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This study is part of a growing body of research on the impact of plastic surgery advertising on body image and societal expectations. As the demand for plastic surgery continues to rise and the domestic plastic surgery industry continues to grow, plastic surgery advertisements have also become more prevalent. Previous research has identified a number of problematic strategies employed in these advertisements, including the exploitation of negative body image and the promotion of unrealistic expectations. The current study sought to further examine the message strategies and issues in plastic surgery advertisements, and to propose potential solutions based on the medium of the advertisements.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on subway stations and websites, resulting in a sample of 36 plastic surgery advertisements from subway stations and 135 plastic surgery advertisements on the websites. Systematic content analysis was then performed according to four key areas: medium of advertisement, focus of message control, type of advertising appeal, and type of plastic surger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nsight into the message strategies and issues present in plastic surgery advertisements and offer potential solutions to address these issues. The finding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ethical and effective advertising of plastic surgery, and can inform future research on the impact of advertising on body image and societal expectations.

참고문헌 (4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민지, 이경현(2014). 미용성형병원의 옥외광고 유형에따른 소비자의 태도-강남 지역의 지하철 옥외광고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44(-), 315-325. 미소장
2 김서영(2017.10,16). 허위·과장 의료광고 급증, 민간 사전심의제도 도입 시급, 헬스타파, Available from:https://www.healthtapa.com/news/articleView.html?idxno=4828. Accessed September 20, 2021. 미소장
3 김수진(2009). 여성소비자들의 화장품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 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미소장
4 권영복(2015). 미용성형수술사고 환자의 안전권 보호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Crisisonomy, 11(11), 225-246. 미소장
5 김용재(2016.9.29.). 사전심의 사라진 과대광고 어쩌나?, 치의신보, Available from: https://www.dailyden tal.co.kr/news/article.html?no=95698 Accessed September 22, 2021. 미소장
6 김인숙(2015). 성형광고 노출, 성형경험, 외모기준의 내면화, 제3자 효과가 성형광고 규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홍보학연구, 19(4), 214-234. 미소장
7 김인숙(2016). 성형광고노출이 외모만족도 및 성형수술의도에 미치는 영향. 언론과학연구, 16(3), 49-76. 미소장
8 나윤경, 태희원, 노주희, 장인자, 이지은(2009). 십대 여성의 외모중심 인식을 추동하는 일상과 성형의료산업. 한국여성학, 25(4), 73-108. 미소장
9 박재진, 이정교, 정영권(2010). 인터넷 광고에 대한 불쾌감 형성요인. 미디어경제와 문화, 8(3), 169-203. 미소장
10 박진우, 이형민(2016). 여대생의 성형 경험, 사회적 외모 기준의 내면화, 신체 만족도가 성형외과 옥외광고에 대한 광고회피 및 혐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OOH광고학회 학술대회, 2016(10), 30-34. 미소장
11 박진우, 이형민(2017). 여대생들의 성형외과 OOH(Outof-Home) 광고 불쾌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선행 요인들에 대한 탐색적 실증 연구. 한국소통학보, 16(3), 7-38. 미소장
12 박충환(2002). (시장지향적)마케팅관리. 서울: 박영사. 미소장
13 서효민(2010). 스포츠제품 광고의 소구유형에 따른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울. 미소장
14 신일기, 심성욱(2011). 인터랙티브 옥외 광고 수용에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13(4), 390-432. 미소장
15 위경환(2013). 성형 광고의 메시지 소구 및 모델 유형에 따른 광고 효과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서울. 미소장
16 이데일리(2014.1.4). 역시‘성형 공화국’...전세계성형수술25%가 한국서 Available from: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167686605954440&mediaCodeNo=257&OutLnkChk=Y. Accessed October 20, 2021. 미소장
17 이승덕(2021.10.25.), “지난해 국내 의사 수 10만 7976명...5년간 10.5% 증가”, 의학신문, Available fr om: http://www.bos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60805. Accessed September 20, 2021. 미소장
18 이승우, 남인순(2020.10.08.)“유튜브·SNS 뒷광고 등불법의료광고 심각”, 의협신문, Available from:http://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6529. Accessed December 10, 2021. 미소장
19 이유현(2017.11.28.), 서울 지하철역‘성형광고’퇴출…당신의 생각은?, 매일경제, Available fro m: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7/11/788235. Accessed September 2, 2022. 미소장
20 이은순, 김미경(2017). 유투브 성형광고의 내용분석.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1(2), 43-72. 미소장
21 이정행(2005). 메시지 소구 방식에 따른 광고모델 유형이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서울. 미소장
22 이정확(2020.10.08.),“유튜브 의료 뒷광고 성행에도규제법은 미비”, 데일리팜, Available from: htt p://www.dailypharm.com/Users/News/NewsVie.w.html?ID=269230. Accessed September 21, 2021. 미소장
23 이종호(1996). 광고론. 서울: 경문사. 미소장
24 이현선(2014). 시술 부위에 따른 성형외과의 비포 앤애프터 광고에 대한 소비자 태도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3(3), 529-544. 미소장
25 이현옥(2006). 여성의 외모관리 행동의 동기연구 –성형수술,비만체형관리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8(1), 113-122. 미소장
26 이형민(2019). 자기 외모 만족도와 제3자 인식이 성형외과 교통광고 태도와 성형수술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소통학보, 18(2), 113-145. 미소장
27 이호준(2009). 병원광고에서의 광고모델유형과 소구유형에 따른 광고효과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서울. 미소장
28 이희준, 조창환, 김병희, 손영곤, 김연진(2017). 정부 광고 내용 분석 연구. 광고연구, 0(113), 5-44. 미소장
29 임경희(2005). 신체이미지수용과 여학생의 외모가꾸기. 보건과 사회과학, 17(1), 107-132 미소장
30 임소정(2019.10.28), 전국 성형외과 1008개소 중 서울 530개소…강남구에 70% 이상 몰려, 경향신문, A vailable from: https://m.khan.co.kr/national/national-general/article/201903150008001. Accessed September 10, 2021. 미소장
31 장예나(2016), 중국 포털미디어의 성형 보도와 여성 수용자 반응에 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미소장
32 전설아(2016). 성형외과 시장의 현황 및 서비스 이용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강원도. 미소장
33 조미나, 최미옥(2019). 중국과 한국 미용성형수술 실태에관한 연구. 한국미용 학회지, 25(6), 1426-1437. 미소장
34 조영빈, 최영근(2012), 사이버 공간의 확산과 물리적공간에서의 집중화 현상의 관련성. Journal of i 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 ment, 19(1), 85-100. 미소장
35 최옥선. (2005). 여성의 몸 담론과 성형담론의 상호텍스트성에 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成均館大學校, 서울. 미소장
36 허남설(2021.02.16.), 서울 지하철 광고 다시 공해?, 경향신문, Available from: https://m.khan.co.kr/local/Seoul/article/202102162127015#c2b. Accessed September 21, 2021. 미소장
37 Camacho, C. J., Higgins, E. T., & Luger, L. (2003). Mo ral value transfer from regulatory fit: What fe els right is right and what feels wrong is wron 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3), 498~510. 미소장
38 Clay, D., Vignoles, V. L., & Dittmar, H. (2005) Body ima ge and self-esteem among adolescent girls: Test ing the influence of sociocultural factors. Journ 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15(4), 451-477. 미소장
39 Crowe, E., & Higgins, E. T. (1997). Regulatory focus a nd strategic inclinations: Promotion and prevent ion in decision-making.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69(2), 117~32. 미소장
40 Forster, J., & Higgins, E. T. (2005). How global versus local perception fits regulatory focus. Psycholo gical Science, 16(8), 631~63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