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은주(2014). 『여성고령자의 여가제약과 협상전략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2 | 강은주․김연희․이희선(2015). 여성고령자의 여가제약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협상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29(4), 87-116. | 미소장 |
3 | 곽한병(2002). 여가활동참여와 여가장애의 관계성 연구: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11(1), 55-63. | 미소장 |
4 | 권신․김선영(2022). 예술인 복지정책의 확산과 지역 동형화에 관한 연구. 『문화경제연구』 25(3), 111-134. | 미소장 |
5 | 김나영(2003). 『장애인의 관광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6 | 김도연(2004). 『장애인의 여가활동 참여실태와 여가태도에 관한 연구: 목포지역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7 | 김명진(2021). 장애인의 관광제약요인과 선택요인 분석: 지체장애인 중심으로. 『융합관광콘텐츠연구』 7(3), 75-90. | 미소장 |
8 | 김선규(2013). 『독거 여성노인의 여가활동과 관광활동 제약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경운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9 | 김영종(2009). 『사회정책론』 형설출판사. | 미소장 |
10 | 김옥희․민웅기(2017). 여성 여가문화의 새로운 사회적 쟁점에 대한 계급론적 소고(小考). 『문화교류연구』 6(2), 87-107. | 미소장 |
11 | 김용섭(2018). 『라이프 트렌드 2019: 젠더 뉴트럴』 부키. | 미소장 |
12 | 김외숙․이기춘(1993). 도시기혼여성의 여가장애지각과 여가활동참여와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1(2), 208-218. | 미소장 |
13 | 김이성(2000). 『주부의 여가활동 참여와 여가 장애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4 | 김종택․선종갑․김선영(2006). 동북아시대의 장애인관광활성화에 관한 연구: 관광동기와 관광 저해요인을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2(2), 73-89. | 미소장 |
15 | 김홍설․이문진․황선환(2015). 직장여성의 결혼에 따른 여가제약과 여가제약협상.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 242-251. | 미소장 |
16 | 류성옥․오치옥․이훈(2012). 장애인의 관광활동 제약 협상과정. 『관광학연구』 36(1), 287-305. | 미소장 |
17 | 류재숙․임재필(2022). 장애인 관광활동의 기대, 제약과 협상 및 행동의도 간 구조관계 연구. 『관광연구저널』 36(1), 133-148. | 미소장 |
18 | 민웅기(2012). 성찰적 여가활동으로서의 문화관광의 의미: 욕구의 개인화와 생활문화적 시민권개념을 중심으로. 『관광연구논총』 24(3), 123-143. | 미소장 |
19 | 박수정(2004). 『여가학개론』 인하대학교 출판부. | 미소장 |
20 | 박승현(2008). 『장애유형에 따른 관광제약과 만족도 분석: 지체․시각․청각 장애를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21 | 박승현․이영진(2011). 장애유형에 따른 관광제약의 차이 분석: 지체․시각․청각 장애를 대상으로. 『관광연구논총』 23(1), 193-212. | 미소장 |
22 | 박예화․홍경완(2022). 여행동기와 여행 참여의도의 관계에서 여가제약 요인의 매개효과: 중국랴오닝성 노년기 여성 관광객을 대상으로. 『관광연구저널』 36(5), 107-122. | 미소장 |
23 | 박원희(2003). 『척수장애인의 여가제약과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24 | 서헌(2018). 장애인관광의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인천지역 관광매력물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0(9), 157-170. | 미소장 |
25 | 설정헌․허식(2022). 잠재계층분석을 활용한 문화예술 관람객의 시장세분화와 스포츠활동에 관한 연구. 『문화경제연구』 25(1), 161-186. | 미소장 |
26 | 성현수(2010). 『중년여성의 여가스포츠 참가, 여가제약, 여가제약협상 및 여가만족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27 | 송복(1986). 『사회불평등기능론』 전예원. | 미소장 |
28 | 송화성․강영애(2021). 관광 취약계층으로서 장애인과 고령자의 여가제약 비교 연구: 열린 관광지 정책 관점에서. 『관광연구』 36(1), 89-111. | 미소장 |
29 | 신진호․홍서윤(2022). 장애인의 여가활동 유형화와 유형별 특성 연구: 여가제약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29(2), 225-253. | 미소장 |
30 | 오찬교(2012). 『지체장애인의 여가활동 유형과 여가만족간의 관계에 있어서 여가제약의 매개효과』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31 | 유승호․박인영․장안식(2022).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문화자본: 잠재집단분석을 중심으로. 『문화경제연구』 25(1), 105-131. | 미소장 |
32 | 윤은경(2007). 『성인 장애인 여가활동 참여가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인을 대상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33 | 윤택림(2004). 『문화와 역사 연구를 위한 질적연구 방법론』 아르케. | 미소장 |
34 | 이경찬․민웅기(2018). 장애인 관광객의 이동권리 확보를 통한 인본주의적 융합문화의 실천: 유니버설 디자인의 사회문화적 가치를 중심으로. 『문화와융합』 40(7), 1-44. | 미소장 |
35 | 이봉구(2008). 관광 관련 제약요인이 장애인의 관광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eligman의 무력감이론의 적용. 『관광학연구』 32(2), 39-59. | 미소장 |
36 | 이봉구(2009). 복지관광. 한국관광학회 편. 『관광학총론』 백산출판사. | 미소장 |
37 | 이봉구․안선희․이유하․공주(2008). 장애유형에 따른 관광 제약요인 관광활동 참여 시 고려사항 차이에 관한 연구. 『관광 레저연구』 20(3), 7-24. | 미소장 |
38 | 이중섭(2009). 재가 장애인의 여가활동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재활복지』 13(3), 111-140. | 미소장 |
39 | 이훈․이영진(2010). 후천적 장애인의 관광활동 단계 및 장애유형에 따른 제약과 만족분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3(1), 263-287. | 미소장 |
40 | 임미화(2010). 『전업주부의 해외관광 제약요인』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41 | 임영명․차태현(2018). 국내 장애인의 여가활동 참여유형에 관한 요인.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8), 293-299. | 미소장 |
42 | 장동석(2018). 장애인관광 제약요인과 선호 관광유형에 대한 연구. 『동북아관광연구』 14(4), 135-153. | 미소장 |
43 | 장재형(2011). 『지체 장애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44 | 정소영(2003). 『여성의 레저활동과 레저제약: 미혼․기혼 간 비교』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45 | 정진영(2017). Social Tourism 개념과 연구 과제에 대한 고찰. 『관광연구논총』 29(3), 83-105. | 미소장 |
46 | 정탁(2005). 『가정 주부의 여가 활동 참여 및 제약요인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47 | 홍두승․구해근(2001). 『사회계층․계급론』 다산출판사. | 미소장 |
48 | 황진화(2013). 『실버여성의 여가제약과 여가제약극복노력 및 여가활동유형별 참여의 관계』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미소장 |
49 | Barbalet, J. M.(1988). Citizenship: Rights, struggle, and class inequality.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Minneapolis, MN. | 미소장 |
50 | Colaizzi, P. F.(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 S. Valle & M. King(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pp. 48-71).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 미소장 |
51 | Freysinger, V. J.(1988). The experience of leisure in middle adulthood: Gender differences and change since young adulthood.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Madison, WI. | 미소장 |
52 | Hochschild, A. R.(2001). The time bind: When work becomes home and home becomes work. Holt Paperbacks, New York. | 미소장 |
53 | Jackson, E. L.(1993). Recognizing patterns of leisure constraints: Results from alternative analyse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5(2), 129-149. | 미소장 |
54 | Lash, S., & Urry, J.(1994). Economies of signs and space. Sage, London. | 미소장 |
55 | Mason, J.(2002). Qualitative researching(2nd ed.). Sage, Thousand Oaks, CA. | 미소장 |
56 | Parkin, F.(1982). Social closure and class formation. In A. Giddens & D. Held(Eds.), Classes, power, and conflict: Classical and contemporary debates(pp. 175–184).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CA. | 미소장 |
57 | Ray, N. M., & Ryder, M. E.(2003). "Ebilities" tourism: An exploratory discussion of the travel needs and motivations of the mobility-disabled. Tourism Management, 24(1), 57-72. | 미소장 |
58 | Raymore, L. A., Godbey, G. C., & Crawford, D. W.(1994). Self-esteem, gender, and socioeconomic status: Their relation to perceptions of constraint on leisure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6(2), 99-118. | 미소장 |
59 | Raymore, L. A., Godbey, G. C., Crawford, D. W., & von Eye, A.(1993). Nature and process of leisure constraints: An empirical test. Leisure Sciences, 15(2), 99–113. | 미소장 |
60 | Richards, G.(1999). Vacations and the quality of life: Patterns and structur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44(3), 189-198. | 미소장 |
61 | Rojek, C.(2000). 『자본주의와 여가이론』(김문겸 역). 일신사. (원서출판 1985) | 미소장 |
62 | Searle, M. S., & Jackson, E. L.(1985). Socioeconomic variations in perceived barriers to recreation participation among would-be participants. Leisure Sciences, 7(2), 227-249. | 미소장 |
63 | Smith, R. W.(1987). Leisure of disabled tourists: Barriers to particip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14, 376-389. | 미소장 |
64 | Stake, R. E.(1995). The art of case study research. Sage, Thousand Oaks, CA. | 미소장 |
65 | Storey, J.(1999). 『문화연구와 문화이론』(박모 역). 현실문화연구. (원서출판 1993) | 미소장 |
66 | Yau, M. K., McKercher, B., & Packer, T. L.(2004). Traveling with a disability: More than an access issue. Annals of Tourism Research, 31(4), 946-96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