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수신서 『유학강요』의 위상과 '전통의 발명' : 일본인물의 '위인화'를 중심으로 = The status of moral textbook Yōgaku kōyō and “invention of traditions” : focusing on “creating an exemplar” of Japanese figures / 박시언 1
국문초록 1
목차 1
서론 2
제1장 근대일본의 수신 교과와 『유학강요』의 위상 4
1. 『유학강요』의 체제 4
2. 수신 교과의 역사성과 『유학강요』 6
제2장 『유학강요』 일본인물의 제반 형상 10
제3장 인물의 재편과 정통성의 창출 19
1. 고대를 배경으로 한 인물의 특징 : 천황의 친정 19
2. 중세를 배경으로 한 인물의 특징 : 남조 정통론 21
3. 근세를 배경으로 한 인물의 특징 : 학문적 지향 23
결론 25
참고문헌 26
Abstract 28
日本語抄録 28
필자인적사항 28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박이진(2022) 「19세기 후반 일본 여자교육의 모델이 된 여성들―수신 교과서 『婦女鑑』의 인물 구성 연구」『大東文化硏究』 117, p.339. | 미소장 |
2 | 박이진・박시언(2022) 「수신 교과서 부녀감(婦女鑑) 의 텍스트성-일본 근대 전환기 여성표상의 다양성-」, 『사총』 105, p.197. | 미소장 |
3 | 베네딕트 앤더슨 저・서지원 역(2021) 『상상된 공동체』, 도서출판길, pp.20-24, 26. | 미소장 |
4 | 이명실(2017) 『논쟁으로 보는 일본 근대교육의 역사』, 살림터, pp.90-91. | 미소장 |
5 | 정형(2013) 「전쟁영웅 내러티브 연구의 방법과 실제」, 『일본의 전쟁영웅 내러티브 연구』, 제이앤씨, pp.17-18, p.25. | 미소장 |
6 | 스즈키 사다미 저・정재정 외 역(2008) 『일본의 문화내셔널리즘』,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pp.41-45. | 미소장 |
7 | 하루오 시라네(白根治夫)외 저・왕숙영 역(2002) 『창조된 고전』, 소명출판, pp.39-40. | 미소장 |
8 | 越後純子(2016) 『近代敎育と婦女鑑の硏究』, 吉川弘文館, pp.248-249, p.273. | 미소장 |
9 | 鈴木貞美(2015) 『近代の超克』, 作品社, p.194. | 미소장 |
10 | 矢治佑起(1990) 「『幼学綱要』に関する研究―明治前期徳育政策史上における意味の検討―」, 『日本の教育史学』 33, pp.37-45. | 미소장 |
11 | 海後宗臣(1962) 『日本敎科書体系近代編』第3券修身(三), 講談社, pp.567-573, p.594. | 미소장 |
12 | 元田永孚(1935) 『幼學綱要』, 宮內省藏板縮冊板, 日本精神文化振興會. | 미소장 |
13 | 元田永孚(1883) 『幼學綱要』, 宮內省藏板1쇄판, 吉川弘文館. | 미소장 |
14 | 『文部省第五年報・第一冊』(1877), 文部省, pp.515-523. | 미소장 |
15 | 『文部省第三年報・第一冊』(1875), 文部省, pp.617-623.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9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