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2020년대를 전후로 하여 SF 장르가 떠오르며, 과학기술로 구현된 미래사회와 인간에 대한 고민이 드러나게 되었다. SF가 건드려주는 미래사회의 문제는 사실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이다. ‘미래’라는 시공간적인 거리감으로 인해 그 고민을 직접적으로 다룰 때 생길 수 있는 반감은 줄어들고, 대신 신선하고 낯선 충격을 안겨준다. 과학소설을 통한 이런 문제 제기는 교육의 현장에서 미래세대에게 ‘익숙하지만 낯선’ 효과를 통해 새로운 시각으로의 접근과 미래사회에서의 ‘나’와 ‘우리’를 고민하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미 SF 작품 중에서 특히 많이 다뤄지는 작품인 메리 셸리와 필립 K. 딕의 작품, 아이작 아시모프, 엘리자베스의 문의 작품에서 인간됨의 조건과 노인과 장애의 문제를 들여다볼 것이다. 한국 SF의 경우 여성 작가들의 시선이 머무른 곳에 청소년 등장인물이 자리하기에 김초엽, 천선란, 정세랑의 작품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대를 전후하여 붐을 맞은 SF에서 교육과의 접점을 마련하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시도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점화의 문학교육 내용화를 위한 초점자의 언어적 표지 연구 = Linguistic markers of focalizer for contentification of focalization in literature education 정진석, 조진수 p. 7-43

SF가 그리는 미래사회로의 초대 = An invitation to the future society depicted by science fiction : the contact point between awareness of problems and education in Korean-English science fiction : 한·영 SF에서 나타난 문제의식과 교육과의 접점 최애순, 손나경 p. 45-82

시조의 해석정전 형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interpretation canon of Shijo : focusing on appreciation of Masterpiece of Shijo by Lee Byungki and Shin Seokjung : 이병기·신석정의 『명시조 감상』(1958)을 중심으로 강영미, 신경숙 p. 83-113

성인 전환형 애독자의 유형과 특성 분석 = An analysis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adult converts to habitual readers 김해인, 이수진, 이순영 p. 115-150

읽기 저성취 중학생의 읽기 과정상의 특징 연구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reading proc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low-achievement in reading : focusing on time spent on reading and reading check activities : 읽기에 소요된 시간과 읽기 점검 활동을 중심으로 김경환 p. 151-184

구어에 나타난 종결어미 ‘-다’의 의미와 억양 = The meaning and intonation of the ending marker ‘da’ in spoken Korean 박상숙 p. 185-218

일반 성인의 겹문장 산출 양상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production patterns of complex sentences in general adults : focusing on developing questions related to complex sentence production for aphasic patients : 실어증 환자의 겹문장 산출 문항개발을 중심으로 성수진 p. 219-267

현대시 교육에서 학습자 주도성의 범주와 협력적 시 읽기에 대한 이론적 고찰 = Theoretical studies on categorization of study agency and collaborative reading in modern poetry education : focusing on question formulation technique(QFT) : 질문형성기법을 중심으로 오연경 p. 269-290

남한·북한·중국 조선족 수사법 교육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rhetoric education in South Korea, North Korea, and among Korean-Chinese in China : focusing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 초·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오춘지 p. 291-322

백워드 설계를 적용한 한국 현대 가치문화 교육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 plan of Korean modern value culture based on backward design 이원주 p. 323-351

참고문헌 (2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고장원(2011), 「국내외 학계 과학소설 연구현황:미국(1)」, 『The Science Times』, https://www.sciencetimes.co.kr/?p=101729&cat=28&post_type=news&pag ed=228, 2022.11.12. 미소장
2 권혁준(2014), 「아동청소년문학에 나타난 SF적인 상상력」, 『창비어린이』 12(2), 창비어린이, 21-38쪽. 미소장
3 김초엽(2020),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허블. 미소장
4 노대원(2019), 「SF의 장르적 특성과 융합적 문학교육」, 『영주어문』 42, 영주어문학회, 221-245쪽. 미소장
5 손나경(2019), 「과학소설(SF)를 통해 배우는 서사적 추진력-과학소설 대상 교양교육 과목의 설계와 검토」, 『교양교육연구』 13(5), 교양교육학회, 103-128쪽. 미소장
6 손나경(2021), 「과학소설 쓰기를 통해 배우는 과학소설의 서사적 추진력-과학소설쓰기의 디자인 씽킹」, 『교양교육연구』 15(1), 교양교육학회, 83-103쪽. 미소장
7 슌타로, 오노(2009), 『フランケンシュタイン・コンプレックス』, 김정례·조아라·강경하·김희경·김행자·박선희 역(2017), 『프랑켄슈타인 콤플렉스: 인간은 언제 괴물이 될까?』, 에스파스. 미소장
8 오윤주(2021), 「SF 소설의 문학교육적 함의」, 『새국어교육』 128, 한국국어교육학회, 145-177쪽. 미소장
9 윤대석(2017), 「과학소설과 융합교육」, 『구보학보』 16, 구보학회, 451-478쪽. 미소장
10 진설아·손혜숙(2022), 「포스트휴머니즘 시대, SF 서사와 의사소통 모델을 활용한인문교양 교육방안 연구」, 『문화와 융합』 44(4), 한국문화융합학회, 297-315쪽. 미소장
11 천선란(2020), 『천 개의 파랑』, 허블. 미소장
12 최애순(2013), 「우주시대의 과학소설- 1970년대 아동전집 SF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7(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13-242쪽 미소장
13 최애순(2017). 「초창기 SF 아동청소년문학의 전개」, 『아동청소년문학연구』 21,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41-88쪽. 미소장
14 황지영(2021), 「SF문학 교육을 위한 예비적 고찰」, 『한국교육논총』 42(3),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122-152쪽. 미소장
15 Asimov, A.(1995), Gold, 김선형 역(2008), 『아시모프의 과학소설 창작백과』, 멜라스. 미소장
16 Bell, F., Fletcher, G., Greenhill, A., Griffiths, M., & Mclean, R.(2013), Science fiction prototypes: visionary technology narratives between futures, Futures 50, pp.5-14. 미소장
17 Dick, P. K.,(1968), Do Androids Dread of Electric Sheep?, 박중서 역(2017), 『안드로이드는 전기양의 꿈을 꾸는가?』, 폴라북스. 미소장
18 Dick, P. K.,(1974), Who is an SF writer?, CEA Critic 80(2), pp.193-197. 미소장
19 Gernsback, Hugo(1953), The Impact of Science Fiction on World Progress, The Journal of Science Fiction 1(4), pp.22-25. 미소장
20 Moghadam, M. B. and Porugive, F.(2018), Quiet Refusals: Androids as Others in Philip K. Dick’s Do Androids Dream of Electric Sheep?, Advances in Language and Literary Studies 9(3), pp. 10-18. 미소장
21 Moon, Elizabeth(1996), Remnant Population, 강선재 역(2021), 『잔류인구』, 푸른숲. 미소장
22 Shippey, T. & Shippery, T. A.(2016), Hard Reading: Learning from Science Fiction, Liverpool UP. 미소장
23 Toffler, A.(1970), Future Shock, Bantam Books. “What Inspired Philip K. Dick to Write Do Androids Dream of Electric Sheep?” https://galaxypress.com/inspired-philip-k-dick/ 미소장
24 Weinbaum, Batya(2016), Glimsing the Intersection of Gender and Age in the Early Pulp Years of SF, Analysis and Story Abstracts, Femspec, 16(2), pp.54-9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