가 최종적으로 이 ‘수본진심’을 통하여 성불(成佛)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홍인의 선법은 스승인 도신(道信)이 제창한 오문선요(五門禪要)의 핵심인 ‘수일불이(守一不移)’를 계승하여 ‘수본진심’로 전환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홍인의 ‘수본진심’은 이후 중국선에서 모두 ‘심’을 중심으로 전개하는데 중요한 작용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스리랑카 탈팟(Talpat) 전통과 필사본 연구. Dīpavaṃsa manuscripts within the Talpat tradition. 1 / 1, Dīpavaṃsa Catalog와 Colophon을 중심으로 레브파고다사라나시하, 김경래 p. 281-309

보기
『최상승론(最上乘論)』의 사상적 특징과 그 의의 =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ory of the Zuishangchenglun(最上乘論) and its significance 김정미 p. 223-250

보기
초의 의순의 이종선과 다선일미의 상관성 고찰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Jong-Seon and Daseonilmi of Choui-Uisun : through Seonmunsabyeonmaneo and Dongdasong / 『선문사변만어』와 『동다송』을 통해 김방룡 p. 11-37

보기
백파와 초의의 선사상 논쟁 재검토 = A re-examination of zen thought debate between Baekpa and Choeui : focusing on three kinds zen and two kinds zen : 삼종선과 이종선을 중심으로 이병욱 p. 39-68

보기
1910년대 조선의 선종에 대한 논쟁 고찰 : A study on the controversy of Joseon zen Buddhism in 1910's : based on 『BulgyoJinhunghoiWolbo』 / 『불교진흥회월보』를 중심으로 김호귀 p. 69-99

보기
洪城 龍鳳山 磨崖佛의 特徵과 造成 背景 再檢討 = Re-examination of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 of rock-carved Buddhas in Yongbongsan Mt., Hongseong 진정환 p. 103-132

보기
『法集別行錄節要竝入私記』의 경절문 一考 : A study on the path of direct cutting in excerpts from the Dharma Collection and Special Practice Record with Personal Notes (法集別行錄節要竝入私記) : focusing on the meaning of ‘the door of entering the way with no-mind’(無心合道門) and ‘observing the keyword’ (看話) / 無心合道門과 看話의 의미 중심으로 윤미란 p. 133-160

보기
普照禪에 대한 眞覺慧諶의 僞造說 再考 = A study on the counterfeiting theory of the Jingak Hyesim (眞覺慧諶) about Bojo-seon (普照禪) 이동혁 p. 161-191

보기
일제강점기 한국에 진출한 일본불교의 종파별 교세현황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social status of the Japanese Buddhism sects that entered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김경집 p. 193-221

보기
초기 불교의 태교 사상 = Early Buddhist theory of prenatal education 김한상 p. 251-280

보기
Vasubandhu’s perspective on the mindstream (saṃtati/saṃtāna) of sentient being (sattva) : 유정의 상속에 관한 바수반두의 관점 : 『아비달마구사론』 「세간품」속 중유이론을 중심으로 / the theory of Antarābhava in the Abhidharmakośabhāṣya Chapter Lokanirdeśa Gu Jahyun p. 311-344

보기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最上乘論』(T48) 미소장
2 『般若波羅蜜多心經疏』(X26) 미소장
3 『維摩詰所說經』(T14) 미소장
4 『金剛般若波羅蜜經』(T8) 미소장
5 『妙法蓮華經玄義』(T33) 미소장
6 『修習止觀坐禪法要』(T46) 미소장
7 『佛垂般涅槃略說教誡經』(T12) 미소장
8 『大般涅槃經』(T12) 미소장
9 『楞伽師資記』(T85) 미소장
10 『曆代法寶記』(T51) 미소장
11 『續高僧傳』(T50) 미소장
12 『釋氏稽古略』(T49) 미소장
13 『宋高僧傳』(T50) 미소장
14 『圓覺經大疏釋義鈔』(X9) 미소장
15 『景德傳燈錄』(T51) 미소장
16 『傳法寶紀』, 柳田聖山, 『初期の禪史Ⅰ』 筑摩書房, 1971. 미소장
17 柳田聖山, 『初期の禪史Ⅰ』, 筑摩書房, 1971. 미소장
18 정성본, 『中國 禪宗의 成立史 硏究』, 민족사, 1991. 미소장
19 이현배, 『대주혜해(大珠慧海)의 선사상(禪思想) 연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미소장
20 이용태, 『南宗의 禪思想 硏究 : 六祖慧能과 荷澤神會를 中心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미소장
21 김제성, 『白坡가 본 『壇經』의 선사상』,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미소장
22 김진무, 「정중종(淨衆宗)의 법계(法系)와 그 선사상(禪思想)」, 『선학』44, 한국선학회, 2016. 미소장
23 이창안, 「동산법문(東山法門)·북종(北宗)과 『단경(壇經)』의 수증관(修證觀) 비교」, 『大覺思想』21, 대한불교조계종 대각회 대각출판부 2014. 미소장
24 김종두, 「天台의 一行三昧와 東山法門에 관한 고찰」, 『韓國禪學』19, 한국선학회 2008. 미소장
25 김진무, 「道信禪師의 禪思想과 그 意義」, 『佛敎學報』42, 東國大學校出版部, 200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