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19세기 말 일본 여성 지식인의 문필활동과 자기인식 : 시미즈 시킨을 중심으로 = Writing and self-perception of Japanese women intellectuals in the late 19th century : focusing on Shimizu Shikin / 박은영 1

국문초록 1

목차 1

서론 2

제1장 시미즈 시킨의 생애 3

제2장 투철한 여권론자 시킨 6

제3장 유능한 여성기자 시킨 8

제4장 주체적 여성작가 시킨 12

결론 15

참고문헌 17

Abstract 19

日本語抄録 19

필자인적사항 19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메이지 초, 한반도 인식의 다층성 = Images of the Korean Peninsula presented in the Meiji era moral textbook, Yōgaku Kōyō : 『유학강요』에 묘사된 '중계자, 문화 전래자'로서의 '한반도/한반도인' 채수은 p. 57-77

보기
수신서 『유학강요』의 위상과 '전통의 발명' = The status of moral textbook Yōgaku kōyō and “invention of traditions” : focusing on “creating an exemplar” of Japanese figures : 일본인물의 '위인화'를 중심으로 박시언 p. 5-32

보기
本居宣長の『古事記伝』から見た「韓(カラ)」についての考察 = A study of “Korean” as seen from “Kojikiden” by Norinaga Motoori 山口和男 p. 173-189

보기
19세기 말 일본 여성 지식인의 문필활동과 자기인식 = Writing and self-perception of Japanese women intellectuals in the late 19th century : focusing on Shimizu Shikin : 시미즈 시킨을 중심으로 박은영 p. 121-139

보기
JTBパブリッシング『るるぶ原神』に対する考察 = Reflections on JTB Publishing's “Rurubu Genshin” : a tourist guidebook transformed into a game guidebook : ゲームガイドブックに化した観光ガイドブック 李正薫 p. 239-266

보기
일본 대중문화 개방정책의 현황 및 의의 = Current status and significance of opening policy on Japanese pop culture 한영균 p. 267-291

보기
일본 서브컬처 속의 '지역' 표상 = ‘Local’ in Japanese subculture : 『우동의 나라 금색 털뭉치』 속의 가가와현 표상을 중심으로 남상욱 p. 101-119

보기
일본사회의 외국인 '혐오'와 혼혈 = Japanese society’s ‘hate’ for foreigners and mixed races : the dichotomy of “international child”, “double” discourse and “Asian” mixed race : '국제아', '더블' 담론의 이분법과 '아시아계' 혼혈 박이진 p. 141-172

보기
한문학의 관점에서 살펴본 『유학강요』 =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tu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 the figure of Sugawara no Michizane in 『Yōgaku Kōyō』 : '충신' 스가와라노 미치자네의 표상이 갖는 한계와 의미 우제인 p. 79-99

보기
<우주전함 야마토> 팬덤의 미디어와 SF 문화 = Media of the Space Battleship Yamato fandom and science fiction culture 이석 p. 215-237

보기
메이지기 유교 사상의 변용과 도덕교육 = The use of Confucian scriptures and the representation of Confucian saints in the “Jugaku Gakusyo” : 『유학강요』에 나타난 유교경전 활용과 유교 '성인'의 표상 이아영 p. 33-56

보기
안보위기 인식에 따른 일본 국방전략의 역사적 고찰 = A study on defense strategy according to Japan's perception of security crisis in Northeast Asia 유지아 p. 191-213

보기

참고문헌 (4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오카다 아키코 저, 정의・염송심・전성곤 공역(2015) 『국민국가의 지식장과 문화정치학』, 학고방, p.85. 미소장
2 이은주(2009) 「여성에 의한 여성의 ‘주체’형성에 관한 고찰-『십삼야(十三夜)『와 『깨진 반지(こわれ指環)『를 중심으로」『일본학연구』 28,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pp.313-334. 미소장
3 장미경(2008) 『近代韓日女性敎育과 小說硏究』, 전남대학교 박사논문, pp.1-240. 미소장
4 신선향(2005) 『일본문학과 여성』, UUP, pp.1-235. 미소장
5 村中淑子(2015) 「明治小説にみる京都方言: 清水紫琴「心の鬼」(明治30年)を資料として」『現象と秩序』 2、現象と秩序企画編集室、pp.173-190. 미소장
6 村田容常(2015) 「紫琴と由直: 女性先駆者と反骨農芸化学者夫妻の足跡と限界」『研究紀要』60、お茶の水女子大学附属高等学校、pp.1-20. 미소장
7 内田聖子(2013) 『清水紫琴: 幻の女流作家がいた』、日本文学館、pp.1-221. 미소장
8 大橋崇行(2010) 「「実際的小説」の方法--清水紫琴「こわれ指環」と『女学雑誌』の小説観」『日本近代文学』 82、日本近代文学会、pp.77-92. 미소장
9 岡西愛濃(2006) 「語りの空白を読む--清水紫琴「こわれ指輪」論」『キリスト教文学研究』 23、日本キリスト教文学会、pp.55-65. 미소장
10 岡西愛濃(2003) 「清水紫琴「こわれ指環」論--その基底となるもの」『同志社女子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紀要』 3、同志社女子大学大学院文学研究科、pp.25-44. 미소장
11 平田由美(1999) 「女運命の凝視―「こわれ指環」」『女性表現の明治史』、岩波書店、p.207. 미소장
12 林正子(1996) 「清水紫琴の<女権>と<愛恋>: 明治の<女文学者>,その誕生の軌跡」 『岐阜大学国語国文学』 23、岐阜大学、pp.23-39. 미소장
13 ひろた まさき(1995) 「近代エリート女性のアイデンティティと国家」『ジェンダーの日本史(下)』、 東京大学出版会、p.202. 미소장
14 榎本義子(1993) 「清水紫琴と西欧思想」『フェリス女学院大学文学部紀要』 28、フェリス女学院大学、pp.49-62. 미소장
15 古在由重編(1983) 『紫琴全集全一卷』、草土文化、pp.1-627.(이하 전집에서 사용한 자료) 미소장
16 駒尺喜美「紫琴小論」 미소장
17 古在由重「明治の女 清水紫琴のこと」 미소장
18 清水紫琴「植木枝盛著『東洋之婦女』序文」 미소장
19 清水紫琴「敢て同胞兄弟に望む」 미소장
20 清水紫琴「女子演説家と評判する青井栄嬢を訪ふ」 미소장
21 清水紫琴「女子演説家と評判する青井栄嬢を訪ふ(下)」 미소장
22 清水紫琴「跡見花蹊女史を訪ふ」 미소장
23 清水紫琴「跡見花蹊女史を訪ふの記(下)」 미소장
24 清水紫琴「静女塾主、平尾みつ子女史を訪ふ」 미소장
25 清水紫琴「静女塾主、平尾みつ子女史を訪ふ(二)」 미소장
26 清水紫琴「静女塾主、平尾みつ子女史を訪ふ(三)」 미소장
27 清水紫琴「保姆主義の女塾静女塾主平尾光女史を訪ふ(四)」 미소장
28 清水紫琴「静女塾主平尾光女史を訪ふ(五)」 미소장
29 清水紫琴「小松崎古登女を訪ふ」 미소장
30 清水紫琴「小松崎古登女を訪ふ(その二)」 미소장
31 清水紫琴「小松崎古登女を訪ふ(その三)」 미소장
32 清水紫琴「小松崎古登女を訪ふ(その四)」 미소장
33 清水紫琴「女医荻野ぎん子女史を訪ふ」 미소장
34 清水紫琴「敬宇中村先生を訪ふ」 미소장
35 清水紫琴「仝件に付き板垣伯を訪ふの記」 미소장
36 清水紫琴「泣いて愛する姉妹に告ぐ」 미소장
37 清水紫琴「仝件につき板垣伯を訪ふ」 미소장
38 清水紫琴「東京電話交換所女工」 미소장
39 清水紫琴「当今女学生の覚悟如何」 미소장
40 清水紫琴「女文学者何ぞ出ることの遅きや」 미소장
41 清水紫琴「こわれ指輪」 미소장
42 清水紫琴「移民学園」 미소장
43 山口玲子(1977) 『泣いて愛する姉妹に告ぐ 古在紫琴の生涯』、草土文化、pp.23-24, p.138. 미소장
44 明治文化研究改編(1968) 『明治文化全集 第十六卷 婦人問題篇』、日本評論社、p.184. 미소장
45 相馬黒光(1940) 『明治初期の三女性』、厚生閣、p.27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