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가족관계에서의 갈등과 폭력은 인간소외와 고립으로 이어진다. 친밀한 가족 구성원 간의 폭력은 가정이라는 차단된 공간 안에서 벌어지는 특성에 기인한다. 이러한 문제는 오랫동안 구조화되어 눈에 잘 띄지 않기 때문에 암수범죄(暗數犯罪)의 형태로 발전된다. 구비설화 속 가족관계에 나타난 부모와 자식 간의 문제는 서사의 단절과 심리적 거리로 나타난다. 관계에서의 단절은 인간의 움직임을 멈추게 하고 생명력을 소거하는 문제를 초래한다. 본 연구는 가족관계의 갈등 중에서도, 전설과 민담에 나타난 여성의 물화 양상에 주목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족관계의 갈등 → 갈등 심화에 따른 죽음 → 꽃으로 물화’의 과정에서 갈등에 얽혀 있는 이야기를 해석하고 의미화하여 가족 구성원의 갈등과 소통의 단절에서 비롯된 인간소외 문제와 그 회복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할미꽃〉에 등장하는 세 딸의 어머니와 〈며느리밥풀꽃〉의 며느리의 물화는 여성 에너지의 쇠퇴, 늙음(老)을 상징하는 반면, 〈며느리밥풀꽃〉의 며느리는 이와 다른 젊음(少)을 상징한다. ‘젊음’은 ‘늙음’에 비해 그 에너지가 충만하지만, 이 두 인물은 공통적으로 현실의 갈등과 좌절을 견디지 못해 죽음에 이른다. ‘할미꽃’과 ‘며느리밥풀꽃’은 바로 삶에 좌절한 여성의 모습과 그 상황을 함축하여 우리에게 보여준다. 이를 통해 여성의 자기 존재에 대한 무가치성과 고립감이 삶의 의지를 좌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기한다. 결국 여성의 소외와 고립은 죽음과 연결되는 구조이다. 〈콩쥐팥쥐〉에서 콩쥐는 두 번의 물화를 겪었음에도 좌절하거나 굴복하지 않았다. 콩쥐는 자기 자리를 알고 자기 방식으로 빼앗긴 자리를 찾아 자기 위치를 명확히 하였다. 자기 억울함에 매몰된 상태인 ‘소극적인 항변’에만 그치지 않고, 나아가 스스로 그 억울함을 풀기 위해 꽃으로 물화되고 자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길을 찾았기에 이와 같은 결말에 도달하였다. 〈할미꽃〉과 〈며느리밥풀꽃〉에 나타난 여성의 물화는 삶의 의지 상실 혹은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한 여성의 선택이었다면, 콩쥐의 물화는 삶의 시련을 적극적으로 헤쳐나가고자 한 극복의 방식이었다.
구비설화에서 여성이 꽃이 되는 것은 여성의 고귀한 존재성을 의미하면서도 그러한 존재성의 회복을 추구하는 것이 물화(物化)이자, 가정과 사회의 문제를 꽃이라는 생명적 존재를 통하여 삶의 불합리함을 제기하며 호소하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차원으로 여성 개인의 고통을 그냥 잊어버리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닌, 꽃 속에 여성 삶의 기억을 간직하면서 연약한 존재의 연대와 위무(慰撫)로서 기능하였다. 꽃에 투영된 여성의 삶이 사회로 넓게 퍼져나감으로써 현실의 부조리함과 소외의 고통을 공론화하며 이 꽃 속에 여성 삶의 아픈 기억을 간직하며 여성의 연대와 공감으로 이끈다. 이를 통해 여성은 꽃이라는 새로운 존재가 됨으로써 자기를 새롭게 재구성하여 일상의 생활공간에서 새로운 삶을 산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구비문학대계』 | 미소장 |
2 | https://gubi.aks.ac.kr/web/ | 미소장 |
3 | 강진옥, 「‘꽃 피우기 내기’로 구현되는 창세신화의 신화적 원리와 세계관념:<천지왕 본풀이>를 중심으로」, 『구비문학연구』 50, 한국구비문학회, 2018. | 미소장 |
4 | 강진옥, 「‘꽃의 신화학 서설 : 제주도 무속의 신화체계 탐색을 위한 시론」 『구비문학연구』 55, 한국구비문학회, 2019. | 미소장 |
5 | 고은주, 「꽃을 통한 모성성의 상징 표현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 미소장 |
6 | 권영한, 『재미있는 꽃 이야기』, 전원문화사, 1995. | 미소장 |
7 | 김선풍·리룡득, 김석순 사진, 『전설 속에 피어난 꽃이야기』, 집문당, 1995. | 미소장 |
8 | 김순옥, 「한국 현대소설에 나타난 변신모티프의 양상과 의미 고찰 : 최인석, 한강, 오수연, 박민규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미소장 |
9 | 김승연, 「민요로 살펴본 꽃의 표상과 은유」, 『한국민요학』 55, 한국민요학회, 2019. | 미소장 |
10 | 김영연, 『세계민담전집(이란)』 16, 황금가지, 2008. | 미소장 |
11 | 김지혜, 「석화(石化) 모티프 등장 설화를 통해 본 상실과 애도의 층위」, 『문학치료연구』 59, 한국문학치료학회, 2021. | 미소장 |
12 | 김찬호, 『생애의 발견 –한국인은 어떻게 살아가는가』, 문학과 지성사, 2018. | 미소장 |
13 | 김창묵, 『중국 조선족 구전설화』, 백송, 1996. | 미소장 |
14 | 김태정,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꽃 백 가지』, 현암사, 1994. | 미소장 |
15 | 김하늬, 「물화(物化)된 여성의 몸」, 『중국문학연구』 75, 한국중문학회, 2019. | 미소장 |
16 | 김헌선·변남섭, 「구비문학에 나타난 꽃 원형 : 이야기와 본풀이를 예증삼아」, 『구비문학연구』 28, 한국구비문학회, 2009. | 미소장 |
17 | 김혜미, 「구비 설화에 나타난 부모 부양의 문제 양상과 해결 서사의 탐색 – 설화 <딸네 집 가다 죽어 된 할미꽃>, <얌전한 척하고 시어머니때린 며느리>, <상놈 시아버지 양반 만든 정승 딸>을 중심으로-」, 『문학치료연구』 40,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 미소장 |
18 | 데이비드 폰태너, 공민희 옮김, 『상징의 모든 것』, 사람의 무늬, 2011. | 미소장 |
19 | 류호철, 「서천꽃밭의 형상과 의미연구-<이공본풀이>와 <삼승할망본풀이>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미소장 |
20 | 리사 펠드먼 배럿, 『감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생각연구소, 2017. | 미소장 |
21 | 마희열, 「TV 드라마를 활용한 한국 서열문화 교육 연구-이란 학습자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 미소장 |
22 | 문은영, 「이슬람 문화와 여성의 정치참여-이란 사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미소장 |
23 |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재실 옮김, 『이미지와 상징』, 까치, 1998. | 미소장 |
24 | 박시언, 「<장화홍련전>을 통해 본 장화, 홍련의 자기인식 문제」, 『문학치료연구』 54, 한국문학치료학회, 2020. | 미소장 |
25 | 박호성, 『자연의 인간, 인간의 자연』, 후마니타스, 2012. | 미소장 |
26 | 배재정·정정희, 「유아기의 사회적 가상놀이와 상호주관성 발달에 관한 이론적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8-1, 한국열린교육학회, 2003. | 미소장 |
27 | 신동흔, 「<바리공주> 신화에서 ‘낙화’의 상징성과 주제적 의미」, 『구비문학연구』 49, 한국구비문학회, 2018. | 미소장 |
28 | 신동흔, 「문학치료를 위한 서사분석 요소와 체계 연구」, 『문학치료연구』 49, 한국문학치료학회, 2018. | 미소장 |
29 | 신동흔, 『구비전설 선집』, 문학동네, 2021. | 미소장 |
30 | 신양섭, 「종교적 다문화 수용에 대한 이란역사의 궤적」, 『글로벌문화연구』2-1, 한국글로벌문화학회, 2011. | 미소장 |
31 | 악셀 호네트, 강병호 옮김, 『물화(物化)』, 나남, 2015. | 미소장 |
32 | 오창호, 『사회심리와 인간소외』, 푸른사상, 2005. | 미소장 |
33 | 이상권, 『꽃을 꽃이라 부를 때』, 푸른나무, 1994. | 미소장 |
34 | 이정주, 「한국 설화의 나무 화소 연구」,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미소장 |
35 | 이진민, 「식물 소재 설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 미소장 |
36 | 정운채,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문학치료연구』 9, 한국문학치료학회, 2008. | 미소장 |
37 | 정호선, 「꽃 유래담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미소장 |
38 | 조동일·서대석·이혜순·김대행·박희병·오세영·조남현 공저, 『한국문학강의』, 길벗, 2007. | 미소장 |
39 | 조동화, 『꽃-꽃과 사랑의 전설·신화』, 민중서관, 1978. | 미소장 |
40 | 조홍윤, 「<등나무전설>에 형상화된 형제 갈등의 원형 연구」, 『겨레어문학』57, 겨레어문학회, 2016. | 미소장 |
41 | 카를 융 외, 김양순 옮김, 『인간과 상징』, 동서문화사, 2016. | 미소장 |
42 | 표인주, 「민속에 나타난 꽃의 기호적 의미와 변화」, 『호남문화연구』 62,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7. | 미소장 |
43 | 한국여성연구소 여성사연구실 지음, 『우리 여성의 역사』, 청년사, 1999 . | 미소장 |
44 | 한서희, 「식물 유래담에 투영된 현세주의적 가치관」, 『남도민속연구』 32, 남도민속학회, 2016. | 미소장 |
45 | 현승환, 「생불꽃 연구」, 『백록어문』 13, 백록어문학회, 199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