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임천가화』는 김시습의 저술로서, 머리말을 통해 불교 관련 저술임을 알 수 있으며, 각편의 수는 총 70화이다.
각 이야기는 불경, 선어록, 고승전 등 기존 저술의 내용이나 고사를 활용한 것이 많다. 저자는 불교 관련 저술을 보면서 자신의 생각과 합치되는 내용이 있으면 그 부분을 그대로 전재하여 각편 하나를 완성했다. 또한 저자의 견해를 각편의 앞이나 뒤에 제시한 뒤, 그것을 기존 자료나 고사로 뒷받침하는 서술방식도 두드러진다. 기존 자료나 고사는 저자의 견해를 뒷받침하는 긍정적인 사례로 활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반대로 이견이나 비판의 대상으로 제시되기도 하였다.
불경의 본질과 의미를 해석한 각편이 있고, 불경의 일부 내용을 보충 설명하는 것으로 각편 하나를 완성한 사례도 있다. 불교의 이치에 관한 저자의 평소 지식을 서술한 이야기도 다수 존재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주목되는 것은 저자의 직접 체험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들이다. 『임천가화』에는 불교 제도나 풍습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비판하거나 당대 사찰이나 승려의 타락상을 비판한 내용이 많은데, 이들은 대부분 저자의 직접 체험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임천가화』의 내용은 불교의 본질과 이치를 서술한 것, 불교 제도와 풍습에 대한 내용, 승려의 거취와 고승에 관한 이야기, 불교의 타락을 비판한 내용 등이 주를 이룬다. 그중에서 불교의 본질과 이치를 서술한 것과 승려의 거취와 고승에 관한 이야기는 『묘법연화경별찬』이나 『잡저』의 논설을 보완하는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불교 제도와 풍습에 관한 이야기와 불교의 타락을 보여주는 내용은 김시습의 다른 저작이나 글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김시습은 『조동오위요해』와 같은 철학 사상서를 비롯하여 불경의 본질을 해석한 글, 불교와 관련된 전반적인 지식과 견해를 개진한 논설 등을 산출한 바 있다. 이들은 대체로 철학적이고 논리적이며 설득적인 성격을 지니는데, 『임천가화』는 그에 비해 각편 하나하나가 비교적 짤막하고 서술방식도 기존 자료의 내용이나 고사를 활용하는 방식이 주를 이룬다. 또한 각편 하나하나에 저자의 비판적 시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을 고려할 때, 『임천가화』는 불교 비평집의 성격을 지니는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김시습이 살았던 시대에 『필원잡기』, 『용재총화』 등 여러 잡록집이 저술된 바 있는데, 그중에서 『임천가화』와 같은 성격의 저술은 없다. 그것은 그 당시 어느 누구도 김시습과 같은 삶의 여정을 보여준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김시습은 불교 연구자뿐만 아니라 승려로서의 삶을 산 사람이다. 그 과정에서 『조동오위요해』와 같은 심오한 연찬의 결과물을 낳았을 뿐 아니라 『임천가화』와 같은 실제 삶의 국면을 반영한 저술도 남겼다. 김시습의 삶의 여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임천가화』는 김시습의 인생을 웅변해 주는 저작의 하나이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巨芙 역주(2000), 楞嚴經, 수덕사승가대학. | 미소장 |
2 | 내각문고 소장, 梅月堂集, 일본 도쿄 국립공문서관. 청구번호: 318-0171. | 미소장 |
3 | 내각문고 소장, 林泉佳話, 일본 내각문고 소장, 梅月堂集의 別集. | 미소장 |
4 | 대혜종고 지음, 김태완 옮김(2011), 대혜보각선사어록 1-5, 소명출판. | 미소장 |
5 | 백련선서간행회 역(1989), 林間錄 상ㆍ하, 장경각. | 미소장 |
6 | 백련선서간행회 역(1992), 人天寶鑑, 장경각. | 미소장 |
7 | 백련선서간행회 역(1993), 從容錄 상ㆍ중ㆍ하, 장경각. | 미소장 |
8 | 백해원택 감역(2018), 송나라 선사들의 수행 이야기: 혜홍각범 스님의 임간록, 장경각. | 미소장 |
9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1973), 梅月堂全集. | 미소장 |
10 | 성현 지음, 김남이 외 옮김(2015), 용재총화, 휴머니스트. | 미소장 |
11 | 세종대왕기념사업회(1978-1980), 국역 매월당전집 1-5,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미소장 |
12 | 역경위원회 역(1986), (한글대장경) 傳燈錄 1-3, 동국역경원. | 미소장 |
13 | 역경위원회 역(1991), (한글대장경) 禪門拈頌, 동국역경원. | 미소장 |
14 | 원오극근 저, 석지현 역주 해설(2007), 碧巖錄 1-4, 민족사. | 미소장 |
15 | 이운허 옮김(2003), 묘법연화경, 동국역경원. | 미소장 |
16 | 임동석 역주(2009), 列子, 동서문화사. | 미소장 |
17 | 종진 스님 엮음(2013), 原本會編 禪門拈頌集 상ㆍ하, 동국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18 | 幻住智賢 著, 韓定燮ㆍ鄭智徹 공역(1976), 緇門警訓, 법륜사. | 미소장 |
19 | 玄覺 撰, 인환 번역ㆍ주석ㆍ해설(2009), 증도가: 불교를 깨달은 노래, 韓國佛敎禪理硏究院. | 미소장 |
20 | 민영규(1979), 김시습의 조동오위설 , 대동문화연구 13집,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 미소장 |
21 | 심경호(2003), 김시습 평전, 돌베개. | 미소장 |
22 | 차충환(2023), 일본 내각문고 소장 寫本 梅月堂集 소개 및 고찰-林泉佳話 소개를 중심으로 , 2022년 한국한문학회 동계학술대회 자료집, 2022년 한국한문학회 동계학술대회(성균관대학교 국제관/2023.1.27.) | 미소장 |
23 | 최귀묵(2006), 김시습 조동오위요해의 역주 연구, 소명출판. | 미소장 |
24 | 최귀묵(2009), 십현담요해에 나타난 김시습 글쓰기의 특징과 위상 , 대동철학 49집, 대동철학회, 217∼235면. | 미소장 |
25 | 최귀묵(2011), 김시습의 <楞嚴經跋> 고찰 , 문학치료연구 19집, 문학치료학회, 183∼212면.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