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공적 책임과 소통, 그리고 공감과 환대의 결여를 지탄받는 정황에서, 한국기독교는 어떤 방향성을 가져야 하는가? 『신국론』은 이 문제를 풀어낼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아렌트가 아우구스티누스를 기독교의 ‘무세계성’을 부추겨 공적 책임을 비롯한 세계사랑에 무관심하게 만들었다고 비판했지만, 그것은 『신국론』에 담긴 제자됨의 윤리와 사회적 사랑(amor socialis)의 중요성을 간과한 것이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카리타스에는 하나님의 도성을 향하는 제자됨의 윤리가 담겨있으며, 사사로운 사랑(amor privatus)을 넘어서 사회적 사랑을 지향한다. 공공성으로서의 카리타스는 공적 책임과 소통의 실천으로, 타자성으로서의 카리타스는 공감과 환대의 실천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아우구스티누스와의 현대적 대화를 통하여, 한국기독교는 제자도에 근거한 사회적 영성을 모색해야 한다. 제자도, 제자윤리, 그리고 제자훈련에 적극적 관심을 지닌 한국기독교는 내적 성숙과 훈련에만 관심하기를 넘어서, 제자도를 공공성과 타자성으로 펼쳐내야 한다. 사회적 사랑을 요청하는 사회적 영성은 기독교에 낯선 그 무엇이 아니라, 제자됨의 윤리에 필수적인 과제이기 때문이다. 한국기독교는 사회적 영성에 대한 관심을 통해 시민사회의 제자윤리를 구현하는 단계로 성숙해야 한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라틴원문은 아우구스티누스 아키브에서 참고하였다. http://www.augustinus.it/latino/disciplina_cristiana/index.htm 2022.7.28. 접속 | 미소장 |
2 | De civitate Dei. 번역본: 성염 역주. 신국론 . 왜관: 분도출판사, 2004 참고. | 미소장 |
3 | Confessiones, 번역본: 선한용. 고백록 . 서울:대한기독교서회, 2019 참고. | 미소장 |
4 | In Epistolam Ioannis ad Parthos Tractatus. 번역본: 최익철 역, 요한서간 강해 . 왜관: 분도출판사, 2011 참고. | 미소장 |
5 | De Genesi ad Litteram. 해당 문장의 번역은 박승찬.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삶의 길을 묻다 . 서울: 가톨릭출판사, 2017 참고. | 미소장 |
6 | 김경은. “영적 우정: 우정과 환대가 조화로운 공동체를 지향하며.” 「신학과 실천」 73(2021), 233~254. | 미소장 |
7 | 김분선. “연민(compassion)은 윤리적 고려의 대상인가?: 공감, 연민, 과잉 공감의 문제화,” 「현대유럽철학연구」 64(2022), 287~318. | 미소장 |
8 | 김진혁. “은혜와 정의: 득의론 관점에서 본 아우구스티누스의 정치신학.” 「조직신학논총」56(2019), 53~99. | 미소장 |
9 | 김진호 외. 사회적 영성 . 서울: 현암사, 2014. | 미소장 |
10 | 남성현.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 에 나타난 세속국가 허물기와 국가치료의 비전.” 「세계역사와 문화연구」47(2018), 1~38. | 미소장 |
11 | 문시영. “잘되는 영성에서 사회적 영성으로: 공공신학적 조망.” 「선교와 신학」 57(2022), 37~66. | 미소장 |
12 | 문시영. “아우구스티누스와 영성: 탐욕이 미덕인 시대에 다시 읽기.” 「신학과 교회」 25(2021), 87~114. | 미소장 |
13 | 변종찬. “아우구스티누스의 우정 개념.” 「가톨릭 신학과 사상」60(2007), 206~235. | 미소장 |
14 | 선한용. “어거스틴의 신국론 에 나타난 두 도성에 대한 문제 연구.” 「신학과 세계」 12(1986), 169~186. | 미소장 |
15 | 송창현. “사회적 영성으로의 초대.” 「가톨릭평론」1(2016), 215~222 | 미소장 |
16 | 양명수. “아우구스티누스가 본 정치의 의미와 한계: 신국론 19권을 중심으로.” 「한 국기독교신학논총」62(2009), 133~157. | 미소장 |
17 | 우병훈. “아우구스티누스의 신국론 에 나타난 사랑의 갈등.” 「한국개혁신학」 70(2021), 168~217. | 미소장 |
18 | 정기문. “로마는 어떻게 제국이 되었는가: 로마인들의 인식을 중심으로.”「역사문화연구」29(2008), 296~324. | 미소장 |
19 | 채승희. “5세기초 북아프리카 교회의 대 정치적 성격: 칼라마 시의 폭동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반응을 중심으로.” 「장신논단」44-4(2012), 139~164. | 미소장 |
20 | Ahn, Ilsup. The Church in The Public: A politics of engagement for a cruel and Indifferent age. Fortress Press: Minneapolis, MN: 2022. | 미소장 |
21 | Arendt, Hannah. ed. by Joanna Vecchiarelli Scott, Judith Chelius Stark. Love and Saint Augustine. 서유경 역. 사랑 개념과 성 아우구스티누스 . 서울: 필 로소픽, 2022. | 미소장 |
22 | Barclay, Katie. Caritas: Neighbourly Love & the Early Modern Self. Oxford University Press, 2021. | 미소장 |
23 | Brown, Peter. Augustine of Hippo. 정기문 역. 아우구스티누스 . 서울: 새물결플러스, 2012. | 미소장 |
24 | Camp, Caleb. The Hospitality of God: Discovering and Living Kingdom Hospitality. Bloomington, IN: Westbow Press, 2017. | 미소장 |
25 | Cochran, Elizabeth A.. Protestant Virtue and Stoic Ethics. New York, NY: T&T Clark, 2018. | 미소장 |
26 | Deane, Herbert A.. The Political and Social Ideas of St. Augustine, Tacoma. WA: Anglico Press, 2013. | 미소장 |
27 | Fitzgerald, Allan. ed.. Augustine through the ages: an encyclopedia. Grand Rapids, MI: William B Eerdmans Pub., 1999. | 미소장 |
28 | Hammer, Dean. Roman Political Thought: From Cicero to Augustine.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 미소장 |
29 | Hauerwas, Stanley. After Christendom?. Nashville, TN: Abingdon Press, 1991. | 미소장 |
30 | Hauerwas, Stanley. The Peaceable Kingdom: A Primer in Christian Ethics. 홍종락 역. 평화의 나라 . 서울: 비아토르, 2021. | 미소장 |
31 | Heichelheim, Fritz M.. A Hostory of Roman People. 김덕수 역. 하이켈하임 로마사 . 서울: 현대지성, 2022. | 미소장 |
32 | Hollingworth, Miles. The Pilgrim City: St. Augustine of Hippo and his Innovation in Political Thought. New York, NY: T&T Clark, 2010. | 미소장 |
33 | Jesuit Centre for Faith and Justice. eds. Windows on Social Spirituality. Dublin: Ireland, 2003. | 미소장 |
34 | Levering, Matthew. The Theology of Augustine: An Introductory Guide to His Most Important Works, Grand Rapids. MI: Baker Academic, 2013. | 미소장 |
35 | Marshall, Michael. Flame in the Mind. 정다운 역. 순례를 떠나다 . 서울: 비아, 2018. | 미소장 |
36 | Mathews, Charles. Theology of Public Life.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 미소장 |
37 | Oden, Amy G.. ed, And you welcomed me. Nashville, TN: Abingdon Press, 2001. | 미소장 |
38 | Oden, Amy G. God’s Welcome: Hospitality for a Gospel-hungry World. Cleveland, OH: The Pilgrim Press, 2008. | 미소장 |
39 | Pohl, Christine D.. Making Room: Recovering Hospitality as a Christian Tradition. Grand Rapids, MI: Wm Eerdmans Publishing, 1999. | 미소장 |
40 | Russell, Letty M.. ed. by Clarkson, J. Shannon and Ott, Kate M.. Just Hospitality: God’s Welcome in a World of Difference. Louisville, KN: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9. | 미소장 |
41 | Ryan, Alan. On Augustine: The Two Cities. New York, NY: Liveright Publishing, 2016. | 미소장 |
42 | Ryan, Jonathan D.. Love does not seek its own: Augustine, Economic Division, and the Foramtion of a Common Life. New York, NY: T&T Clark, 2021. | 미소장 |
43 | Shepherd, Andrew. The Gift of The Other: Levinas, Derrida, and a Theology of Hospitality. Cambridge, UK: James Clarke & Co., 2014. | 미소장 |
44 | Smith, James K. A.. Awaiting the King. 박세혁 역. 왕을 기다리며: 하나님 나라 공공신학의 재형성 . 서울: IVP, 2019. | 미소장 |
45 | Stackhouse, Max. L.. Public Theology and Political Economics.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1991. | 미소장 |
46 | Trapè, Agostino. Agostino: ľuomo, il pastore, il mistico. 변종찬 역. 아우구스티누스: 인간, 목자, 신비가 . 의왕: 도서출판 벽난로, 2010. | 미소장 |
47 | Uhalde, Kevin. Expectations of Justice in the Age of Augustine. Philadelphia, P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07. | 미소장 |
48 | Wetzel, James. ed.. Augustine’s City of God: A Critical Guide,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 | 미소장 |
49 | Williams, Rowan. On Augustine. 김지호역. 다시 읽는 아우구스티누스 . 고양: 도서출판 100, 202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