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심장은 3억 번 뛰고 싶다
|
글: 배진건
|
p. 16-19
|
|
|
|
투사(投射)
|
글: 김선진
|
p. 20-21
|
|
|
|
다중오믹스-의료 빅데이터 기반 정밀의료 플랫폼 : 프로테오믹스의 이해
|
글: 황대희
|
p. 22-23
|
|
|
|
FDA로부터 배우는 환자 중심 신약 개발
|
글: 윤나리
|
p. 24-27
|
|
|
|
마이크로바이옴은 어떻게 신약이 되었나
|
글: 고광표
|
p. 30-33
|
|
|
|
마이크로바이옴 불균형이 초래하는 자가면역질환
|
글: 임준서
|
p. 34-37
|
|
|
|
마이크로바이옴 조절을 통한 새로운 항암 치료법의 개발
|
글: 김현, 양준원
|
p. 38-41
|
|
|
|
장과 뇌도 소통한다… '장-뇌 축' 이론의 마이크로바이옴 치료기전
|
글: 김은하
|
p. 42-45
|
|
|
|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개발을 위해 극복해야 할 생산 이슈
|
글: 신용원
|
p. 46-49
|
|
|
|
경구용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첫 승인… 향후 주자는?
|
글: 정재원
|
p. 50-53
|
|
|
|
"PD-(L)1 계열 모든 면역항암제와 병용 임상 진행" : 지놈앤컴퍼니
|
글: 김예나 ; 사진: 김기남
|
p. 54-55
|
|
|
|
"연내 건선 치료제 2a상 완료… '스마티옴' 플랫폼 고도화할 것" : 고바이오랩
|
글: 김예나 ; 사진: 김기남
|
p. 56-57
|
|
|
|
"염증성 장질환 임상 진입… 1b상서 적응증 확대할 것" : 이뮤노바이옴
|
글: 김예나 ; 사진: 서범세
|
p. 58-59
|
|
|
|
"마이크로바이옴으로 기존 항암제 부작용 개선에 집중" : 지아이바이옴
|
글: 김예나 ; 사진: 서범세
|
p. 60-61
|
|
|
|
"핵심 마이크로바이옴 기술로 치료제 개발 기간·비용 단축" : 에이치이엠파마
|
글: 김예나 ; 사진: 이승재
|
p. 62-63
|
|
|
|
"3분기 美 임상 2상 진입 및 신속심사 신청" : 리스큐어바이오사이언시스
|
글: 김예나 ; 사진: 이승재
|
p. 64-65
|
|
|
|
토털 헬스케어 기업 휴온스, 리도카인·점안제 등으로 글로벌 시장 본격 공략 [대담]
|
[대담]: 윤상배, 서근희 ; 글: 이지현 ; 사진: 임대철
|
p. 68-73
|
|
|
|
젬백스앤카엘 "GV1001, 뇌질환 블록버스터로 키울 것"
|
글: 박인혁 ; 사진: 김기남
|
p. 74-75
|
|
|
|
미국, 유럽 두 마리 토끼 잡는 프리시젼바이오
|
글: 남정민 ; 사진: 김병언
|
p. 76-77
|
|
|
|
제놀루션 "그린바이오 RNA 제품 개발, 글로벌 CMO 목표"
|
글: 김유림 ; 사진: 최혁
|
p. 78-79
|
|
|
|
매출 고공행진 시지바이오 "칼슘 필러 글로벌에서 주목"
|
글: 김유림 ; 사진: 이솔
|
p. 80-81
|
|
|
|
국내 1호 디지털 치료기기 탄생시킨 에임메드
|
글: 남정민 ; 사진: 강은구
|
p. 82-83
|
|
|
|
임팩트 투자자 관심 커진 코애귤런트, "혈액응고인자·항체 활용해 급성출혈 신약 만들 것" [인터뷰]
|
[인터뷰이]: 테리 허미스턴 ; 글: 이지현 ; 사진: 최혁
|
p. 84-85
|
|
|
|
오름테라퓨틱 "업그레이드 ADC 플랫폼, 세계 최초에 도전" [인터뷰]
|
[인터뷰이]: 이승주 ; 글: 김유림 ; 사진: 임대철
|
p. 86-87
|
|
|
|
접근 까다롭던 삼중음성 유방암, 이젠 조기 치료로 적극 관리 : 손주혁 세브란스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교수 [인터뷰]
|
[인터뷰이]: 손주혁 ; 글·사진: 김정은
|
p. 88-89
|
|
|
|
파로스아이바이오, 인공지능(AI) 신약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대담]
|
[대담]: 윤정혁, 김정현 ; 글: 김유림 ; 사진: 최혁
|
p. 90-93
|
|
|
|
대구바이오클러스터
|
글: 김예나
|
p. 94-95
|
|
|
|
"세계 최초 의료용 방사선 개인 측량계 수출 본격화할 것" : JS테크윈
|
글: 김예나
|
p. 96-97
|
|
|
|
구로다 가고 우에다 시대 전개… 일본은행의 통화정책, 어떻게 변할까?
|
글: 한상춘
|
p. 100-103
|
|
|
|
에이프릴바이오, 지속적인 플랫폼 기술이전 기대
|
글: 이지수
|
p. 108-109
|
|
|
|
큐렉소, K-의료로봇 선두주자
|
글: 나승두
|
p. 110-111
|
|
|
|
큐라티스 : 백신개발 및 위탁개발생산 전문기업
|
글: 박인혁
|
p. 112-113
|
|
|
|
창업자의 후광보다는 진정성에 집중 : 나문호 메디치인베스트먼트 상무
|
글: 이우상 ; 사진: 최혁
|
p. 114-117
|
|
|
|
올해 AACR 주인공은 암백신
|
글: 이지현
|
p. 118-119
|
|
|
|
MSD, 14조 원에 염증성 장질환 신약 개발 기업 인수
|
글: 한민수
|
p. 120-121
|
|
|
|
대사질환 치료제로 기대감 모으는 바이킹테라퓨틱스
|
글: 오의림
|
p. 122-123
|
|
|
|
"저출산 고민 커진 한국에 난임 극복 기술로 도움 줄 것" : 머크 [인터뷰]
|
[인터뷰이]: 크리스토프 하만 ; 글: 이지현
|
p. 124-125
|
|
|
|
액체생검 1위 가던트헬스의 성장 비결… '혁신 기술' 과학자와 '얼리어답터' 의사의 만남 : 가던트헬스 [인터뷰]
|
[인터뷰이]: 이지연, 아미르알리 탈라사즈 ; 글: 이지현 ; 사진: 임대철
|
p. 126-127
|
|
|
|
고지혈증 치료제의 새로운 모달리티 연구 동향
|
글: 남궁석
|
p. 128-129
|
|
|
|
효과적인 파트너링과 영업비밀 보호
|
글: 이여원
|
p. 130-131
|
|
|
|
"디지털 전환으로 의료 소비자 주도권 높아질 것" : 권용진 서울대병원 교수
|
글: 이지현 ; 사진: 강은구
|
p. 132-135
|
|
|
|
"환자 침대 옆에서 맞춤형 치료제 만드는 시대 올 것" : EY 바이오 컨설턴트의 전망
|
글: 남정민
|
p. 136-137
|
|
|
|
당신은 주사 치료를 좋아하시나요?
|
글: 권진숙
|
p. 138-139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