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인구감소 대응 디지털 정책의 우선순위 분석과 함의 = Analysis of digital policy priorities responding to population decline and implications 박미경, 이홍재, 차용진 p. 1-25, 255
IPA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어장관리정책 평가 = The evaluation of aquafarming ground management policy in Korea by IPA 황규환, 송정헌, 이대인, 윤재웅 p. 27-48, 255-256
COVID-19 시대 빈곤 변화의 분해 = Decomposing poverty rate change in the COVID-19 era 김성근 p. 49-72, 256
대상집단의 사회적 형성과 청년 정책 동태성 분석 = Social construction of target population and dynamics of youth policy : case study of the legistrative process for enactment of 'basic act for youth' : 청년기본법 제정과정을 중심으로 신보라, 박형준 p. 73-109, 257
청소년 비행의 영향 요인 분석 = Analysis of the influencing factors of juvenile delinquency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life : 학교생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희연, 정일환, 문상호 p. 111-134, 257-258
누진제 완화와 전력사용량 변화 = Changes in progressive rates and electricity usage : analysis of the effects of reforming residential electricity rates using matching difference-in-differences : 매칭이중차분법을 활용한 주택용 전기요금 개편 효과 분석 김태헌, 배관표 p. 135-159, 258-259
고용보험제도의 효과성 연구 : 실업급여 수급에 따른 근로연계적 측면을 중심으로 이찬희, 권기헌 p. 161-192

감염병 대응단계별 갈등 복잡성에 대한 연구 = Complexity of conflicts by phase of responses to infectious diseases : focus on network analysis :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임다희, 손수아 p. 193-223, 260
자료포락분석(DEA) 방법을 활용한 지방자치단체 행정구 효율성 비교 분석 =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fficiency of non-autonomous borough of large city by DEA : focusing on non-autonomous borough of large city with more than 500 thousand citizens : 인구 50만 이상 기초자치단체 대도시 중심으로 박진우, 현승현 p. 225-254, 260-261

참고문헌 (6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감사원(2021). <감사보고서: 인구구조변화 대응실태Ⅰ(지역)>. 감사원. 미소장
2 고길곤·하혜영(2008). “정책학 연구에서 AHP 분석기법의 적용과 활용”. <한국정책학회보>, 17(1):287-313. 미소장
3 구양미(2021). “인구변화와 도시쇠퇴의 지역 불균형: 저출산과 지방소멸의 문제에 대한 시사점”. <국토지리학회지>, 55(3): 301-320. 미소장
4 권기철(2006). “부산광역권의 제조업 고용 변동과 인구이동의 관계 및 인구이동의 균형화 효과”. <경제연구>, 24(3): 97-123. 미소장
5 김기승·정민수(2013). “청년층 인재유출 결정요인 분석과 정책과제: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경제연구>, 31(2): 103-130. 미소장
6 김리영·양광식(2013). “인구 유입과 유출을 결정하는 지역 특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5(3): 1-19. 미소장
7 김상민·박진경(2018). “지방자치단체의 인구감소 및 인구구조 변화 대응전략: 강원도 화천군을 사례로”. <지방행정연구>, 32(1): 125-160. 미소장
8 김우영·이정만(2018). “출산장려금의 출산율 제고 효과: 충청지역을 대상으로”. <노동정책연구>, 18(2): 61-98. 미소장
9 김유현(2021). “지역의 경제·생활여건이 청년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행정학보>, 55(2):337-367. 미소장
10 김지영·길상혁·정문기(2022). “소멸위기 지방정부의 핵심생산가능인구 유입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4(2): 211-236. 미소장
11 김현아(2008). “지역간 인구이동의 실증분석”. <응용경제>, 10(2): 75-103. 미소장
12 김현호·박진경(2019). <인구감소지역 유형별 모델 및 사업개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미소장
13 김현호·이제연·김도형(2021). <국가위기 대응을 위한 지방소멸 방지전략의 개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미소장
14 김희재·김근영(2020). “수도권 권역별 특성이 인구이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16(3): 479-492. 미소장
15 문영만·홍장표(2017). “청년층의 노동시장 격차 및 지역인재 유출요인”. <지역사회연구>, 25(2):165-187. 미소장
16 박재현(2019). “농촌 지역 공동화 현상에 따른 활성화 방안 연구: 사회적 농업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리서치>, 4(1): 32-40. 미소장
17 박진경·김도형(2020). <인구감소대응 지방자치단체 청년유입 및 정착정책 추진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미소장
18 박진경·김현호·김상민·임태경(2019). <지역인구감소 대응을 위한 범부처 종합대책 마련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미소장
19 박추환·김명수(2006). “지역 노동력 이동의 결정요인 연구”. <지역연구>, 22(2): 97-113. 미소장
20 석호원(2022). “생애주기별 인구이동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31(3): 71-113. 미소장
21 성주인·엄진영·박유진·정규형(2014). <농촌의 중장기 인구 변화에 대응한 지역활성화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미소장
22 송현재·김현아(2014). “출산장려금과 지역 간 인구이동”. <응용경제>, 16(3): 165-199. 미소장
23 오은열·문채(2016). “지역인구이동 변화에 미치는 결정요인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도시행정학보>, 29(4): 67-92. 미소장
24 원광희·채성주·송창식. (2010). <인구감소시대 축소도시 활성화 전략>. 충북개발연구원. 미소장
25 유동균·박준·염춘호(2021). “교통접근성이 인구증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비수도권 인구감소도시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 29(1): 49-73. 미소장
26 유한별·탁근주·문정승(2021). “한국 지방소멸 요인과 극복 방안에 관한 연구: 머신러닝 방법을 통한탐색”. <지방정부연구> , 24(4): 443-476. 미소장
27 이병기(2010). “농촌 과소화 실태와 전망”. <농촌지도와 개발>, 17(4): 773-797. 미소장
28 이상대·이정훈·조성택·조희은(2022). <인구소멸위험 대응 연천군 발전전략 연구>. 경기연구원. 미소장
29 이상림. (2018). <지역 인구공동화 전망과 정책적 함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30 이상호(2016). “한국의 지방소멸에 관한 7가지 분석”. <지역고용 동향 브리프>. 한국고용정보원 미소장
31 이성재·한국환(2021). “인구감소 유형에 따른 실태분석 및 대응 연구: 전라북도 읍면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29(3): 21-47. 미소장
32 이찬영·문제철(2016). “광주·전남 지역의 연령별·이동지역별 인구이동 결정요인 분석”. <산업경제연구>, 29(6): 2239-2266. 미소장
33 이찬영·이흥후(2016). “청년층의 지역 간 인구이동 결정요인 분석과 전망”. <경제연구>, 34(4): 143-169. 미소장
34 이홍재·차용진·박미경(2021). “계층분석방법을 활용한 국제보훈 정책의 우선순위 분석과 정책적함의”.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5(4): 115-138. 미소장
35 이홍재·차용진(2017). “디지털 위험관리 활성화 방안”.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7(2): 105-131. 미소장
36 이홍재·차용진(2020). “보훈문화 콘텐츠 활성화를 위한 정책 기반요인의 중요도 분석과 함의: 학계및 실무 전문가의 인식 비교”. <정책분석평가학회보>, 30(4): 185-210. 미소장
37 이희연·노승철(2010). “위계선형모형을 이용한 인구이동 흐름 분석”. <국토연구>, 67: 123-142. 미소장
38 임동진(2022). “지방소멸, 이민정책으로 해결할 수 있는가?: 호주 지방정부의 SSRM 이민프로그램을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34(1): 87-118. 미소장
39 임영훈·이주량·박동배·김승현·심성철·추수진·김연중. (2019). <국내외 스마트 농촌 관련 정책동향과 핵심과제 도출: 스마트 인프라 통합정책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미소장
40 정성호(2019). “강원도 인구변화와 지역소멸 위험”. <사회과학연구>, 58(1): 3-22. 미소장
41 정성호·홍창수(2018). “강원지역의 소멸 가능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57(1): 3-25. 미소장
42 정주원·이아라(2022). “인구감소지역 유형에 따른 특성 분석”. <한국행정연구>, 31(3): 61-87. 미소장
43 제현정(2019). “인구감소지역 유형별 대응정책 사례 연구”.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2(1): 131-147. 미소장
44 조근태·조용곤·강현수(2003).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서울: 동현출판사. 미소장
45 조덕호(2022). “지방소멸방지를 위한 역구독 경제와 청년 창·취업대책”.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4(4):83-98. 미소장
46 조성훈·김태성·이영찬(1998). “Compatibility를 이용한 다수 전문가의 가중치 종합화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지>, 23(4): 131-140. 미소장
47 주상현(2021). “지방자치단체 인구소멸 실태와 정책 방안”. <한국자치행정학보>, 35(3): 297-322. 미소장
48 차미숙·김승종·남기찬·민성희·서연미·김수진·이보경·최예술·조은주·이인규(2021). <지방소멸대응 대책 수립 연구>. 행정안전부 미소장
49 최열·김형준(2012). “수도권 및 비수도권의 주거이동 결정요인 비교 분석”. <국토계획>, 47(4):219-231. 미소장
50 통계청(2021). 장래인구추계. 미소장
51 통계청(2022a). 시도/합계출산율. 미소장
52 통계청(2022b). 시군구/성/출산순위별 출생. 미소장
53 Aczél, J., & Saaty, T. L. (1983). “Procedures for Synthesizing Ratio Judgements”. Journal of Mathematical Psychology, 27(1): 93-102. 미소장
54 Cadwallader, M. (1989). “A Conceptual Framework for Analysing Migration Behaviour in the Developed World”. Progress in Human Geography, 13(4): 494-511. 미소장
55 Davis, P. S. & Greenwood, M. J. (2001). “A Conditional Logit Approach to U.S. State to State Migration”. Journal of Regional Science, 40(2): 337-360. 미소장
56 European Commission. (2017). EU Action for Smart Villages, Brussels. 미소장
57 Foulkes, M., & Newbold, B. (2000). “Migration Propensities, Pattern, and the Role of Human Capital: Comparing Mexica, Cuban, and Puertorican Interstate Migration”. Professional Geographer, 52(1): 133-145 미소장
58 Knapp, B. J. (1989). Challenge of the Human Environment. Longman. 미소장
59 Mclnnis, M. (1971). “Age, Education and Occupation Differentials in Interregional Migration:Some Evidence for Canada”. Demography, 8(2): 195-204. 미소장
60 Saaty, T.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Planning, Priority Setting, Resources allocation. New York: McGraw. 미소장
61 Schultz, T. P. (1982). Lifetime Migration within Educational Strata in Venezuela: Estimates of a Logistic Model. Center Discussion Papers, New Haven: Yale University. 미소장
62 Tiebout, C. M. (1956). “A Pure Theory of Local Expenditures”. Th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64(5): 416-424. 미소장
63 Williams, A. S., Jobes, P. C., & Gilchrist, C. J. (1986). “Gender Roles, Marital Status, and Urban-rural Migration”. Sex Roles, 15(11): 627-643. 미소장
64 Wiseman, R. F. (1980). “Why Older People Move: Theoretical Issues”. Research on Aging, 2(2):141-154.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