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최후의 초극전, 혹은 중국적 근대의 그림자 : 미조구치 유조(溝口雄三)의 중국사상사 연구와 동아시아론 = The last attempt to overcome modernity, and the shadow of Chinese modernity : Mizoguchi Yuzo's study on the history of Chinese thought and East Asia / 沈熙燦 1

[목차] 1

1. 序言 : '방법으로서의 중국' 1

2. 중국적 근대를 찾아서 4

1) 미조구치 유조의 생애와 이력 4

2) 보편적 원리와 문화본질주의 사이에서 9

3. 이탁오에서 신해혁명까지 14

1) 儒理學의 제창 14

2) 중국적인 인간과 공사 18

4. 다케우치 요시미와 동아시아론 25

5. 結語 : 최후의 초극전의 행방 34

참고문헌 38

[요약] 40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역사학자 박시형의 민족과 과학 = Historian Park Si-hyeong’s nation and science 洪宗郁 p. 1-46

보기
范文瀾의 학술궤적과 『中國通史簡編』 저술 배경 = Fan Wenlan’s academic trajectory and his Brief History of China : how was official history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born? : 중화인민공화국의 흠정사서는 어떻게 탄생했나? 吳炳守 p. 47-90

보기
최후의 초극전, 혹은 중국적 근대의 그림자 = The last attempt to overcome modernity, and the shadow of Chinese modernity : Mizoguchi Yuzo’s study on the history of Chinese thought and East Asia : 미조구치 유조(溝口雄三)의 중국사상사 연구와 동아시아론 沈熙燦 p. 91-130

보기
중국 '개혁개방' 이전, 고대 농민전쟁에 대한 인식 = Before “the reform and opening up”, China’s understanding of the peasant war : centered on “policy of concession” : 양보정책론을 중심으로 李裕杓 p. 131-160

보기
역사적 사고 역량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 How to assess historical thinking competencies : an attempt by the German HiTCH project : 독일 HiTCH 프로젝트의 시도 高裕卿 p. 161-195

보기
역사교육 '현장'의 의미와 2022 개정 역사 교육과정에서의 역할 = The meaning of ‘practice’ in history education and its role in the 2022 revised history curriculum : focusing on the Korean history : 한국사 영역을 중심으로 辛素然 p. 197-233

보기

참고문헌 (3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마루야마 마사오(김석근 역), 『일본정치사상사연구』, 통나무, 1995. 미소장
2 마루카와 데쓰시·스즈키 마사히사 편(윤여일 역), 『다케우치 요시미 선집 2: 내재하는아시아』, 휴머니스트, 2011. 미소장
3 미조구치 유조(최진석 역), 『개념과 시대로 읽는 중국사상 명강의』, 소나무, 2004. 미소장
4 미조구치 유조(김용천 역), 『중국 전근대 사상의 굴절과 전개』 개정본, 동과서, 2007. 미소장
5 미조구치 유조(서광덕 외 역), 『중국의 충격』, 소명출판, 2009. 미소장
6 미조구치 유조(서광덕·최정섭 역), 『방법으로서의 중국』, 산지니, 2016. 미소장
7 시마다 겐지(김석근·이근우 역), 『주자학과 양명학』, 까치, 1986. 미소장
8 윤여일, 『사상의 원점: 동아시아에서 동아시아를 생각하다』, 창비, 2014. 미소장
9 윤여일, 『동아시아 담론: 1990~2000년대 한국사상계의 한 단면』, 돌베개, 2016. 미소장
10 子安宣邦, 『日本人は中國をどう語ってきたか』, 靑土社, 2012. 미소장
11 竹內好, 『新編 現代中國論』 竹內好評論集 第一卷, 筑摩書房, 1966. 미소장
12 竹內好, 『竹內好全集』4, 筑摩書房, 1980. 미소장
13 陳光興(丸川哲史譯), 『脫 帝國: 方法としてのアジア』, 以文社, 2016. 미소장
14 津田左右吉, 『シナ思想と日本』, 岩波書店, 1938 미소장
15 이석원, 「국민사상과 제국: 1930년대 쓰다 소키치의 중국, 아시아론」 『인문과학』54, 2014. 미소장
16 菅孝行, 「抵抗のアジアは可能か: 竹內好の魯迅像をめぐって」, 鶴見俊輔·加々美光行編, 『無根のナショナリズムを超えて: 竹內好を再考する』所収, 日本評論社, 2007. 미소장
17 岸本美緒他編, 「先學を語る: 溝口雄三先生」 『東方學』130, 2015. 미소장
18 小島毅, 「溝口雄三敎授追悼文」 『東方學』121, 2011. 미소장
19 小島毅, 「方法としての溝口雄三」, 渡邊義浩編, 『中國史學の方法論』所収, 汲古書院, 2017. 미소장
20 子安宣邦, 「二つとない交友であった: 溝口回想」 『東方學』130, 2015. 미소장
21 孫歌, 「竹內好における歴史哲學: どうすれば歴史と共に生きられるか」, 鶴見俊輔·加々美光行編, 『無根のナショナリズムを超えて: 竹內好を再考する』所収, 日本評論社, 2007. 미소장
22 孫歌, 「竹內好に學ぶこと」, 칭화대학 인문사회과학원 보고문, 2009, http://takeuchiyoshi mi.holy.jp/special/sonka.html(2022. 10. 20. 검색). 미소장
23 戸川芳郎, 「溝口雄三君を悼む」, 『東方學』 121, 2011. 미소장
24 溝口雄三, 「いわゆる東林派人士の思想: 前近代期における中國思想の展開」, 『東京大學東洋文化研究所紀要』75, 1978. 미소장
25 溝口雄三, 「方法としての「中國獨自の近代」」, 鶴見俊輔·加々美光行編, 『無根のナショナリズムを超えて: 竹內好を再考する』所収, 日本評論社, 2007. 미소장
26 溝口雄三, 「主体への問い: 「方法としての中國」をめぐって」, 平野健一郎他編, 『インタビュー 戦後日本の中國研究』, 平凡社, 2011. 미소장
27 溝口雄三·孫歌, 「「歴史に入る」方法: 知の共同空間を求めて」(2001), 孫歌·丸川哲史他譯, 『アジアを語ることのジレンマ: 知の共同空間を求めて』所収, 岩波書店, 2002. 미소장
28 溝口雄三·孫歌·小島毅, 「鼎談 「開かれた東アジア研究に向けて: 主体と文脈」」, 『中國:社會と文化』20, 2005. 미소장
29 「第51回東方學會全國會員総會講演·シンポジウム發表要旨」 『東方學』103, 2002. 미소장
30 「溝口雄三敎授略年譜」 『大東文化大學漢學會誌』42, 200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