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메타버스 세상을 가져온 동인(動因)과 인문콘텐츠의 역할 = A study on the social momentum that brought the metaverse world and the role of humanities content 김기덕, 전준현 p. 9-33
콘텐츠 생성 인공지능에 관한 이해 = On art and artworks accompanied with AI art generation : focusing on the concept of 'triviality' and 'non-triviality' : '진부함'과 '진부하지 않음'을 중심으로 윤나라 p. 37-57
인공지능 글쓰기 기계의 텍스트 생성 연구 = A study on text generation in AI writing machine : focus on <Shortly AI> : <Shortly AI>를 중심으로 박한하, 한혜원 p. 59-83
객체지향존재론(OOO)에 의한 디지털 휴먼의 존재론적 전회(轉回) = An ontological turn of digital humans by Object-Oriented Ontology 김소영 p. 85-103
스토리콘텐츠와 스토리텔링에 대한 성찰 = Reflection on story contents and storytelling : essay about concept, theory, area, and category : 개념, 이론, 영역, 범주에 관한 시론 안숭범 p. 105-132
TV드라마 속 회귀물의 함의 연구 = Study of the implications of a regression story in TV dramas : focused on <Again My Life> and <Reborn Rich> : <어게인 마이 라이프>와 <재벌집 막내아들>을 중심으로 최지운 p. 133-150
'마음의 언어'와 영화언어 = 'Language of the heart' and film language : focusing on the dispute about Minari : <미나리>(정이삭, 2020) 논쟁을 중심으로 박언영 p. 151-173

<트루먼 쇼>와 <프리 가이>의 캐릭터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s of <The Truman Show> and <Free Guy> : focusing 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and ontological status of characters in the artificial worlds : 인공적 세계에 속한 캐릭터의 위계구조와 존재양상을 중심으로 신홍주 p. 175-194
콜드리딩 기법을 이용한 넷플릭스 영상물, 《타일러 헨리: 죽음 너머를 읽다》분석 = Psychic content analysis using cold reading technique : focusing on Netflix’s Life After Death with Tyler Henry 조관연 p. 195-212
미래의 애니메이터 = Future animators 이동민 p. 213-236

테마파크 방문객 세분화에 관한 탐색적 접근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segmentation of theme park visitors : focusing on Everland visito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의 에버랜드 방문객을 중심으로 정조, 서믿음, 김치호 p. 237-261
아카이브 설립자 전시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 Archive founder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xhibition contents : focusing on the case of Kim Moon-sook in the ‘National Women’s Historical Hall’ : '민족과 여성 역사관'의 김문숙 사례를 중심으로 남영주 p. 263-283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농촌마을 지역정체성 활성화 방안 연구 = A measure to revitalize the regional identity of rural villages using historical culture resources : focusing on Jangjeong Village in Buyeo : 부여 장암면 장하 1리(장정마을)를 중심으로 조윤설, 한승석, 장충희 p. 285-318
종교콘텐츠로서 세종전통문화체험관의 조성이 잠재 향유자에게 미치는 기대효과 = The creation of the Sejong CULTURAL CENTER of KOREAN TRADITION expected effect on potential users 이재민, 윤설민 p. 319-337
이주민의 지역 문화재생 사업 수행의 장애요소 = Obstacles to the promotion of local cultural regeneration projects experienced by migrants : focused on '3917majung' and 'A&A Cultural Research Institute' at Naju : 나주의 '3917마중'과 'A&A문화연구소'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종훈 p. 339-365
<해리포터 시리즈> 오디오북 콘텐츠 연구 = A study on audiobook of Harry Potter Series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lation studies : 번역학의 개념과 관점을 중심으로 최은경 p. 367-387
유인이론에 따른 콘텐츠 부가가치 분배의 한계와 보완 = Limitations and supplementation of profit distribution in entertainment industry according to incentive theory : data analysis on the residuals of broadcasting performers : 방송실연자 저작인접권 사용료 데이터 분석 조병한 p. 389-410
결혼이주여성의 코호트 중심 이방인화 해소를 위한 인문 소양 증강 필요성 연구 = A study on the necessity of enhancement of humanities refinement for resolving strangerization centered on cohort of marriage migrant women 안영숙 p. 411-436

키워드 네트워크를 활용한 케이팝(K-Pop) 해외 연구 동향 분석 = A study on overseas research trend in K-POP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권진주 p. 437-460
이집트 '아랍의 봄'에 나타난 저항 예술의 소통적 함의 = Communicative implications of resistance art in Egypt’s 'Arab Spring' : 푸코의 헤테로토피아적 분석 관점으로 김한별, 김설아 p. 461-484

참고문헌 (1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진석, 『강한 인공지능과 인간: 인간 강화와 인간 잉여의 패러독스』, 글항아리, 2019. 미소장
2 하인츠 폰 푀르스터·베른하르트 푀르크센 지음, 백성만 옮김, 『진리는 거짓말쟁이의 발명품이다: 회의론자들을 위한 대담』, 늘봄, 2009. 미소장
3 미셸 푸코 지음, 이규현 옮김, 오생근 감수, 『광기의 역사』, 나남, 2003. 미소장
4 DOMINGOS. Pedro, The master algorithm: how the quest for the ultimate learning machine will remake our world, New York: Basic Books, 2015. 미소장
5 von FÖRSTER. Heinz, PÖRKSEN. Bernard, Wahrheit ist die Erfindung eines Lügners: Gespräche für Skeptiker, Heidelberg: Carl-Auer Verlag, 1998. 미소장
6 FOUCAULT. Michel, Histoire de la folie à l’âge classique, Paris: Éditions Gallimard, 1972. 미소장
7 HAUGELAND. John, Artificial Intelligence: The Very Idea, Cambridge, Massachusetts (United States): The MIT Press, 1985. 미소장
8 NELSON. Theodor H., Software, New York: Jewish Museum, 1970. 미소장
9 윤나라, 「인공지능의 탈신화화: 다큐멘터리 <알파고>와 강/약 인공지능 개념을 중심으로」, 『기호학 연구』 제 64집, 2020, 37-64쪽. 미소장
10 이수진, 「시뮬라시옹과 포스트-재현: 알고리즘 아트를 중심으로」, 『기호학 연구』 제 56집, 2018, 45-70쪽. 미소장
11 KITTLER. Friedrich A., “There Is No Software” in Stanford Literature Review Vol 9, No1, Spring 1992. 미소장
12 ROMBACH. Robin, BLATTMANN. A., LORENZ. D., ESSER. P. and OMMER. B., “High-Resolution Image Synthesis with Latent Diffusion Models” in 2022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CVPR 2022), https://doi.org/10.48550/arxiv.2112.10752, first submitted on 20 Decembre 2021, last revised on 13 April 2022 (for version 2). 미소장
13 DALL-E 2 team at OpenAI (collective), DALL-E 2 promptbook (version 1.01), 14 July 2022. https://dallery.gallery/the-dalle-2-prompt-book. 미소장
14 KOHS. Greg, AlphaGo, 2017. 미소장
15 PROYAS. Alex, I, Robot, 200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