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동택・김정인(2019). 『한국 민주주의, 100년의 혁명 1919~2019』. 한울아카데미. | 미소장 |
2 | 김상준(2003). “시민사회 그리고 NGO・NPO의 개념: 공공성을 중심으로”. 『NGO 연구』, 1(1): 37-68. | 미소장 |
3 | 김소남(2017). 『협동조합과 생명운동의 역사: 원주지역의 부락개발, 신협, 생명운동』. 소명출판. | 미소장 |
4 | 김신양・신명호・김기섭・김정원・황덕순・박승옥・노대명(2020). 『한국 사회적 경제의 역사 이론의 모색과 경험의 성찰』. 한울아카데미. | 미소장 |
5 | 노연희(2003). “제3부문의 정의와 연구 경향”. 안하이어・사이벨. 『제3섹터란 무엇인가: 비영리조직에 대한 비교 연구』. 아르케. 417-435. | 미소장 |
6 | 노유진(2015). “자원봉사, 시민사회간 연결고리 되다”. (사)시민운동정보센터. 『한국시민사회운동 25년사(1989~2014)』 . 339-347. | 미소장 |
7 | 느뵈・손영욱 역(2015). 『사회운동: 어디에서 오고 무엇이며, 어디로 갈까』. 이매진. | 미소장 |
8 | 라이트・권화현 역(2012). 『리얼 유토피아: 좋은사회를 향한 진지한 대화』. 들녘. | 미소장 |
9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2008). 『한국민주화운동사1: 제1공화국부터 제3공화국까지』. 돌배게. | 미소장 |
10 | 박정민(2021). “한국 사회적기업의 유형과 국가・시장・시민사회의 관계에 관한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11 | 박태규・정구현(2016). 『한국의 제3섹터: 국가와 시장 사이에서 길을 묻다』. 삼성경제연구소. | 미소장 |
12 | 비롤리. 김경희・김동규 역(2008). 『공화주의』. 인간사랑. | 미소장 |
13 | 빈민지역운동사 발간위원회(2018). 『마을공동체 운동의 원형을 찾아서: 1970~1990년대 민중의 마을 만들기』. 한울. | 미소장 |
14 | 신광영(1995). “시민사회의 개념과 시민사회의 형성”. 유팔무・김호기.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한울. 80-123. | 미소장 |
15 | 신상문(2017). 『인도주의의 눈으로 바라본 착한 기부 나쁜 기부』. 아르케. | 미소장 |
16 | 알린스키. 박순성 역(2008). 『급진주의자를 위한 규칙: 현실적 급진주의자를 위한 실천적 입문서』. 아르케. | 미소장 |
17 | 에드워즈. 서유경 역(2004). 『시민사회: 이론과 역사, 그리고 대안적 재구성』. 동아시아. | 미소장 |
18 | 오현철(2004). “한국 시민사회론 비판과 대안: 하버마스 이론을 중심으로”. 『경제와사회』, 2004(여름): 243-267. | 미소장 |
19 | 이광희 외(2022). 『시민사회 정책과 연구 관련 국제동향 종합조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 미소장 |
20 | 이형진(2014). “필란트로피(Philanthropy)란 무엇인가?”.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https://research.beautifulfund.org/1332). | 미소장 |
21 | 이호(2017). 『풀뿌리운동, 새로운 복원: 근본적인 사회 변화를 이루는 힘, 풀뿌리운동 이야기』. 포도밭출판사. | 미소장 |
22 | 임희섭(1999).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이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23 | 장은주(2020). 『우리는 시민입니다: 현장에서 말하는 한국민주시민교육론』. 피어나. | 미소장 |
24 | 장일순(2009). 『나락 한알 속의 우주: 무위당 장일순의 이야기 모음』. 녹색평론사. | 미소장 |
25 | 장준호(2015). “시민사회의 이론적 단층: 헤겔과 하버마스를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논총』, 25(3): 195-220. | 미소장 |
26 | 정무성・오충순(2011). “자원봉사와 뉴거버넌스의 실행방안.” 제4회 전국자원봉사컨퍼런스 발표문. | 미소장 |
27 | 정미나(2016). “사회혁신이란 무엇인가: 사회혁신의 특성과 사회변화”. 사회혁신의 시선. 2016년 10월호. | 미소장 |
28 | 정태석(2007). 『시민사회의 다원적 적대들과 민주주의』. 후마니타스. | 미소장 |
29 | 조권중(2012). 『서울시 제3섹터 지원정책 연구: 서울시 비영리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서울연구원. | 미소장 |
30 | 조대엽(2007). 『한국의 사회운동과 NGO: 새로운 운동주기의 도래』. 아르케. | 미소장 |
31 | 조철민(2013). “기독교청년회(YMCA)의 시민참여적 시민운동의 흐름: 시민감시와 캠페인 활동을 중심으로”. 『기억과전망』. 29(0): 225-262. | 미소장 |
32 | 조현연(2010). “시민사회의 ‘갈등적 분화’와 ‘뉴라이트’”. 김동춘 외. 거대한 운동에서 차이의 운동들로. 한울아카데미. 434-466. | 미소장 |
33 | 조희연(2006). “새로운 도전 속의 한국사회운동: 사라지지 않은 과거와 뿌리내리지 못하는 미래”. 시민의신문사. 『한국시민사회연감』. 서문. | 미소장 |
34 | 조희연・김동춘・김정훈(2010). “‘독재 이후’ 및 ‘개발 이후’ 한국 민주화 과정에서사회운동의 변화와 재구성”. 김동춘 외. 『거대한 운동에서 차이의 운동들로』. 한울아카데미. 9-24. | 미소장 |
35 | 조희정(2022). 『민주주의는 기술을 선택한다: 세계 시민 집회와 시민 기술』. 더가능연구소. | 미소장 |
36 | 주성수(2001). 『시민사회와 NGO 논쟁』. 한양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37 | 주성수(2017).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임팩트』. 한양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38 | 주성수(2018). 『시민사회, 제3섹터, 비영리섹터, 사회적경제』. 한양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39 | ㈜한국사회가치평가. 2021. 『NPO 활동 유형별 사회성과측정방법 가이드개발연구』. 서울시NPO지원센터. | 미소장 |
40 | 천성호(2009). 『한국야학운동사: 자유를 향한 여정 110년』. 학이시습. | 미소장 |
41 | 카치아피카스. 원영수 역(2015). 『한국의 민중봉기: 민중을 주인공으로 다시 쓴 남한의 사회운동사(894 농민전쟁~2008 촛불시위)』. 오월의봄. | 미소장 |
42 | 페이턴, R. L.・무디, M. P. 이형진・김영수 역(2017). 『필란트로피란 무엇인가』. 아르케. | 미소장 |
43 | 폴라니. 홍기빈 역(2009). 『거대한 전환: 우리 시대의 정치, 경제적 기원』. 길. | 미소장 |
44 | 하승우(2014). 『풀뿌리민주주의와 아나키즘: 삶의 정치 그리고 살림살이의 재구성을 향해』. 이매진. | 미소장 |
45 | 하승창(2008). “2008년 촛불집회와 사회운동”. 『노동사회』. 2008년 9월: 54-64. | 미소장 |
46 | 한숭희(2001). 『민중 교육의 형성과 전개』. 교육과학사. | 미소장 |
47 | 황석주・정규호・신명호・신중진・양영균(2016). 『한국의 도시 지역공동체는 어떻게 형성되는가: 현실, 운동, 과제』.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미소장 |
48 | Brown, L. D., Moore, M. H(2001). “Accountability, strategy, and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onprofit andvoluntary sector quarterly, 30(3). 569-587. | 미소장 |
49 | Brown, W(2017). “Classification of program activities: How nonprofits create social value”. Administrative Sciences, 7(2). 1-7. | 미소장 |
50 | Etzioni, A(1996). The New Golden Rule: The Spirit of community. Basic Books. | 미소장 |
51 | Foley, M. W., Edwards, B(1996). “The Paradox of Civil Society”. Journal of Democracy, 7(3): 38-52. | 미소장 |
52 | Foley, M. W., Edwards, B(1998). “Beyond Tocqueville: Civil society and social capital in comparative perspectiv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42(1): 5-20. | 미소장 |
53 | Frumkin, P(2009). On being nonprofit: A conceptual and policy primer. Harva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54 | Hall, P. D(1987). “Abandoning the Rhetoric of Independence: Reflections on the Nonprofit Sector in the Post-Liberal Era”. in Ostrander. S. A &Langton(Eds.). Shifting the debate: Public/Private sector relations in the modern welfare state. Transaction Books. 11-28. | 미소장 |
55 | Hefner, R. W(1998). “Civil society: Cultural possibiltiy of a modern ideal”. Society. 35(3): 16-27. | 미소장 |
56 | Hyden, G(1997). “Civil society, social capital, and development: Dissection of a complex discourse”. Studies in comparative international development. 32(1): 3-30. | 미소장 |
57 | Karp, David R.; Sullivan, William M. 1997. The Idea of Civil Soiciety:Scholarship and Debate. Smith Richardson Foundation. | 미소장 |
58 | Kitschelt, H. P(1986). “Political Opportunity Structures and Political Protest:Anti-Nuclear Movements in Four Democracies”. British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16(1). 57-85. | 미소장 |
59 | Najam, A(2000). “Citizen Organizations asPolicy Entrepreneurs.” Monograph Series #14, Sustainable Development Policy Institute(SDPI). | 미소장 |
60 | O’Connell, B(1994). “People Power: Service, Advocacy, Empowerment”. Foundation Center. | 미소장 |
61 | Oliver, P. E., Marwell, G(1992). “Mobilizaing technologies for collective action”. in Morris, A. D., Morris, M., Carol, M. Frontiers in social movement theory. Yale University Press. 251-272. | 미소장 |
62 | Porta, D. D., Diani, M(2011). “Scoail Movement”. in Edwards, M.(Eds.). The Oxford Handbook of Civil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68-79. | 미소장 |
63 | Porta, D. D., Rucht, D(1995). “Left-liberteran movements in contest: A comparison of Italy and Wes Germany, 1965-1990”. in Jenkins, J. C., Klandermans, V. The Politics of social protest: comparative perspectives on states and social movements. UCL Press. 113-133. | 미소장 |
64 | Salamon, L. M.(1987). “Of Market Failure, Voluntary Failure, and Third-Party Government: Toward a Theory of Government-Nonprofit Relations in the Modern Welfare State”,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Quarterly, 16(1-2): 29-49. | 미소장 |
65 | Salamon, L. M., Wojciech Sockolowski, S., Anheier, H. K.(2000). “Social Origins of Civil Society: An Overview”. Working Papers of The Johns Hopkins Comparative Nonprofit Sectoer Project. | 미소장 |
66 | Shils, E. A., Finch, H. A.(1949). Max Weber on the Methodology of the Social Sciences. The Tree Press. | 미소장 |
67 | Skocpol, T(1999). “Making sense of the civic engagement debate”. Skocpol, T., Fiorina, M. eds. Civic Engagement in American democracy.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23. | 미소장 |
68 | Skocpol, T., Ganz, M., Munson, Z(2000). “A Nation of Organizers: The Institutional Origins of Civic Voluntarism in the United States”.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4(3): 527-546. | 미소장 |
69 | Walzer, M(1991). “The Idea of Civil Society: A Path to Social Reconstruction”. Dissent (Spring, 1991): 293–304. | 미소장 |
70 | Wollebæk, D., Selle, P(2008). “A social democratic model of civil society?”. in Bruno J., Beate K. Changing images of Civil Society: From protest to governance. Routledge. 47-6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