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한국형 K-뉴스포츠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K-newsports education program / 김동학 1
Abstract 1
I. 서론 1
II. 연구방법 2
1. 연구 참여자 2
2. 한국형 뉴스포츠 소개 및 활용 2
3. 자료수집 3
4. 자료분석 3
5. 연구의 진실성 및 윤리성 3
III. 연구결과 및 논의 3
1. K-뉴스포츠 교육프로그램 참여 만족도 3
2. K-뉴스포츠 교육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4
3. K-뉴스포츠 교육 프로그램 개발 5
IV. 결론 및 제언 6
참고문헌 7
요약 8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동헌, 박지영, 은선덕(2022).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장애인의 뉴스포츠 프로그램 참여 경험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6), 541-556. | 미소장 |
2 | 고문수, 김재운(2012). 초등교사의 눈으로 바라본 뉴스포츠 수업의 교육적 가능성과 한계. 교과교육학연구, 1123-1141. | 미소장 |
3 | 고문수, 이양구, 김무영(2011). 뉴스포츠 활용 체육수업에 대한 초등학생의 경험.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6(1), 101-113. | 미소장 |
4 | 김동일, 이혜은, 김이삭, 최지현(2018). 청소년을 위한 스포츠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실행연구. 학습자중시교교교육연구, 18(2), 1-29. | 미소장 |
5 | 김동학(2015). 아마추어 스포츠 심판의 정상화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접근. 한국체육학회지, 54(3), 253-264. | 미소장 |
6 | 김동학, 남윤신(2019). 다문화 청소년들의 스포츠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체육과학회지, 28(3), 483-495. | 미소장 |
7 | 김동학, 신상현(2019). 다문화청소년들의 사회통합을 위한 스포츠 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8(4), 681-69. | 미소장 |
8 | 김동환, 조지현, 김동학(2021). 체육대학 뉴스포츠 전공 학생 지도 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60(5), 439-461. | 미소장 |
9 | 김송이, 이미나(2022). 뉴스포츠활동이지역아동센터아동의 적응유연성, 또래관계, 사회적유능성의 효과. 청소년상담학회지, 3(3), 5-25. | 미소장 |
10 | 김승재, 김진희, 홍석표(2008). 뉴스포츠 운영을 통한 학교체육 활성화방안. 한국체육학회지, 47(2), 197-208. | 미소장 |
11 | 김은혜(2021). 예비체육교사의 실제적 수업역량 함양을 위한 체육과 실기수업 사례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5(4), 17-32. | 미소장 |
12 | 김재필, 임성호(2015). 방과 후 뉴스포츠 참여 초등학생의 재미와 운동지속과의 관계에서 수업 만족도의 매개 효과.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0(3), 111-125. | 미소장 |
13 | 김창원(2021). 한국뉴스포츠 2급 자격연수 지도자 현황. 한국투투볼협회내부 자료. | 미소장 |
14 | 김현우(2010). 뉴스포츠를 적용한 체육수업과 전통적 체육수업의 수업참여요인 및 수업만족도 비교. 한국체육학회지, 49(6), 323-334. | 미소장 |
15 | 김현우(2011). 뉴스포츠 적용 체육수업과 근대스포츠 적용 체육수업의신체활동 가치 영역별 만족도 비교. 한국체육과학회지, 20(3). 1101-1117. | 미소장 |
16 | 김효림, 오원선, 이병준(2016). 뉴스포츠 관련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0(4), 1-17. | 미소장 |
17 | 류태호(2006). 뉴스포츠의 이해와 실천. 서울: 무지개사. | 미소장 |
18 | 류태호, 이병준(2006). 뉴스포츠의 개념과 교육적 의미.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3(1), 67-81. | 미소장 |
19 | 박견우, 노성규(2012). 뉴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강원도 체육교사들의 요구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3), 43-62. | 미소장 |
20 | 박명기, 문호준(2017). 체육교수론. 서울: 레인보우북스. | 미소장 |
21 | 박병익, 홍지은(2019). 중학생의 체육교과에서 뉴스포츠 몰입이 체육수업운영 만족도와 참여지속 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8(3). 257-270. | 미소장 |
22 | 박종범, 홍성걸(2021). 한류의 원조: 태권도 세계화와 문화영토 확장. 문화영토연구, 2(1), 123-162. | 미소장 |
23 | 서종석(2017). 중학교 체육교과 수업에서의 뉴스포츠 학습 만족과 교과목표 성취 및 운동능력, 사회심리적 관계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24 | 신재봉(2008). 초등학교 학생들의 스포츠참여 및 체육수업 만족도 조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소장 |
25 | 오응수, 이동호(2016). K-NEW 스포츠를 한류 스포츠로 발전시키기 위한지원 정책.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4(3), 125-144. | 미소장 |
26 | 이관훈, 최흥섭(2017). 핵심역량 뉴스포츠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체육수업 태도 및 만족도 변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2), 701-719. | 미소장 |
27 | 이규일, 류태호(2010). 체육 꽈 교육의 논리로 바라본 뉴스포츠 수업의교육적 한계 및 실천 방안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7(4), 83-100. | 미소장 |
28 | 이병준(2006). 15년의 수업기록과 그 의미. 한국스포츠교육학회 학술대회. | 미소장 |
29 | 이용락, 신재한(2017). 초등학교 뉴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방향 탐색. 인문사회21, 8(5). 965-981. | 미소장 |
30 | 이종철, 정소민(2011). 뉴스포츠 활용에 대한 체육교사 이야기. 한국웰리스학회지, 6(1), 91-102. | 미소장 |
31 | 이창현(2014). 한국과 영국의 대학 체육교사교육 비교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0(3), 17-37. | 미소장 |
32 | 임우택(2001).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한 뉴스포츠 도입방안.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6(2), 239-251. | 미소장 |
33 | 정구경(2013).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하나로 수업과 뉴스포츠의 통합적적용과 효과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미소장 |
34 | 정기채(2005). 중등 체육과 직무연수 자료집:체육교육 현장에서 뉴스포츠의 적용계획. 광주교육청. | 미소장 |
35 | 정우석, 오응수(2016). 한국형 뉴스포츠 펀이볼(Fhun-E Ball) 참여자의심리적 만족과 대학교양체육수업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체육과학회지, 25(4), 305-317. | 미소장 |
36 | 진보라, 이상호(2019). 관광자원봉자자의 SNS 홍보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관광학연구, 42(5), 97-116. | 미소장 |
37 | 최의창(2015). ‘교과교육에서의 인성교육과 교원의 역량’에 대한 토론-교과인성교육을 가능케 하는 교과교육관은 무엇인가?-.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61-16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