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우성 외(2021): 포스트휴머니즘의 쟁점들. 갈무리. | 미소장 |
2 | 김륜옥(2009): ‘모래사나이’ 혹은 ‘눈 내지 힘’에 대한 공포와 선망 – 최근 경향에 대한 비판적 관점에서. 헤세연구 22, 229-248. | 미소장 |
3 | 김석(2008): 소외와 분리: 욕망의 윤리가 발생하는 두 가지 결정적 순간.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10(2), 55-76. | 미소장 |
4 | 김연수(2017): 에. 테. 아. 호프만의 문학세계에서 읽는 과학기술 문명과 전(前)-파시즘적 징후 – 『모래사나이』의 ‘눈’-메타포와 나타나엘의 죽음을 중심으로. 뷔히너와 현대문학 48, 71-116. | 미소장 |
5 | 김재혁(2020): 카스파 다비트 프리드리히의 회화를 통해 본 낭만성의 조형적 구현: 「참나무숲 수도원」과 「바닷가의 수도승」을 중심으로. 독어독문학 155, 117-139. | 미소장 |
6 | 김진환(2023): 예술의 (자기)성찰로서의 독일 낭만주의 –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낭만주의 이론과 루드비히 티이크의『금발의 에크베르트』를 경우로. 한국예술연구 39, 259-280. | 미소장 |
7 | 노혜옥(2010): E. T. A. 호프만의 「모래요정」에 나타난 자동인형 모티브 고찰. 헤세연구 24, 119-136. | 미소장 |
8 | 라캉, 자크(2008): 세미나 11: 정신분석의 네 가지 근본 개념(맹정현/이수련 역). 새물결. | 미소장 |
9 | 라투르, 브뤼노(2009): 우리는 결코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다(홍철기 역). 갈무리. | 미소장 |
10 | 바이저, 프레더릭(2011): 낭만주의의 명령, 세계를 낭만화하라(김주휘 역). 그린비. | 미소장 |
11 | 브라이언트, 레비(2020): 존재의 지도: 기계와 매체의 존재론(김효진 역). 갈무리. | 미소장 |
12 | 브라이언트, 레비(2021): 객체들의 민주주의(김효진 역). 갈무리. | 미소장 |
13 | 안장혁(2004): 괴테와 데리다의 사유구조적 유사성에 대해 - 자연과 문자의 타자성을 중심으로. 괴테연구 16, 189-203. | 미소장 |
14 | 이동신(2022): 포스트휴머니즘의 세 흐름: 캐서린 헤일스, 캐리 울프, 그레이엄 하먼. 갈무리. | 미소장 |
15 | 이어령(2022): 너 어떻게 살래. 파람북. | 미소장 |
16 | 이유선(2015): 에,테,아, 호프만의 <모래사나이>연구 – 인문학과 자연과학이 융합된 문학인간학을 위한 시론. 독일어문학 68, 253-274. | 미소장 |
17 | 이재준(2022): 객체들의 관계 외부성과 물질 혐오: 레비 브라이언트의 객체지향존재론을 중심으로. 사회와이론 43, 421-458. | 미소장 |
18 | 이화인문과학원(Hg.)(2012): 인간과 포스트휴머니즘.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19 | 임석원(2016): 에.테.아. 호프만의 『모래사나이』에 나타나는 나르시시즘 모티브에 대한 매체이론적 고찰. 독일문학 57, 25-43. | 미소장 |
20 | 지젝, 슬라보예(2005): 까다로운 주체: 정치적 존재론의 부재하는 중심(이성민 역). 도서출판 b. | 미소장 |
21 | 진태원(2022): 포스트휴머니즘 또는 디지털 자본주의의 이데올로기: 한국에서 포스트휴머니즘 수용. 기억과 전망 46, 222-243. | 미소장 |
22 | 천현순(2012): 인간과 기계 – 에.테.아. 호프만의 문학작품에 나타난 기계인간 모티브 연구. 독일문학 53, 223-247. | 미소장 |
23 | 최문규(2004): 파토스와 아이러니: 기계인간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 독어교육 31, 515-541. | 미소장 |
24 | 최민숙(2009): E.T.A. 호프만 문학과 자연과학. 외국문학연구 35, 285-318. | 미소장 |
25 | 최석현(2022): 우리는 결코 “코기토”였던 적이 없다 - 포스트휴먼주의 관점에서 다시 보는 데카르트 이원론. 철학사상 86, 87-120. | 미소장 |
26 | 하먼, 그레이엄(2019): 쿼드러플 오브젝트(주대중 역). 현실문화. | 미소장 |
27 | 하먼, 그레이엄(2022): 예술과 객체(김효진 역). 갈무리. | 미소장 |
28 | 하먼, 그레이엄(2023): 사변적 실재론 입문(김효진 역). 갈무리. | 미소장 |
29 | 헤글룬드, 마틴(2021): 급진적 무신론: 데리다와 생명의 시간(오근창 역). 그린비. | 미소장 |
30 | 헤어브레히터, 슈테판(2012): 포스트휴머니즘: 인간 이후의 인간에 관한 문화철학적 담론(김연순/김응준 역).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31 | 헤일즈, 캐서린(2013): 우리는 어떻게 포스트휴먼이 되었는가(허진 역). 열린책들. | 미소장 |
32 | 헤일즈, 캐서린(2016): 나의 어머니는 컴퓨터였다: 디지털 주체와 문학 텍스트(이경란/송은주 역). 아카넷. | 미소장 |
33 | Badmington, Neil(2004): Alien Chic: Posthumanism and the Other within. New York. | 미소장 |
34 | Best, Steven/Kellner, Douglas(2001): The Postmodern Adventure: Science, technology, and cultural studies at the Third Millennium. New York. | 미소장 |
35 | Foucault, Michel(1971): Die Ordnung der Dinge: Eine Archäologie der Humanwissenschaften. Aus dem Franz. v. Ulrich Koppen. 1. Aufl. Frankfurt a.M. | 미소장 |
36 | Freud, Sigmund(1919): Imago. Zeitschrift für Anwendung der Psychoanalyse auf die Geisteswissenschaften V, 297–324. | 미소장 |
37 | Hassan, Ihab(1977): Prometheus as Performer: Toward a Posthumanist Culture? The Georgia Review 31(4), 830-850. | 미소장 |
38 | Hayles, N. Katherine(2005): My Mother Was a Computer: Digital Subjects and Literary Texts. Chicago. | 미소장 |
39 | Hegel, G. W. F.(1986): Vorlesungen über die Ästhetik I. In: Ders.(1986): Werke. Auf der Grundlage der Werke von 1832-1845, Bd. 13, hrsg. v. Eva Moldenhauer u. Karl Markus Michel. Frankurt a.M. | 미소장 |
40 | Hoffmann, E.T.A.(1963): E.T.A. Hoffmann: Poetische Werke in sechs Bänden, hrsg. v. Hans Mayer. Bd. 2, 3. Berlin. | 미소장 |
41 | Janz, Rolf-Peter(2010): Romantisch und hässlich? 유럽사회문화 5, 157-171. | 미소장 |
42 | Kleist, Heinrich von(1978): Über das Marionettentheater. In: Ders.(1978): Werke und Briefe in vier Bänden. Bd. 3. Berlin/Weimar, 473-481. | 미소장 |
43 | Kneller, Jane(2014): Sociability and the Conduct of Philosophy. In: Nassar, Dalia(Hg.)(2014): The Relevance of Romanticism: Essays on German Romantic Philosophy. Oxford, 110-126. | 미소장 |
44 | Kremer, Detlef(Hg.)(2009): E.T.A. Hoffmann: Leben, Werk, Wirkung. Berlin/New York. | 미소장 |
45 | Kristeva, Julia(1991): Strange to Ourselves. New York. | 미소장 |
46 | Lyotard, Jean-François(1986): Das postmoderne wissen: Ein bericht. Wien. | 미소장 |
47 | Matuschek, Stefan(2021): Der gedichtete Himmel: Eine Geschichte der Romantik. München. | 미소장 |
48 | Neymeyr, Barbara(1997): Narzisstische Destruktion. Zum Stellenwert von Realitätsverlust und Selbstentfremdung in E.T.A. Hoffmanns Nachtstück Der Sandmann. Poetica 29, 499-531. | 미소장 |
49 | Nietzsche, Friedrich(1883): Also Sprach Zarathustra. In: Werke in drei Bänden, hrsg. v. Karl Schlechta. Bd. 2. München. 277-561. | 미소장 |
50 | Paul, Jean(1927): Sämtliche Werke. Historisch-Kritische Ausgabe 1. Abteilung, hrsg. v. Eduard Berend. Bd. 1. Weimar. | 미소장 |
51 | Schlegel, Friedrich(1958ff.): Kritische Friedrich-Schlegel Ausgabe, hrsg. v. Ernst Behler unter Mitwirkung von Jean Jacques Anstett und Hans Eichner. Bd. 2. München/Paderborn/Wien. | 미소장 |
52 | Wolfe, Cary(2010): What is Posthumanism? Minneapolis.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3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