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유아들의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 연구에 활용된 그림책 선정 및 토의주제 분석 : 2000년 이후 연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election of picture books and analysis of discussion subjects used in the research of children's philosophical inquiry community activities : focusing on research since 2000 / 장효은 ; 정대련 1
국문초록 1
I. 서론 2
II. 연구방법 9
1. 연구대상 9
2. 분석 방법 14
III. 연구결과 17
1. 그림책 분석 17
2. 철학적 토의주제 키워드 분석 22
IV. 논의 및 결론 29
참고문헌 38
ABSTRACT 42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2022 개정총론주요사항설정연구팀, 초⋅중학교교육과정개선연구팀, 고등학교교육과정 개선연구팀, 교육과정개발기준마련연구팀, 교육부(2021). 2022 개정 총론 주요사항 마련을 위한 연구 공청회 자료집. | 미소장 |
2 | 교육부(2019). 2019 개정누리과정 해설서. | 미소장 |
3 | 강혜원(2018). 프로젝트 접근법 기반 철학적 탐구공동체 수업모형 개발: -유아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함양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4 | 구영복(2018).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 탐구공동체 활동 참여 어머니의 부모역할과 양육태도에 대한 인식 변화. 공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5 | 김미라, 황혜선, 이욱(2020).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소비자교육 연구동향 분석. 소비자정책교육연구, 16(2), 83-115. http://dx.doi.org/10.15790/cope.2020.16.2.083 | 미소장 |
6 | 김민정(2017). 그림책의 장르에 따른 아동의 다시 말하기(retelling) 반응 분석: 만 6, 7, 9세 아동을 대상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7 | 김병만, 이강훈(2023).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유아안전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탐색: LDA 토픽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43(1), 5-29. http://dx.doi.org/10.18023/kjece.2023.43.1.001 | 미소장 |
8 | 김용학, 유소영 (2013). 한일 비교 연구의 비교: 인문사회 분야 논문 키워드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논집, 44(1), 25-45. | 미소장 |
9 | 김은정, 정혜영(2019).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유아교사의 행복에 관한 토픽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6), 405-427. http://dx.doi.org/10.22251/jlcci.2019.19.6.405 | 미소장 |
10 | 김회용(2003).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철학적 탐구공동체를 통한 유아 사고력 계발 방법 연구. 敎育學硏究, 41(2), 357-380. | 미소장 |
11 | 류수련, 이한주, 김다예(2021).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신체활동 연구의 주제 분석: 아동 및 청소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85, 334-350. http://dx.doi.org/10.51979/KSSLS.2021.07.85.335 | 미소장 |
12 | 문소윤, 엄우용(2020). 텍스트 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부모역할 관련 국내 학술지 연구 주제어 분석. 아동교육, 29(3), 103-124. http://dx.doi.org/10.17643/KJCE.2020.29.3.05 | 미소장 |
13 | 방윤숙(2003). 철학적 탐구를 활용한 사고활동 경험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14 | 박명숙, 유연옥(2007).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비판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2), 327-347. | 미소장 |
15 | 박찬숙(2021). 국내 간호전문직관 연구 주제 동향: 텍스트네트워크 분석과 토픽모델링의 융합.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2(9), 295-305. | 미소장 |
16 | 박혜경, 이현주(2006). 철학적 탐구공동체를 통한 유아의 ‘엄마’에 대한 의미탐색. 젠더 연구, 11, 37-58. | 미소장 |
17 | 서정숙, 남규(2021). 유아 문학 교육. 서울: 창지사. | 미소장 |
18 | 송영란, 한규령(2006). 만 5세 유아의 이성에 대한 사랑 인식과 반응.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161-183. | 미소장 |
19 | 송영주(2010), 형제자매 변인에 따른 유아의 마음 이해와 마음 관련 표현 비교.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477-498. | 미소장 |
20 | 신건호, 문연심(2006) 인간지향적 부모자녀관계가 유아의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5(3), 257-269. | 미소장 |
21 | 안지연, 이윤정, 이복임(2021). 텍스트 마이닝과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코로나19와 간호사에 대한 언론기사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32(4), 467-476. https://doi.org/10.12799/jkachn.2021.32.4.467 | 미소장 |
22 | 양은정, 손승남(2020). 유아교사의 인문학적 성장과정 탐색: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6(6), 507-529. https://doi.org/10.24159/joec.2020.26.6.507 | 미소장 |
23 | 어은정, 정대련(2013). 철학적 탐구공동체에 참여한 유아교사의 경험: ‘철학함’, 교육신념, 교육실천의 측면에서. 유아교육연구, 33(4), 409-433. | 미소장 |
24 | 이우영(2006). 유치원에서의 그림책 활용에 대한 실태분석 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25 | 이정미, 김회용(2010). 명화감상을 통한 유아의 철학적 탐구공동체 수업 모형 개발. 사고개발, 6(2), 73-92. | 미소장 |
26 | 이춘희(2007).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유아의 배려적 사고 증진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27 | 이춘희, 정대련(2006). 유아의 배려적 사고에 관한 연구: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을 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 11, 107-125. | 미소장 |
28 | 이현주(2012). 플라톤의『대화편』과 만 5세 유아들의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의 토론과정 비교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29 | 임윤정(2007). 유아철학 방법론 고찰-“유아철학놀이”를 중심으로. 大同哲學, 40, 247-272. | 미소장 |
30 | 임윤정(2015). 비트겐슈타인의 말놀이와 어린이 철학.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31 | 임윤정(2017). 기존의 어린이 철학 텍스트 분석과 이에 따른 효과적인 텍스트 개발을 위한 철학적 기반 모색-어린이철학교육 교재와 립맨의 철학동화 분석을 중심으로. 동서철학연구, 85, 599-633. | 미소장 |
32 | 장효은, 정대련(2018).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1), 29-61. | 미소장 |
33 | 정대련(2014). 동화로 여는 유아의 논리논술. 서울: 창지사. | 미소장 |
34 | 정대련, 박혜경(1997). 아동의 창의성 발달을 돕는 철학교육. 동대논총, 27(1), 261-281. | 미소장 |
35 | 정대련, 김주희, 어은정, 이현주(2020). 유아, 철학하다: 논리, 배려, 창의를 여는 유아들의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 파주: 양서원. | 미소장 |
36 | 정대련, 김주희, 어은정, 이현주, 이춘희(2014). 논리적 사고와 의사소통을 돕는 유아들의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 서울: 창지사. | 미소장 |
37 | 정인선(2010). 초등교육과 어린이철학교육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38 | 정정림, 이효림(2017). 학술논문 빅데이터를 활용한 유아교육과정 연구동향 분석. 幼兒敎育硏究, 37(5), 289-316. http://dx.doi.org/10.18023/kjece.2017.37.5.013 | 미소장 |
39 | 정혜진(2005). 오후 재편성 혼합연령 종일제 유아들의 돕기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40 | 조선희(2000a). 어린이를 위한 철학 (P4C)' 프로그램을 통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철학적 탐구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7(1), 23-45. | 미소장 |
41 | 조선희(2000b).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에 나타난 또래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0(1), 101-117. | 미소장 |
42 | 최미숙, 고정완(2019). 유아의 언어태도 수준에 따른 또래 유능성 및 정서지능의 차이. 열린부모교육연구, 11(2), 143-160. | 미소장 |
43 | 최선경, 정대련 (2015).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2), 27-57. | 미소장 |
44 | 최수정(2008. 7. 31). 2600명 세계 철학자가 서울대에 모였다. 서울대소식, https://www.snu.ac.kr/snunow/snu_story?md=v&bbsidx=75522에서 2022년 12월 20일 인출. | 미소장 |
45 | 최인숙(2014). 유아의 언어능력 및 정서조절능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또래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6), 47-58. | 미소장 |
46 | 현은자, 김세희(2005a). 그림책의 이해Ⅰ. 경기: 사계절. | 미소장 |
47 | 현은자, 김세희(2005b). 그림책의 이해Ⅱ. 경기: 사계절. | 미소장 |
48 | 홍성호(2018).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놀이가 유아인성에 미치는 영향:-소크라테스의 대화법을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49 | Aboneu(2022.07.26), 핵심 키워드 시각화 분석하기, https://aboneu.tistory.com/489?category=1076832에서 2023년 1월 30일 인출. | 미소장 |
50 | Fisher, R. (2013). Teaching thinking 3rd edition. New york: Bloomsbury Academic. | 미소장 |
51 | Fromm, E. (1956). The art of loving. New York: HarperCollins. 사랑의 기술. 황문수 역 (2013). 서울: 문예출판사. | 미소장 |
52 | Haynes, J. (2016). Contemporary picturebooks as philosophical texts for all ages. Paper presented at University of Shiraz Festival of Children’s Literature, Shiraz, Iran. | 미소장 |
53 | Haynes, J., & Murris, K.(2012). Picturebooks, pedagogy and philosophy. New York: Routledge. | 미소장 |
54 | Lipman, M., Sharp, A. M., & Oscanyan, F. (1980). Philosophy in the classroom. Philadelphia, PA: Templ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55 | Matthews, G. (1979). Thinking in Stories. Thinking: The Journal of Philosophy for Children, 1(1), 4. https://doi.org/10.5840/thinking19791155 | 미소장 |
56 | Murris, K. (1992). Philosophy with picturebooks. London: Infonet Publications. | 미소장 |
57 | Murris, K., & Haynes, J. (2010). Storywise: thinking through stories. Fars Province, Iran: Crown House Publishing. | 미소장 |
58 | OECD(2019). OECD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2030: OECD Learning compass 2030. https://www.oecd.org/education/2030-project에서 2022년 12월 20일 인출. | 미소장 |
59 | Park, T.(2022.03.11), LDA 토픽 모델링 개념 설명, https://heytech.tistory.com/328에서 2022년 12월 20일 인출. | 미소장 |
60 | Pickard, H., Happé, F., & Mandy, W.(2018). Navigating the social world : The role of social competence, peer victimisation and friendship quality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anxiety in childhood.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60, 1-10. | 미소장 |
61 | Rubin, Z.(1980). Children’s Friendships. 아동의 친구관계. 이영환, 박성옥 공역(1992). 서울: 양서원. | 미소장 |
62 | Sharp, A.M. (2014). The other dimension of caring thinking. Journal of Philosophy in Schools, 1(1), 15-21. http://doi.org/10.21913/jps.v1i1.989 | 미소장 |
63 | TIBCO(2023), 텍스트 마이닝이란 무엇입니까?, https://www.tibco.com/ko/referencecenter/what-is-text-mining에서 2023년 2월 2일 인출. | 미소장 |
64 | UNESCO(2021),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현명하게 클릭하기, https://www.unesco.or.kr/assets/data/report/gs25fuxVl3dO3qZcBUj6AxKjKJbr7i_1671589198_2.pdf에서 2023년 3월 26일 인출. | 미소장 |
65 | Turgeon, W. C., & Wartenberg, T. E. (2021) Teaching Philosophy with Picture Books. Analytic Teaching and Philosophical Praxis, 41(1), 96-108. | 미소장 |
66 | World Economic Forum(2019). Schools of the future defining new models of educ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ttps://www3.weforum.org/docs/WEF_Schools_of_the_Future_Report_2019.pdf에서 2023년 3월 26일 인출.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