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윤곤강 시에 나타난 '피'의 의미 = The meaning of 'blood' in Yun Gon-gang's poetry 송기한 p. 5-24
이수명 시의 '시적 현실'에 관한 정신분석적 연구 = A psychoanalytic study on the 'poetic reality' of Lee Soo-myung : focusing on "New misreading filled the street" and "Heron plays heron" : 『새로운 오독이 거리를 메웠다』와 『왜가리는 왜가리놀이를 한다』를 중심으로 김선우 p. 25-55
현대 창작동요에 나타난 동요시의 미적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songs in contemporary creative children's songs : focusing on the songs that won the MBC Creative Children's Song Festival : MBC창작동요제 대상작을 중심으로 문신 p. 57-77
김수영과 백낙청의 시학(詩學)적 대화 = A dialogue of poetics between Kim Soo-young and Baek Nak-cheong : focusing on their understanding of Heidegger : 하이데거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신형철 p. 79-102

이성선의 시에서 '빛' 계열 어휘 출현 양상 연구 = A study on the series words of '빛(light)' in Lee Seong-seon's poem : focusing on the frequency of appearance survey and case classification statistics : 출현 빈도 조사와 용례 분류 통계를 중심으로 이희중 p. 103-133
김남주 초기시의 시적 논리와 문학적 실천의 의의 = The significance of the literary practice of the poetic logic of Kim Nam-joo's early poetry : focused on poem "Jaedumi(ashes)" and "Jinhonga(requiem)" : 「잿더미」와 「진혼가」를 중심으로 김민지 p. 135-166

박완서의 자전소설에 나타난 현저동 집의 공간성과 인민의 정치윤리학 = The spatiality of Hyunjeo-dong's house(home) and political ethics of people in Park Wan-seo's autobiographical novels 김근호 p. 167-196
차별의 장소성과 환대의 불가능성, 편재하는 자이니치 = The locality of discrimination and the impossibility of hospitality, the ubiquitous Zainichi : overlapping Lee Min-jin's Pachinko and Apple TV's <Pachinko> : 이민진의 『파친코』와 Apple TV 드라마 <Pachinko>를 대상으로 김영삼 p. 197-231
조세희 작품에서 과학의 이중적 위상 = The dual-status of science in Cho Se-hee's works : focused on the topological thesis after the adaptation of Dwarf... :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나타난 위상수학적 테제를 중심으로 양정현 p. 233-257
한국에서 H.G. 웰스 장편 과학소설의 이해와 수용 =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H.G. Wells's full-science novels in Korea 안미영 p. 259-292

표상적 언어관과 비표상적 언어관의 충돌 = Conflict between representative and non-representative views of language : 유종호와 장용학의 논쟁과 관련하여 류희식 p. 293-318

텔레비전드라마 <괴물>(jtbc)의 서사 구조와 클로즈업 연구 =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TV drama "Monster"(jtbc) a close-up study 권양현 p. 351-388
『대장금』에 나타난 '지속'의 전략과 시청 행위의 총체성 = The strategy of "continuation" in Daejanggeum and the totality of viewing behavior 이광욱 p. 351-388
영화 [해무]가 그리는 생명정치와 바다의 재현양상 = Biopolitics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sea in the film 'Haemu' 서미진 p. 389-427

참고문헌 (3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이수명, 『새로운 오독이 거리를 메웠다』, 세계사, 1995. 미소장
2 이수명, 『왜가리는 왜가리놀이를 한다』, 세계사, 1998. 미소장
3 김석, 『에크리: 라캉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 살림, 2007. 미소장
4 김석, 『불안-존재의 목소리』, 은행나무, 2022. 미소장
5 김홍중, 멜랑콜리와 모더니티 ,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2009. 미소장
6 오형엽, 『알레고리와 숭고』, 문학과 지성사, 2021. 미소장
7 유성호, 오세영 외, 탈냉전의 시기(1991년~2000년) , 『한국 현대시사』, 민음사, 2007. 미소장
8 이수명, 『공습의 시대-1990년대 한국시문학사』, 문학동네, 2016. 미소장
9 이수명, 『표면의 시학』, 난다, 2018, 41-42쪽. 미소장
10 앙리 르페브르(Henri Lefebvre), 양영란 역, 『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 미소장
11 이폴리트 텐(Hippolyte Taine), 정재곤 역, 『예술철학』, 나남, 2013. 미소장
12 자크 라캉(Jacques Lacan), 홍준기 외 역, 『에크리』, 새물결, 2019. 미소장
13 로이스 타이슨(Lois Tyson), 윤동구 역, 『비평이론의 모든 것』, 앨피, 2012. 미소장
14 로버트 스탬(Robert Stam), 오세필·구종상 역, 『자기 반영의 영화와 문학』, 한나래, 1998. 미소장
15 숀 호머(Sean Homer), 김서영 역, 『라캉 읽기』, 은행나무, 2014. 미소장
16 김순아,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빈 몸’의 윤리와 감각화 방식: 이수명, 조용미의 시를 중심으로 , 『여성문학연구』 34,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미소장
17 김청우, 개시(開示)된 은폐를 들추기-이수명 시의 한 읽기 , 『시와세계』 38, 시와세계, 2012. 미소장
18 김한식, 이미지와 상상력의 시공 여행-이수명과 배신호의 시 , 『현대시학』 363, 현대시학사, 1999. 미소장
19 김현섭, 수직도시와 수직건축, 그리고 수직의 욕망 , 『建築』 354, 2008. 미소장
20 김홍진, 현대시에 나타나는 도시 이미지의 반영 의식-1990년대 이후의 시와 그로테스크 시학을 중심으로 , 『국어문학』 67, 국어문학회, 2018. 미소장
21 변학수, 꿈/詩의 상징과 상징적 표현 , 『현대시학』 393, 현대시학사, 2001. 미소장
22 안지영, 시에서 ‘소통’이란 무엇인가-이수명 시를 중심으로 , 『시와정신』 47, 시와정신사, 2014. 미소장
23 오형엽, 공포와 환상의 시적 계보 , 『신생』 65, 전망, 2015. 미소장
24 이성혁, 움직이는 형상들의 매혹, 또는 감염 , 『현대시』 207, 한국문연, 2007. 미소장
25 이승훈, 변기와 인터랙티브 미학-디지털 시대의 시쓰기 , 『문학사상』 329, 문학사상사, 2000. 미소장
26 이재복, 놀이의 현상학 , 『 현대시학』 425, 현대시학사, 2004. 미소장
27 이재복, 아이덴티티는 너무 20세기적이야-박상순, 이수명, 황병승, 김경주를 중심으로 , 『열린시학』 50, 고요아침, 2009. 미소장
28 이창민, 영혼과 무의식 , 『서정시학』 12, 계간 서정시학, 2001. 미소장
29 이혜원, 1990년대 서술시의 양상과 그 의미 , 『어문학』 99, 한국어문학회, 2008. 미소장
30 이혜원, 미지의 세계를 향한 진지한 놀이-이수명론 , 『계간 시작』 51, 천년의시작, 2014. 미소장
31 이혜원,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서울’의 문학지리학 2 , 『현대시의 윤리와 생명의식』 소명출판, 2015. 미소장
32 이혜원, 철도, 공장, 골목-서대경 시에 나타나는 도시의 표상과 감각 , 『발견』 28, 2020. 미소장
33 이희우, 나의 우울과 나무의 기쁨 , 『문학과사회』 138, 문학과지성사, 2022. 미소장
34 이훈, 삶에서 죽음으로의 이행, 자가형성의 회전체들-이수명론 , 『시와 반시』 74, 시와반시사, 2010. 미소장
35 전명환, 이수명 시의 언어적 특성 연구 ,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2.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