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한국형 K-뉴스포츠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K-newsports education program / 김동학 1

Abstract 1

I. 서론 1

II. 연구방법 2

1. 연구 참여자 2

2. 한국형 뉴스포츠 소개 및 활용 2

3. 자료수집 3

4. 자료분석 3

5. 연구의 진실성 및 윤리성 3

III. 연구결과 및 논의 3

1. K-뉴스포츠 교육프로그램 참여 만족도 3

2. K-뉴스포츠 교육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4

3. K-뉴스포츠 교육 프로그램 개발 5

IV. 결론 및 제언 6

참고문헌 7

요약 8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멘탈 웰니스를 위한 표현의 시각적 재구성 연구 : A study on visual reconstruction of expression for mental wellness : focusing on improving cognitive ability and creative expression / 인지능력 향상과 창의적 표현을 중심으로 김성헌 p. 1-7

보기
간호대학생의 아동 발열에 대한 지식, 태도가 발열 관리 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nursing students' knowledge on and attitudes toward child fever on the fever management nursing performance 전소자, 박현정 p. 9-14

보기
골프참여자의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골프용품 구매결정요인 및 운동만족의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recreation specialization, purchase decision factors of golf goods and exercise satisfaction for golf participants 조원득 p. 15-22

보기
중국 정부 주도의 건강정책과 시사점 = Chinese government-led health policies and their implications 박종우 p. 23-30

보기
청소년의 흡연 및 음주 태도 변화를 위한 자기회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 of self-recovery program for changing smoking and drinking attitudes of adolescents 김수진, 송지현 p. 31-36

보기
축구 조기은퇴선수의 경험을 통한 진로확충방안 탐색 = Exploring career expansion plans through the experience of early soccer retirement players 윤재혁, 김병준 p. 37-43

보기
한국형 K-뉴스포츠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K-newsports education program 김동학 p. 45-52

보기
위계적 조직문화가 장애인의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hierarchical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ing on the wage level of the disabled : by mediating self-development and work ability / 자기개발과 업무능력을 매개하여 김영수, 이홍직 p. 53-58

보기
유산소 운동 수행 후 변화된 장내미생물 특성 분석 : Characteristics of changed gut microbiome after aerobic exercise behavior : family hierarchy / Family 계층 윤소미, 이미영, 이대택 p. 59-64

보기
(A) comprehension of children’s kinematic ball catching techniques = 아동의 운동학적 볼 잡기기술의 이해 Jeon, yong-kyun, Choi, Jaeil p. 65-69

보기
노인의 전두엽 및 후두엽 뇌파 지표와 주관적기억감퇴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frontal and occipital electroencephalogram indicators and subjective memory decline in the elderly 추향임, 심준영 p. 71-77

보기
택지개발에 의해 이주한 고령 농업인의 외상 후 성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ost-traumatic growth of elderly farmers who were forced to migrate due to land development :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 성차를 중심으로 전병주 p. 79-86

보기
성격강점 활용과 자기애적 성향 간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engths use and narcissistic tendencies 임지영 p. 87-95

보기
초등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School sports club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effect of participation on school life satisfaction 윤성준, 백준형 p. 97-101

보기
클라이언트의 폭력경험이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 The effect of client violence on turnover intention among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focusing on a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양정빈, 장영은 p. 103-108

보기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삶의 만족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etermin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adolescents' life satisfaction : verification of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 /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매개효과 김지영, 손영미 p. 109-116

보기
사회자본이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the depression in the elderly 윤수인, 이홍직 p. 117-123

보기
요가지도자의 멘토링이 참여자의 스포츠자신감 및 운동몰입의사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yoga instructors' guidance on participants' physical self-confidence and exercise engagement 왕남, 조현철 p. 125-130

보기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학습실재감, 성취동기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nursing students’ interpersonal competency, learning presence, and achievement motivation on major satisfaction 김소미, 이소정, 김민지, 김산, 김은채, 나예린, 문정원, 안성민 p. 131-137

보기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 영향 요인 : Factors affecting post-traumatic growth of firefighters : focusing on self-efficacy, calling, and social support / 자기효능감, 직업 소명, 사회적지지를 중심으로 김민정, 한유진 p. 139-146

보기

참고문헌 (3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동헌, 박지영, 은선덕(2022).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뇌졸중 장애인의 뉴스포츠 프로그램 참여 경험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2(6), 541-556. 미소장
2 고문수, 김재운(2012). 초등교사의 눈으로 바라본 뉴스포츠 수업의 교육적 가능성과 한계. 교과교육학연구, 1123-1141. 미소장
3 고문수, 이양구, 김무영(2011). 뉴스포츠 활용 체육수업에 대한 초등학생의 경험.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6(1), 101-113. 미소장
4 김동일, 이혜은, 김이삭, 최지현(2018). 청소년을 위한 스포츠 기반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실행연구. 학습자중시교교교육연구, 18(2), 1-29. 미소장
5 김동학(2015). 아마추어 스포츠 심판의 정상화 과정에 관한 근거이론적접근. 한국체육학회지, 54(3), 253-264. 미소장
6 김동학, 남윤신(2019). 다문화 청소년들의 스포츠 프로그램 참여 경험에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체육과학회지, 28(3), 483-495. 미소장
7 김동학, 신상현(2019). 다문화청소년들의 사회통합을 위한 스포츠 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8(4), 681-69. 미소장
8 김동환, 조지현, 김동학(2021). 체육대학 뉴스포츠 전공 학생 지도 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60(5), 439-461. 미소장
9 김송이, 이미나(2022). 뉴스포츠활동이지역아동센터아동의 적응유연성, 또래관계, 사회적유능성의 효과. 청소년상담학회지, 3(3), 5-25. 미소장
10 김승재, 김진희, 홍석표(2008). 뉴스포츠 운영을 통한 학교체육 활성화방안. 한국체육학회지, 47(2), 197-208. 미소장
11 김은혜(2021). 예비체육교사의 실제적 수업역량 함양을 위한 체육과 실기수업 사례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5(4), 17-32. 미소장
12 김재필, 임성호(2015). 방과 후 뉴스포츠 참여 초등학생의 재미와 운동지속과의 관계에서 수업 만족도의 매개 효과.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0(3), 111-125. 미소장
13 김창원(2021). 한국뉴스포츠 2급 자격연수 지도자 현황. 한국투투볼협회내부 자료. 미소장
14 김현우(2010). 뉴스포츠를 적용한 체육수업과 전통적 체육수업의 수업참여요인 및 수업만족도 비교. 한국체육학회지, 49(6), 323-334. 미소장
15 김현우(2011). 뉴스포츠 적용 체육수업과 근대스포츠 적용 체육수업의신체활동 가치 영역별 만족도 비교. 한국체육과학회지, 20(3). 1101-1117. 미소장
16 김효림, 오원선, 이병준(2016). 뉴스포츠 관련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0(4), 1-17. 미소장
17 류태호(2006). 뉴스포츠의 이해와 실천. 서울: 무지개사. 미소장
18 류태호, 이병준(2006). 뉴스포츠의 개념과 교육적 의미.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3(1), 67-81. 미소장
19 박견우, 노성규(2012). 뉴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강원도 체육교사들의 요구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7(3), 43-62. 미소장
20 박명기, 문호준(2017). 체육교수론. 서울: 레인보우북스. 미소장
21 박병익, 홍지은(2019). 중학생의 체육교과에서 뉴스포츠 몰입이 체육수업운영 만족도와 참여지속 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8(3). 257-270. 미소장
22 박종범, 홍성걸(2021). 한류의 원조: 태권도 세계화와 문화영토 확장. 문화영토연구, 2(1), 123-162. 미소장
23 서종석(2017). 중학교 체육교과 수업에서의 뉴스포츠 학습 만족과 교과목표 성취 및 운동능력, 사회심리적 관계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24 신재봉(2008). 초등학교 학생들의 스포츠참여 및 체육수업 만족도 조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25 오응수, 이동호(2016). K-NEW 스포츠를 한류 스포츠로 발전시키기 위한지원 정책. 한국체육정책학회지, 14(3), 125-144. 미소장
26 이관훈, 최흥섭(2017). 핵심역량 뉴스포츠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체육수업 태도 및 만족도 변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2), 701-719. 미소장
27 이규일, 류태호(2010). 체육 꽈 교육의 논리로 바라본 뉴스포츠 수업의교육적 한계 및 실천 방안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17(4), 83-100. 미소장
28 이병준(2006). 15년의 수업기록과 그 의미. 한국스포츠교육학회 학술대회. 미소장
29 이용락, 신재한(2017). 초등학교 뉴스포츠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방향 탐색. 인문사회21, 8(5). 965-981. 미소장
30 이종철, 정소민(2011). 뉴스포츠 활용에 대한 체육교사 이야기. 한국웰리스학회지, 6(1), 91-102. 미소장
31 이창현(2014). 한국과 영국의 대학 체육교사교육 비교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0(3), 17-37. 미소장
32 임우택(2001).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한 뉴스포츠 도입방안.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6(2), 239-251. 미소장
33 정구경(2013). 중학교 체육수업에서 하나로 수업과 뉴스포츠의 통합적적용과 효과분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34 정기채(2005). 중등 체육과 직무연수 자료집:체육교육 현장에서 뉴스포츠의 적용계획. 광주교육청. 미소장
35 정우석, 오응수(2016). 한국형 뉴스포츠 펀이볼(Fhun-E Ball) 참여자의심리적 만족과 대학교양체육수업 적용 가능성 탐색. 한국체육과학회지, 25(4), 305-317. 미소장
36 진보라, 이상호(2019). 관광자원봉자자의 SNS 홍보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관광학연구, 42(5), 97-116. 미소장
37 최의창(2015). ‘교과교육에서의 인성교육과 교원의 역량’에 대한 토론-교과인성교육을 가능케 하는 교과교육관은 무엇인가?-.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61-16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