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명주(2019), 전자알림장 앱을 통한 아버지와 유아교사간의 의사소통 현황 및 아버지의 인식,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 | 김동규, 김은정(2012), 초등예비교사들의 영화 자료에 대한 인식 및 영화 타이타닉 활용 영어 수업의 실제 영상영어교육, 13(3), 33-55. https://doi.org/10.16875/stem.2012.13.3.33 | 미소장 |
3 | 김승환(2020.08.13). 코로나 돌봄 공백에, '육아하는 아빠' 늘었다. 세계일보. https://www.segye.com/newsView/20200813520826에서 2021년 9월 3일 인출 | 미소장 |
4 | 김영일, 김정희(2021).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육아 배움공동체 참여 경험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41(1), 5~30. https://doi.org/10.18023/kjece.2021.41.1.001 | 미소장 |
5 | 김용익(2018). 초등예비교사의 영화 만들기가 초등교사의 핵심역량 증진에 미치는 영향. 실과교육 연구, 24(3), 87-107. https://doi.org/10.29113/skpaer.2018.24.3.087 | 미소장 |
6 | 김용익, 김낙흥(2015). '아빠학교'의 아버지들의 양육참여를 통해 겪은 삶의 경험 탐색, 육아지원연 구, 10(2), 191-215. https://doi.org/10.16978/ecec.2015.10.2.009 | 미소장 |
7 | 김은주, 김정미, 신승희(2021), '독박육아'에 관한 담론분석: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생태유아교육연구, 20(4), 47-73. https://doi.org/10.30761/ecoece.2021.20.4.47 | 미소장 |
8 | 김정미 (2021). 조선후기 한문학을 통해 살펴본 아버지의 부성이 현대 유아교육에 주는 의미, 부산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9 | 김정미, 김은주(2020). 조선후기 아버지의 자녀양육과정을 통해 본 돌봄 담론 분석: 한문학 사료를 중심으로, 교육사상연구, 34(3), 1-26. https://doi.org/10.17283/jkedi.2020.34.3.1 | 미소장 |
10 | 김정원, 전선옥(2020). 영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경기: 창지사, | 미소장 |
11 | 김주희(2022). 아버지의 영유아 자녀 양육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인문사회 21, 13(6), 4287-4300. | 미소장 |
12 | 김진경, 이정미, 강은영(2017). 아버지의 원부모 애착표상과 유아의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 아버지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아동과 권리, 22(1), 65-89. https://doi.org/10.21459/kccr.2018.22.1.65 | 미소장 |
13 | 김형재(2015). CPS를 적용한 영화기반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성 및 창의 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5(6), 399-409. https://doi.org/10.14257/AJMAHS.2015.12.11 | 미소장 |
14 | 나성은(2014). 아버지의 양육 참여에 내재한 젠더 위계와 ‘신 도구적 부성의 구성: 맞벌이 중간 계층 아버지들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6(1), 1-39. https://doi.org/10.21478/family.26.1.201403.001 | 미소장 |
15 | 류황석(2016). 부모로서의 정체성과 한국사회 교육열: A. Giddens의 하이모더니티(high-modernity) 론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6(1), 1-24. https://doi.org/10.32465/ksocio.2016.26.1.001 | 미소장 |
16 | 배수진(2018). 2000년대 이후 동화에 나타난 아버지상 연구: 가족관계와 젠더담론의 변화양상을 중심으로,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7 | 양현진(2015), 비평적 에세이 쓰기를 통한 대학생 글쓰기 교육 연구, 한국문예창작, 14(1), 135-169. | 미소장 |
18 | 우상규(2021.03.11). 코로나에 어쩔 수없이 육아·살림하는 남자 늘었다. 세계일보 https://www.segye.com/ newsView/20210310515139에서 2021년 9월 2일 인출 | 미소장 |
19 | 우신영(2017). 교육평가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탐구: 영화 <4>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비평 적 에세이를 대상으로, 교육연구, 69, 39-60. https://doi.org/10.17253/swueri.2017.69.002 | 미소장 |
20 | 육정학(2022). 영화 <보이스>를 통해 본 사회적 함의와 교육.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6(2), 95-104. https://doi.org/10.21184/jkeia.2022.2.16.2.95 | 미소장 |
21 | 윤미화(2016). 아버지의 자녀 양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아버지 육아휴직자 가족을 대상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2 | 이상호(2013). 더불어 살아가는 즐거움을 알게 해 준 생태유아교육.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3년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pp.55-60. 2013년 11월 30일. | 미소장 |
23 | 이연주(2022). 아버지와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질적 수준과 유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4 | 이영경, 김은주(2016). '품앗이 육아'를 통한 부모 되어가기, 생태유아교육연구, 15(3), 33-53. | 미소장 |
25 | 이은하(2012). 예비유아교사의 장애관련 영화 감상 경험의 의미 탐색, 생애학회지, 2(1), 1-19. | 미소장 |
26 | 이은미, 신현규(2022). 쓰기 교육에서 비평적 글쓰기의 활용과 전망. 러터러시연구, 13(3), 217-238. https://doi.org/10,37736/KJLR,2022,06.13.3.06 | 미소장 |
27 | 이지은(2016). Levinas의 "타자철학” 관점에서 본 교육적 관계맺음의 의미: 영화 |
미소장 |
28 | 장지혜(2013). 성찰적 사고를 위한 비평적 에세이 쓰기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29 | 전가일, 전현욱(2017). 부모-되어감의 이해를 위한 비교체험 연구. 교육인류학연구, 20(3), 149-188. https://doi.org/10.17318/jae.2017.20.3.005 | 미소장 |
30 | 전연우, 조희숙(2013).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상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343-363. | 미소장 |
31 | 지나영(2022). 세상에서 가장 쉬운 본질육아. 경기: 21세기북스, | 미소장 |
32 | 최효원(2021). 아버지와 유아기 자녀의 거친 신체놀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의미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3 | 허달님(2018). 주 양육자로서 아버지의 양육경험 연구: 맞벌이 가정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34 | 한상우(2015). 베르그송 읽기. 서울: 세창미디어. | 미소장 |
35 | Bergson, H. (2016). 창조적 진화. (황수영 역), 경기: 아카넷. (원저 1907 출판). | 미소장 |
36 | Buber, M.(2021). 나와 너. (표재명 역), 서울: 문예출판사. (원저 1923 출판). | 미소장 |
37 | Creswell, J, W.(2017). 질적 연구의 30가지 노하우 (한유리 역) 서울: 박영스토리. (원저 2016 출판). | 미소장 |
38 | EBS파더쇼크제작팀 (2013). EBS 다큐프라임 파더쇼크. 경기: 쌤앤파커스, | 미소장 |
39 | Held, V.(2017). 돌봄: 돌봄윤리, 개인적, 정치적, 지구적. (김희강, 나상원 역), 서울: 박영사 (원저 2006 출판). | 미소장 |
40 | Schaefer, E, S., Bell, R, Q., Nancy Bayley(1959). Development of a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The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95, 84-104.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6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