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소동파 시사 어휘 번역 연구 : 조규백과 류종목의 한역본을 중심으로 = The correspondence of Chinese and Korean vocabulary in Su Shi's poems : based on the Korean translation of Jo Gyubaek and Ryu Jongmok / 장림 ; 염철 1
目次 1
Ⅰ. 서론 1
Ⅱ. 선행연구 3
2.1. 한국의 소동파 시사 번역본 현황 3
2.2. 한국의 소동파 시사 연구 현황 5
Ⅲ. 직역 및 의역 7
1) 직역 8
2) 의역 10
Ⅵ. 생략 및 첨가 11
1) 생략 12
2) 첨가 13
Ⅴ. 변환 14
Ⅳ. 결론 16
참고문헌 17
ABSTRACT 19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령매(2010), 「金秋史와 蘇東坡의 詩論 比較 考察 - 靜悟 지향의 作詩法을 中心으로」, 우리문학연구 제30호, 우리문학회. | 미소장 |
2 | 김은하(2005), 「蘇軾 詞 硏究」, 群山大敎育大學院,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 | 김슬기(2019), 「蘇軾의 ‘月’字詩 연구: 黃州시기까지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 | 김연주(2015), 「詩⋅書⋅畵를 통해 표출된 蘇軾의 禪意 硏究」, 중국학논총 제45호, 한국중국문화학회, | 미소장 |
5 | 金卿東(2005), 「蘇軾 詩에 대한 李奎報의 追和詩」, 중국어문학지 제19호, 중국어문학회. | 미소장 |
6 | 金恩景(2012), 「蘇軾 念奴嬌 의 次韻詞考 - 南宋愛國詞人을 中心으로」, 중국어문학 제 60호, 중국어문학회. | 미소장 |
7 | 金周淳(2010), 「蘇東坡的「和歸去來辭」硏究」, 중국학 제35호, 대한중국학회. | 미소장 |
8 | 金珍敬(2003), 「蘇軾 黃州時期 詩 編年에 관한 考察」, 중국어문학지 제13호, 중국어문학회. | 미소장 |
9 | 노선녀(2009), 「蘇軾詞의 風格 分析」,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0 | 柳己洙(2018), 「中國과 朝鮮의 蘇軾 水調歌頭(明月幾時有) 의 誤讀 事例에 관한 考察」, 중국연구 제74호, 건국대학교 중국문제연구소. | 미소장 |
11 | 柳種睦(2001), 「第二次 貶謫時期의 東坡詞」, 중국문학 제35호, 한국중국어문학회. | 미소장 |
12 | 李和宣⋅具仕會(2016), 「蘇軾의 詩에 나타난 釀酒 技術의 文化的 含意 — 蜜酒歌 의 蜂蜜酒와 東坡酒經 의 東坡酒를 中心으로」, 동양문화연구 제25호, 경북대학교동양문화연구소. | 미소장 |
13 | 서은숙(2005), 「蘇軾 題畵詩 硏究: 회화론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신의선(2015), 「唐宋 禪詩의 心象 活用에 관한 연구: 王維와 蘇軾의 禪詩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5 | 이근희(2005), 이근희의 번역산책 ,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16 | 이근희(2015), 번역의 이론과 실제(제정판) , 서울, 한국문화사 | 미소장 |
17 | 유지원(2014), 「蘇軾 禪詩 意境의 심화양상 硏究」,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8 | 엄기철(2003), 「蘇軾 山水詩 硏究」,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9 | Jeremy Munday 지음/ 정연일 남원준 옮김(2006), 번역학입문 ,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20 | 鄭世珍(2014), 「蘇軾 詩 自註에 관한 첫 번째 考察 ― 讀者에 대한 詩人의 提案과 幹涉」, 중국문학 제80호, 한국중국어문학회. | 미소장 |
21 | 曹圭百(2001), 「蘇東坡의 海南島 流配詩 探索」, 중국문학연구 제23호, 한국중문학회 | 미소장 |
22 | 조규백(2006), 「朝鮮時代文人對蘇東坡詩文的“受容”及其蘇東坡觀」, 退溪學과 韓國文化 제38호, 경북대학교퇴계연구소 | 미소장 |
23 | 조규백(2020), 「韓國에서의 蘇東坡 關聯 研究論著目錄(1945-2019) -期刊論文을 中心으로-」, 中國語文學 제12호, 영남중국어문학회 | 미소장 |
24 | 장원(2018), 「李奎報의 蘇軾 次韻詩 硏究」, 중앙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5 | 정진영(2018), 「蘇軾 流配期 詩賦 硏究」, 동국대 대학원 한문학과,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6 | 정세진(2006), 「蘇軾 飮食詩 硏究」, 서울대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7 | 조정아(2013), 「蘇軾詞의 서정 특징 연구」, 성신여대 대학원 중어중문학과,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8 | 최정길(2012), 「蘇軾의 人情詞 硏究」,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9 | 황길자(2014), 「高麗 漢詩와 蘇軾詩 비교고찰」, 군산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0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