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신라 중·하대 인명 이표기에 관하여 = A study on names and variant characters of the middle and lower generations of Silla 림성권 p. 7-45

장편가사 <고분가>의 특징과 부부 관련 담론의 의미 = Characteristics of <Gobunga> and the meaning of the discourse related to married couples 정인숙 p. 47-79
'지정학적 SF' 연구를 위한 시론 = A preface to the study of ‘geopolitical SF’ 임태훈 p. 81-118
인과관계 연결어미 ‘-어서’, ‘-니까’의 의미 운율 사용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use of semantic prosody of causal connective endings ‘-eoseo’ and ‘-nikka’ 유인선, 이선진 p. 119-145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지시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directive speech act by Vietnamese Korean learners : focused on opening phase of the discussion dialogue : 협의대화의 시작 단계를 중심으로 안진, 백승주, 판띠홍하, 응우옌 티 히엔 p. 147-184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쓰기 태도 연구 = A study on Korean writing attitud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주월랑 p. 185-208
비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에서 교육기술 도구를 활용한 상호작용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f interaction using Edtech tools in asynchronous online Korean course 노채환 p. 209-235

참고문헌 (5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종석, 『플루트의 골짜기』, 알마, 2013. 미소장
2 이문열, 『우리가 행복해지기까지』, 문이당, 1993. 미소장
3 최인훈, 『총독의 소리』, 문학과지성사, 2009. 미소장
4 쥘 베른, 『인도 왕비의 유산』, 김석희 옮김, 열림원, 2005. 미소장
5 이해조, 『철세계』, 해동서관, 1908. 미소장
6 고장원, 『중국과 일본에서 SF 소설은 어떻게 진화했는가?』, 부크크, 2017. 미소장
7 강영심, 「1900년대 동아시아의 『越南亡國史』 유통과 수용―한국, 중국, 월남을 중심으로―」, 『이화사학연구』 49,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학연구소, 2014, 79~118면. 미소장
8 공임순, 「원자탄과 스파이, 전후 세계상의 두 표상: 보이지 않는 중심과 관리(통제)되는 양심/ 내면의 지도」, 『민족문학사연구』 48, 민족문학사연구, 2012, 242~277면. 미소장
9 권두현, 「‘실내 우주’의 SF 에톨로지: 사물-동물-식물의 애니메이팅 인터페이스에 관한 일고찰」, 『석당논총』 82,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2, 171~209면. 미소장
10 권보드래, 「중립의 꿈 1945~1968―냉전 너머의 아시아, 혹은 최인훈론을 위한 시론」, 『상허학보』 34, 상허학회, 2012, 261~313면. 미소장
11 김미연, 「유토피아 ‘다시쓰기’―1920년대 초 식민지 조선의 중역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연구』 70, 한국문학연구회, 2020, 189~240면. 미소장
12 김민선, 「1950~1960년대 남북한 SF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논문, 2020. 미소장
13 김욱, 「디스토피아 세계와 삶에 대한 의지―무라카미 류(村上龍)의 『5분 후의 세계』 를 중심으로」, 『日本文化學報』 94, 한국일본문학학회, 2022, 171~184면. 미소장
14 김윤정, 「여성 SF 소설의 테크노피아와 소수자 문학」, 『현대문학의연구』 75, 한국문학연구학회, 2021, 7~46면. 미소장
15 김은정, 「1990년대 여성 만화의 SF 페미니즘적 성취: 신일숙의 『1999년생』, 『나의 이브』, 『나무 박사를 찾아서』를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77, 민족문학사연구소, 2021, 407~438면. 미소장
16 김지영, 「일본 일본 SF장르에 나타난 냉전 (무)의식과 분단의 상상력: 고마쓰 사쿄(小松左京)의 『일본 아파치족(日本アパッチ族)』을 중심으로」, 『일본공간』 32, 국민대 일본학연구소, 2022, 129~163면. 미소장
17 노대원, 「포스트휴먼 (인)문학과 SF의 사변적 상상력」, 『국어국문학』 200, 국어국문학회, 2022, 113~136면. 미소장
18 로버트 D 카플란, 『지리의 복수 : 지리는 세계 각국에 어떤 운명을 부여하는가?』, 이순호 옮김, 미지북스, 2017. 미소장
19 로버트 스콜즈․에릭 라프킨, 『SF의 이해』, 김정수․박오복 옮김, 평민사, 1993. 미소장
20 모희준, 「정연규의 과학소설 『이상촌』(1921) 연구」, 『어문론집』 77, 중앙어문학회, 2019, 255~276면. 미소장
21 박상준 엮음, 『멋진신세계』, 현대정보문화사, 1992. 미소장
22 복도훈, 「인류세의 (한국)문학 서설」, 『한국문예창작』 19(3), 한국문예창작학회, 2020, 13~34면. 미소장
23 복도훈, 『SF는 공상하지 않는다』, 은행나무, 2019. 미소장
24 서승희, 「포스트휴먼 시대의 여성, 과학, 서사: 한국 여성 사이언스픽션의 포스트휴먼 표상 분석」, 『현대문학이론연구』 77, 현대문학이론학회, 2019, 130~153면. 미소장
25 셰릴 빈트, 『SF연대기』, 송경아 옮김, 허블, 2021. 미소장
26 송명진, 「《월남망국사》의 번역, 문체, 출판」, 『현대문학의연구』 42, 한국문학연구학회, 2010, 171~203면. 미소장
27 송효정, 「이중 미스터리, 식민지 하이테크―식민지 ‘탐정 스파이물’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4(4),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0, 249~283면. 미소장
28 신성환, 「SF 영화에 나타난 ‘쓰레기 문명’과 공존의 윤리에 대한 상상력: 〈월-E〉와 <승리호>를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17(2),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21, 9~35면. 미소장
29 신현우, 「프로메테우스의 유토피아: 자본주의 ‘소셜(Social Fiction)’을 지양하는 미래 기술정치의 재구성」, 『문화과학』 111호, 문화과학사, 2022. 41~65면. 미소장
30 아마에 요시히사(天江喜 久), 「포스트콜로니얼 대만의 ‘친일언설’과 제국의 기억 재생―주체성과 공범성의 사이에서」, 『한림일본학』 40,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2, 39~67면. 미소장
31 연남경, 「냉전 체제를 사유하는 방식―최인훈의 『총독의 소리』를 중심으로」, 『상허학보』 43, 상허학회, 2015, 47~76면. 미소장
32 이원진, 「21세기 사변의 두 흐름: 사변적 실재론(Speculative Realism)과 사변소설 (Speculative Fiction)의 만남―팬데믹 ‘실재’와 맞닥뜨린 인류를 위한 철학과 문학의 사변적 협력」, 『비평문학』 83, 한국비평문학회, 2022, 223~247면. 미소장
33 이지용, 「한국 SF의 스토리텔링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논문, 2015. 미소장
34 이지용, 『한국 SF 장르의 형성』, 커뮤니케이션북스, 2016. 미소장
35 임종명, 「해방 공간의 스파이 이야기와 정치적 함의」, 『역사학연구』 41, 호남사학회, 2011, 127~160면. 미소장
36 정환국, 「근대계몽기 역사전기물 번역에 대하여―『越南亡國史』와『 伊太利建國三傑傳』의 경우」, 『대동문화연구』 48,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4, 1~32면. 미소장
37 조경숙, 「모험과 제국: 오시카와 순로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일본어문학』 67, 일본어문학회, 2014, 431~456면. 미소장
38 천홍슈(陳宏淑), 「쥘 베른에서 바오티엔샤오(包天笑)까지―『철세계(鐵世界)』의 중역사―」, 『동아시아의 일본어 문학과 문화의 번역, 번역의 문화』, 김효순 편저, 2018, 39~66면. 미소장
39 최애순, 「1940년대 신시대부터 1950년대 〈헨델박사〉까지 발명과학의 디스토피아」, 『현대소설연구』 85, 한국현대소설학회, 2022, 547~588면., 미소장
40 최애순, 『공상과학의 재발견: 소설과 만화로 들여다본 한국 공상과학 연대기』, 서해문집, 2022. 미소장
41 최병구, 『포스트휴먼과 SF』, 나남출판, 2021. 미소장
42 프레데릭 제임슨, 『지정학적 미학』, 조성훈 옮김, 현대미학사, 2007. 미소장
43 巽 孝之, 日本SF論争史, 勁草書房, 2000. 미소장
44 Arthur B. Evans, “Science Fiction in France: A Brief History (La science-fiction en France: un résumé)”, Science Fiction Studies, Vol.16,No.3, 1989, pp.254~276. 미소장
45 Danny Laurie-Fletcher, British Invasion and Spy Literature, 1871~1918: Historical Perspectives on Contemporary Society, Palgrave MacMillan, 2019 미소장
46 David N. Samuelson, “Modes of Extrapolation: The Formulas of Hard SF”, Science Fiction Studies. Vol.20,No.2, 1993, pp.191~232. 미소장
47 Evans, Arthur B, “Jules Verne's America”, Extrapolation, Vol.48,No.1, 2007, pp.35~43. 미소장
48 Hugo Gernsback, “Editorial: A new sort of magazine”, Science Fiction Criticism: An Anthology of Essential Writings, Bloomsbury Academic, 2017. 미소장
49 Janice Cavell, “The Sea of Ice and the Icy Sea: The Arctic Frame of Frankenstein”, Arctic Institute of North America, Vol.70,No.3, 2017, pp.295~307. 미소장
50 Lavender, Race in American Science Fic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2011. 미소장
51 Loïc Aloisio, “The Rise of Chinese Science Fiction”, MING QING STUDIES, 2019, pp.11~28. 미소장
52 Rui Kunze, “Displaced Fantasy: Pulp Science Fiction in the Early Reform Era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East Asian History, No.41, 2017, pp.25~40. 미소장
53 Simon J. James, Maps of Utopia: H. G. Wells, Modernity and the End of Culture, Oxford, 201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