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이탈률은 사용자가 방문한 후 별다른 요청 없이 바로 이탈한 비율이며 본 연구를 통해 웹사이트의 어떤 속성이 이탈률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웹사이트 평가항목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업종의 벤처기업에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사용성과 정보, 서비스상호작용, 기술 등 총 4가지 항목과 27개 평가속성으로 정의하였다.

연구 결과 이탈률에 영향을 미치는 웹사이트 속성은 판별분석과 의사결정나무분석에 의해 6개가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한 벤처기업 웹사이트의 이탈률을 줄이기 위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웹사이트의 경로명을 필수로 표시하고 풀다운 메뉴 기능을 추가하여 다른 페이지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다. 둘째, 사용자의 관심을 끌 만한 핵심 콘텐츠를 배너 형태로 노출하고 서브 페이지에서도 내부링크 배너를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셋째, 외부링크는 현재 페이지를 바로 이탈하지 않도록 새 창으로 연동하여 재유입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담당자 연락처와 상담기능은 고객과의 소통을 위한 직접 정보로서 노출이 권장되지만 개별 응대가 어려울 경우에는 상담기능만이라도 필수로 추가해야 한다. 이러한 제안들은 웹사이트의 개발과 운영, 마케팅 등 여러 분야에서 실무적으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특수한 경우에는 높은 이탈률이 정상적일 수도 있으므로 상황에 맞게 고려되어야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회적기업가정신 다차원 모형 및 프레임워크 = Development of social entrepreneurship multidimensional model and framework : focusing on the cooperation orientation of social enterprise : 사회적기업의 협력지향성을 중심으로 조한준, 성창수 p. 1-20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창업분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연구동향 분석 = A bibliometric study o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research trends in entrepreneurship 안승권, 최민정 p. 21-34

Digital Healthcare 벤처창업 촉진을 위한, 사용자 가치가 Smartwatch Digital Healthcare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user value on smartwatch digital healthcare acceptance intention to promote digital healthcare venture start up 진익성, 이소영 p. 35-52

롤 모델의 창업자 특성차이에 대한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role models on differences in entrepreneurs’ characteristics 이주헌 p. 53-66

벤처기업 웹사이트의 속성이 웹사이트 이탈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venture company’s website properties on bounce rate 황윤도, 하태관 p. 67-79

신생 기업의 플랫폼 활용 전략과 성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latform utilization strategy and growth of a start-up : focusing the case study of 'Genie the Bottle' : '지니더바틀' 사례를 중심으로 김주희, 신민주 p. 81-93

기술창업기업의 기술지향성과 시장지향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echnology orientation and market orientation on managerial performance of technology start-up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location environment : 입지환경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윤재만, 최종인 p. 95-111

제조업 중소기업의 기업가정신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 the mediating effe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 기술혁신을 매개효과로 양승권, 현병환 p. 113-126

한국프로농구 기업의 임금수준과 임금격차가 구성원의 생산성과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compensation and pay dispersion on organizational productivity and performance : the case of Korean professional basketball teams : 한국프로농구를 중심으로 김필수, 정태성, 이상현 p. 127-139

스타트업의 특성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tudy on effects of startup characteristics on entrepreneurship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intermediary effects of the accelerator role : 액셀러레이터 역할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김용태, 허철무 p. 141-156

조직의 창업지향성이 창의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organization’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creative behavior : the role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leader-member exchange : 지식공유행동과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의 역할 이상준, 이종건 p. 157-169

중소기업 CEO의 사업중단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discontinue business of SME CEOs : the moderating effects of government regulations : 정부규제의 조절효과 윤덕상 p. 171-186

대학생의 창업교육 만족도와 창업지원제도인식, 창업멘토링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atisfaction level with the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cognition of support system, and mentoring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 창업효능감을 조절효과로 유영철, 이원일 p. 187-200

ESG기업가정신교육과 참여적 학습 방식이 '창의적 문제해결' 및 '사회적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ESG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participatory learning method on creative problem-solving and social value recognition 이선영, 김승철 p. 201-219

참고문헌 (6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문실·김성희(2021). 웹 트래픽 분석을 통한 공공도서관 웹사이트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32(4), 189-212 미소장
2 곽기영(2002). 다중 관점을 고려한 웹사이트 평가 방법론에 관한연구. 한국산업경영학회지, 18(2), 97-123. 미소장
3 곽원섭(2013). 벤처기업의 웹사이트에 대한 신뢰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의 구조적 관계. 벤처창업연구, 8(4), 25-35. 미소장
4 곽희은(2004). 기업 웹사이트 평가 모델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미소장
5 구글고객센터(2022). 이탈률. Retrieved(2022.10.24.) from https://support.google.com/analytics/answer/1009409?hl=ko. 미소장
6 국가통계포털(2023). 인터넷 이용률. Retrieved(2023.1.19.) from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 T_2KAAA13_OECD. 미소장
7 김길래·정소연(2009). 서울 CVB 웹사이트 평가에 관한 연구-방문객의 웹사이트 이용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10(4), 173-190. 미소장
8 김동림·임영환(2014). 구글 애널리틱스를 활용한 웹 사이트의 개선방안 연구: 앱팩토리를 대상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36, 553-572. 미소장
9 김동혁(2019). 수정 IPA를 통한 전자책 플랫폼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출판학연구, 45(4), 37-64. 미소장
10 김승운·박경수·백상용(1999). 한국중소기업의 웹사이트 활용실태 분석. 한국중소기업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1999, 125-151. 미소장
11 김정선(2002). 인터넷 웹사이트 평가모형 도출에 관한 탐색적 연구. 경영과 정보연구, 9, 117-137. 미소장
12 문태은·문형남(2008). 국내 사이버대학교 웹사이트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지능정보연구, 14(2), 137-156. 미소장
13 문형남·박지은(2002). 대학도서관 웹사이트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연구. 사대도협회지, 4, 37-52. 미소장
14 박종구·최윤정(2002). 웹사이트 평가 동향과 지표의 강조점: 공공기관과 민간기관의 차이를 중심으로. 사이버 커뮤니케이션학보, 10(2), 191-224. 미소장
15 박하경·김상수·인호(2007). 판별분석을 이용한 변경모델 결정방법.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4(1), 645-648. 미소장
16 방두완·한승욱·권혁신(2021). 판별분석을 이용한 도시재생뉴딜사업장 예비평가분석 연구. 주택연구, 29(4), 57-74. 미소장
17 방성희(2000). 한국 정보통신 벤처기업의 웹사이트 활용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8 서미라(2005). 경제 분야 웹사이트 정보 품질 평가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19 신영기(2015). 지방자치단체 관광안내 홈페이지 품질 평가분석: 웹표준 및 웹접근성을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9(6), 131-148. 미소장
20 신현산·김평중(2012). 건강정보 웹사이트의 소비자 중심 품질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7(7), 129-138. 미소장
21 심재선(2005). QFD를 적용한 인터넷 건강정보 사이트의 기능적개선.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2 심재선·장혜정·김도훈(2005). HoQ 모형을 적용한 인터넷 건강정보사이트의 기능 개선. 대한의료정보학회지, 11(1), 71-86. 미소장
23 이명성·김한성(2021). 온라인 서점의 서비스 품질 요인에 따른 소비자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 IPA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IT 서비스학회지, 20(3), 103-118. 미소장
24 이명호(2017). 차세대 웹표준 프레임워크 환경에서 N-스크린 지원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대한설비관리학회지, 22(2), 13-20. 미소장
25 이성욱·황승준(2009). 인터넷 기업의 웹 트래픽 정보와 기업가치의상관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지능정보연구, 15(4), 79-97. 미소장
26 이용희·김환석(2014). 웹 접근성과 웹 표준화 향상을 위한CMS(Content Management System)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9(2), 173-182. 미소장
27 이준섭(2003). 웹트래픽을 이용한 국내 닷컴기업과 금융기업의 시장가치 평가. 대한경영학회지, 16(2), 441-461. 미소장
28 이현선(2012). 국내 중소기업의 웹사이트를 통한 언론관계 활동:국내 100대 기업과 미국 중소기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34(3), 67-83. 미소장
29 이현철·김성락·이길섭·이승종(2005). 사용 중 품질척도를 적용한 웹사이트 품질평가. 한국정보과학회, 32(1), 301-303. 미소장
30 장연상(2009). 여행사 웹사이트 품질평가요인의 중요도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미소장
31 장원경·정군오·김연용(2001). 국내 중소벤처기업의 웹사이트 활용목적과 기업성과. 한국중소기업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001, 228-237. 미소장
32 정훈·고창열·유관희·박수연(2013). 글로벌 금융위기가 비재무정보의가치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터넷 기업의 웹트래픽을 중심으로. 회계정보연구, 31(4), 25-26. 미소장
33 조영빈·김채복(2013). 다(多)방문 성형외과 웹 사이트에 대한 종단적 연구.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0(3), 187-199. 미소장
34 지재구(2007). 기업 웹사이트 구성요소에 대한 평가가 기업이미지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원. 미소장
35 최기섭(2003). 교육기관 웹사이트 품질평가 방안 및 평가 사례. 석사학위논문, 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36 최민석(2006). 웹사이트 평가 모델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정보대학원. 미소장
37 하지용·김지은·유한주(2018). 웹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N 포털사에 대한 사례. 서비스경영학회지, 19(4), 221-239. 미소장
38 한국인터넷정보센터(2023). 국가도메인 등록 현황. Retrieved (2023.01.25.) from 한국인터넷정보센터.한국/jsp/statboard /domain/reg/currentNation.jsp. 미소장
39 홍석기·백승익(2006). WebQual을 이용한 인터넷 서점의 서비스 품질 분석. 대한경영학회지, 19(5), 1895-1912. 미소장
40 홍영일(2017). 웹사이트 평가요인을 활용한 브랜드 웹사이트 구축사례연구.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지, 15(2), 43-54. 미소장
41 홍일유(2002). 3C-D-T 모델에 기반한 인터넷쇼핑몰 평가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경영학론집, 28(2), 255-270. 미소장
42 홍한국·임병학·김삼문(2019). DEA와 의사결정 나무(C5.0)의 하이브리드 모델을 사용한 항만의 효율성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7), 99-109. 미소장
43 황지영·김현주·차재빈(2022). 의사결정 나무분석을 이용한 입원 의료서비스 행동의도 예측모형: 의료서비스경험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고객만족경영연구, 24(4), 55-69. 미소장
44 Barnes, S. J., & Vidgen, R. V.(2000). WebQual: An Exploration of Web-Site Quality. Trend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for the 21st Century. Austria: ECIS 2000. 미소장
45 Barnes, S. J., & Vidgen, R. V.(2001a). WebQual: An Evaluation of Cyber-Bookshops: The WebQual Method.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6(1), 11-30. 미소장
46 Barnes, S. J., & Vidgen, R. V.(2001b). Assessing the Quality of Auction Web sites. Proceedings of the 34th Annual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Maui, HI, 10. 미소장
47 Barnes, S. J., & Vidgen, R. V.(2002). An Integrative App roach to the Assesement of E-Commerce Quality.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3(3), 114-127. 미소장
48 Fan, Q.(2011). An Evaluation Analysis of E-government Development by Local Authorities in Australia.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34, 926-934. 미소장
49 Iwaarden, J. V., & Wiele, T. V., & Ball, L., & Millen, R.(2003). Perceptions about the quality of web sites: a survey amongst students at Northeastern University and Erasmus University. Information & Management, 41, 947-959. 미소장
50 KRNIC(2023). National domain registration status. Retrieved (2023.01.25.) from https://xn—3e0bx5euxnjje69i70af08bea817g.xn--3e0b707e/jsp/statboard/domain/reg/currentNa tion.jsp 미소장
51 Lee, T. D., Lee-Geiller, S. K., & Lee, B. K.(2021). A validation of the modified democratic e-governance website evaluation model.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38(4), 101616. 미소장
52 Mich, L., & Franch, M.(2003). The 2QCV3Q Quality Model for the Analysiy of Web site Requirements. Journal of Web Engineering, 2(2), 115-127. 미소장
53 Olsina, L., Lafuente, G., & Rossi, G.(2001). Specifying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ttributes for Websites. WebEngineering, 2000, 266-278. 미소장
54 Parasuraman, A., Zeithaml, V. A,. & Berry, L. L.(1988). SERVQUAL: A multiple- 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64(1), 12-40. 미소장
55 Parasuraman, A., Zeithaml, V. A., & Malhotra, A.(2005). ES-QUAL: A Multiple Item Scale for Assessing Electronic Service quality. Journal of Service Research, 7(3), 213-233. 미소장
56 Rajgopal, S., Kotha, S., & Venkatachalam, M.(2000). The Relevance of Web Traffic for Internet Stock Prices of Internet Firms. Research Paper. Graduate School of Business Stanford University. 미소장
57 Selz, D., & Schubert, T.(1997). Web Assessment: A Model for the Evaluation And the Assessment of Successful Electronic Commerce Applications. Proceedings of the Thirty-First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4, 222-231. 미소장
58 Similarweb(2022). 5000 visits. Retrieved(2022.8.5.) from https://support.similarweb.com/hc/en-us/articles/207698639-What-does-Not-enough-data-mean-. 미소장
59 Spitsina, L., Kretinin, A., & Spitsin, V.(2022). Tráfico de internet y desempeño de las empresas en sectores de alto costo: hay dos caras de la moneda. Revista de Ciencias Administrativas y Económicas, 12(23), 95-109. 미소장
60 Trueman, B., Franco Wong, M. H., & Zhang, X. J.(2000). The Eyeballs have it-Searching for the Value in Internet Stocks.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38, 137-175.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