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성소수자(LGBT), 다양한 사회운동과 연대하라 | [저]: 가브리엘 지라르, 다니엘라 로자스 카스트로 ; 번역: 정기헌 | p. 10-19 | ||
권리 운동과 변혁 전략 나란히 가야 | 글: 가브리엘 지라르, 다니엘라 로자스 카스트로 ; 번역: 정기헌 | p. 21-23 | ||
사회적 타살, 국가가 죽인 군인 | 안치용 | p. 24-36 | ||
희한한 성별 | 글: 장 스테른 ; 번역: 이주영 | p. 37-38 | ||
어떻게 연대할 것인가 | [저]: 프레데리크 로르동 ; 번역: 정나영 | p. 39-47 | ||
"나는 레즈비언 대통령을 원한다", 그리고 트랜스젠더 군인도 | 안치용 | p. 48-54 | ||
다르지 않다, 그러나 평등하지 않다 | 양근애 | p. 55-59 | ||
트랜스젠더의 도전, 결국 그들은 문을 열 것이다! | 목수정 | p. 60-65 | ||
볼록이와 오목이, 그리고 아담 | 김창주 | p. 66-73 | ||
알제리의 남성 동성애 | [저]: 로즈 스켐브리 ; 번역: 조민영 | p. 76-82 | ||
타이완, 동성혼 합법화한 이유 | [저]: 에바 아잉, 알리스 에라이트 ; 번역: 조승아 | p. 83-89 | ||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트랜스섹슈얼리티 | [저]: 앙헬린 몬토야 ; 번역: 이정민 | p. 90-96 | ||
진군하는 아마존 여성들 | [저]: 라미아 우알랄로 ; 번역: 허보미 | p. 97-105 | ||
리야드의 성(性) 정체성 혼란 | [저]: 아멜리 르 르나르 ; 번역: 고광식 | p. 106-113 | ||
한국 현대미술의 "퀴어한 시간들" | 김지연 | p. 116-121 | ||
다양성 안에서 헤엄치기 : <물고기로 죽기> | 양근애 | p. 122-127 | ||
성소수자 관찰 예능 <메리퀴어>가 보여준 다양성 | 이주라 | p. 128-132 | ||
내 삶은 충만하다, 그리고 아름답다 : 다큐 <모어> | 송아름 | p. 133-136 | ||
이상하고 색다른(queer) 소설과 연극 : <알려지지 않은 예술가의 눈물과 자이툰 파스타> | 양근애 | p. 137-143 | ||
<그리고 우린 춤을 추었다> : 춤과 섹슈얼리티의 자유 그리고 경계 허물기 | 서곡숙 | p. 144-149 | ||
우리를 변화시킬 심장 박동수 '120BPM' | 서성희 | p. 150-157 | ||
<도깨비불>, 탈식민의 마법 속에서 마주한 시선 | 이수원 | p. 160-166 | ||
독창성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 챗GPT와 다빈치 러닝 교육 모델 | 김민정 | p. 167-173 | ||
'소피아'와 '35%'가 쓴 <제주 4.3사건 진상보고서> | 한성안 | p. 174-181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7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