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근대 유럽의 법전편찬(Kodifikation)은 자연법학과 역사법학 간의 논쟁의 주제이자, 칸트, 사비니, 헤겔의 법적 사유에도 주요하게 작용한 주제이다. 이에 대한 이해의 실마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1779년 뮐러아놀드 소송과 1794년 프로이센 일반란트법(ALR)을 들 수 있다. 무엇보다 봉건적 구체제의 법분열 상태를 극복하고 근대적 통일법전을 편찬하는 것이 자연적-보편적 이성법과 계몽주의의의 요청이라고 주장했던 자연법학파와는 달리, 역사법학파는 민족정신과 법의 역사성을 토대로 하여 체계적인 판덱텐 법학 및 법학적 실증주의를 전개하였다. 이들 모두와 거리를 두었던 헤겔로서는, 근대의 입법-법전화는 단지 주관적이고 특수하게 현존하는 관행-관습에 객관적 외관형식을 부여하는 수집편찬의 의미가 아니라 근대 시민사회의 평등한 개인들의 욕구와 노동 및 소유관계에 제도적 보편성-명확성을 부여하고 규범적으로 승인한다는 의미를 지니며, 자연히 이런 입법은 노동 및 소유관계의 전개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호적응-변화되어가는 역사적 맥락을 지닌 것임을 강조하였다.

해석과 평가의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사회사적-정치적 맥락 및 시대 정신의 작용 속에서 요구-실현되어간 근대의 법전편찬은, 사회계약론의 테마와도 이어지는 불가결한 인식, 즉 오직 도덕적으로 책임있는 근대국가의 구성원으로서, 권리를 지닌 윤리적-법적인 존재만이 진정으로 자유로울 수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과연 그것이 어떤 수단-매개를 통해 촉진될 수 있는가에 대한 이념적이고 실재적인 대결 지점으로서 재음미될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근대 법전편찬의 사상적 기초 : The ideological basis of the modern codification : in relation to the views of the natural school of law, the historical school of law, and Hegel / 자연법학, 역사법학, 헤겔의 견해와 관련하여 임미원 p. 1-26

전기통신사업법상 통신자료 취득제도의 위헌성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constitutionality of communication data acquisition system in the Telecommunications Business Act : critical review on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2016hun-ma388etc : 헌재 2022. 7. 21. 2016헌마388등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서세인 p. 27-54

다수 채무에 대한 일부 변제시 변제의 충당과 시효중단 = Appropriation of performance and suspension of prescription for part payment of multiple debts : 영미법상 partial payment와 acknowledgment 법리의 시사점 : 대법원 2021. 9. 30. 선고 2021다239745 판결을 바탕으로 모승규, 김제완 p. 55-81

현행 징벌적 손해배상의 내용, 특징 및 문제점과 그 개선방향 = The contents, charateristics, problems of the Korean current punitive damages and their improvement 김차동 p. 83-130

현행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적용에 있어서의 조문해석을 둘러싼 쟁점 연구 = A study regarding the provisions of the current interpretation of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talking Crimes' : focusing on the issue of whether or not the ringtone is 'sound' when interpreting the letters in the provisions : '음향' 해석과 관련한 죄형법정주의 명확성 원칙을 중심으로 안정빈 p. 131-157

동물보호법상 동물의 범위에 관한 일고 = A study on the scope of animals under the Animal Protection Act 윤영석 p. 159-184

온라인 대학교육의 공정경쟁을 위한 법정책적 논의 = A study on the legal policy for fair competition in online university education : focusing on the discrimination of cyber universities due to the integration of university online education : 대학온라인교육통합에 따른 사이버대학의 차별을 중심으로 윤진아, 양재모 p. 185-211

독일의 탈원전 및 원전해체 관련 입법의 법적 쟁점 = Legal issues surrounding Germany's legislation related to nuclear phase-out and nuclear decommissioning Ulrich Wollenteit, 박현정, 윤혜선 p. 213-243

국제재판소가 수행한 200해리 이원(以遠) 대륙붕의 경계획정에 대한 비판적 소고(小考) = A criticism on the delimitation of the continental shelf beyond 200 nautical miles carried out by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 관련 국제재판소 판례 분석을 중심으로 이기범 p. 273-306

간호사법의 제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nactment of the Nurses Act : focusing on China's current situation, discussion, and improvement plans / 중국의 현황·논의·개선방안을 중심으로 범허문 p. 245-271

참고문헌 (3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존 헨리 메리만/윤대규 역, 시민법전통 -대륙법과 영미법의 비교-, 경남대학교 출판부, 2001. 미소장
2 헤겔/ 임석진 역, 법철학, 한길사, 2008. 미소장
3 헤겔/ 서정혁 역, 법철학: 베를린, 1821년, 지식을만드는지식, 2020. 미소장
4 Coing, H., Epochen der Rechtsgeschichte in Deutschland, 1967. 미소장
5 Coing, H., Die Privatrechtswissenschaft im 19. Jahrhundert in Europa, Opladen, 1991. 미소장
6 Hegel, G.W.F.,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Suhrkamp-Taschenbuch Wissenschaft, 3. Aufl., 1993. 미소장
7 Kant, I., Die Metaphysik der Sitten, Suhrkamp-Taschenbuch Wissenschft VIII, Suhrkamp, 1982. 미소장
8 Kant, I., Zum ewigen Frieden, Klemme, H.F.(Hg.), Meiner Verlag, 1992. 미소장
9 Radbruch, G., Rechtsphilosophie, 8.Aufl., 1973. 미소장
10 Savigny, F. C. v., System des heutigen römischen Rechts, Bd.1, Berlin, 1840. 미소장
11 Welzel, H., Naturrecht und materiale Gerechtigkeit, 1955. 미소장
12 Wesel, U., Juristische Weltkunde, Frankfurt, 1984. 미소장
13 Wieacker, F., Privatrechtsgeschichte der Neuzeit, 2. Aufl., Göttingen, 1967. 미소장
14 남기윤, “사비니의 법사고와 법이론. 한국 사법학의 신과제 설정을 위한 법학 방법론 연구(8-1)”, 저스티스, 통권 제119호, 2010.10, pp.5-51. 미소장
15 남기윤, “사비니의 법학방법론. 한국 사법학의 신과제 설정을 위한 법학방법론 연구(8-2)”, 저스티스, 통권 제126호, 2011.10, pp.5-62. 미소장
16 남기윤, “사비니의 법률해석이론 형성의 기초와 배경. 한국 사법학의 신과제 설정을 위한 법학방법론 연구(8-3)”, 저스티스, 통권 제130호, 2012.06, pp.89-127. 미소장
17 Eckert, J., “Gesetzesbegriff und Rechtsanwendung im Späten Naturrecht. Die Spruchpraxis Preußischer Gerichte unter dem Allgemeinen Landrecht”, Der Staat, vol.37, no.4, 1998, pp.571-590. 미소장
18 Franklin, M., “Legal Method in the Philosophies of Hegel and Savigny”, Tulane Law Review, vol.44, no.4, 1969-1970, pp.766-798. 미소장
19 Franklin, M., “The Significance of Stoicism in Roman Law in the Development and Outcome of Hegel's Theory of Alienation”, Acta Juridica, 1958, pp.246-259. 미소장
20 Franklin, M., “Alienation and Hegel's Justification for Codification”, Tulane Law Review, vol.33, no.1, 1958-1959, pp.133-142. 미소장
21 Franklin, M., “The Kantian Foundations of the Historical School of Law of Savigny”, Revista juridica de la Universidad de Puerto Rico, Vol.22, No.Issues 1-4, 1952-1953, pp.64-89. 미소장
22 Gmur, R., “Idealismus, Jurisprudenz und Politik bei Friedrich Carl von Savigny. Zur Gleichnamigen Schrift von Joachim Rückert”, Der Staat, vol. 25, no.4, 1986, pp.608-620. 미소장
23 Grawert, R., “Ideengeschichtlicher Rückblick auf Evolutionskonzepte der Rechtsentwicklung”, Der Staat, vol.22, no.1, 1983, pp.63-82. 미소장
24 Grawert, R., “Historische Entwicklungslinien des Neuzeitlichen Gesetzesrechts”, Der Staat, vol.11, no.1, 1972, pp.1-26. 미소장
25 Grawert, R., “Die Entfaltung des Rechts aus Dem Geist der Geschichte: Perspektiven bei Hegel und Savigny”, Rechtstheorie 18, no.4, 1987, pp.437-462. 미소장
26 Hespe, F., “Hegels Kritik des Subjektivismus der neuzeitlichen Rechts- und Sozialphilosophie im Naturrechtsaufsatz”, Studies in East European Thought, 68, 2016, pp. 165-179. 미소장
27 Hocevar, R. K., “Hegel und das Allgemeine Landrecht für die Preussischen Staaten von 1794”, Der Staat, vol.11, no.2, 1972, pp. 189-208. 미소장
28 Kantorowicz, H., “Was ist uns Savigny?”, Coing, H./Immel, G.(Hg.), Rechtshistorische Schriften, Karlsruhe, 1970. 미소장
29 Kantorowicz, H., “Savigny and the Historical School of Law”, Coing, H./Immel, G.(Hg.), Rechtshistorische Schriften, Karlsruhe, 1970. 미소장
30 Kantorowicz, H., “Volksgeist und historische Rechtsschule”, Coing, H./Immel, G.(Hg.), Rechtshistorische Schriften, Karlsruhe, 1970. 미소장
31 Kraus, H.-C., “Historische Rechtsschule Zwischen Philosophie und Geschichte. Zu Einigen Neuen und Alten Savignyana”, Der Staat, vol.36, no.3, 1997, pp. 451-480. 미소장
32 Reimann, M., “Nineteenth Century German Legal Science”, Boston College Law Review, vol.31, no.4, 1990, pp. 837-900. 미소장
33 Rückert, J., “Savignys Konzeption Von Jurisprudenz und Recht, Ihre Folgen und Ihre Bedeutung Bis Heute”, Tijdschrift voor Rechtsgeschiedenis/Legal History Review, Vol. 61, Issue 1, 1993, pp.65-96. 미소장
34 Rückert, J., “The Unrecognized Legacy: Savigny's Influence on German Jurisprudence after 1900”, American Journal of Comparative Law, vol.37, no.1, 1989, pp.121-138. 미소장
35 Rückert, J., “Friedrich Carl von Savigny, the Legal Method, and the Modernity of Law”, Juridica International, 11, 2006, p.55-67. 미소장
36 Siep, L., “Vernunftrecht und Rechtsgeschichte”, Siep, L.(Hg.), Hegel, G.W.F.,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2016, pp.1-22. 미소장
37 Wieacker, F., “Der Kampf des 19. Jahrhunderts um die Nationalgesetzbücher”, Festschrift für Wilhelm Felgentraeger, 1969, pp.409-422. 미소장
38 Wieacker, F., “Aufstieg, Blüte und Krisis der Kodifikationsidee”, Festschrift für Gustav Boehmer, 1954, pp.34-5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