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통한 한국 대중의 ChatGPT에 대한 인식 탐색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Korean public's perception of ChatGPT through text mining analysis 고민환, 전채남, 송학준 p. 1-13
대통령에 관한 부정적 뉴스콘텐츠의 흐름과 추세 = Streams and trends of negative news content about the president : focusing on issues of commentators and commentaries : 코멘테이터와 코멘터리 문제를 중심으로 허만섭 p. 14-25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건강보험료 뉴스 기사 분석 = Analysis of news articles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ntribution using topic modeling 현지우, 임동완 p. 26-38
AI 뉴스추천 서비스요인이 사용자의 지속적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AI news recommendation service factors on users' continuous use intention : focusing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유우새, 정속양 p. 39-52
VR, 시네마의 새로운 가능성 = VR, possibilities of cinema : realism and multi-layered meaning : 리얼리즘과 다층적 의미 박은숙, 이석창 p. 53-60
<분노의 주먹> 속 디아스포라 서사와 음악의 상호텍스트성 = Intertextuality of diaspora narrative and music in Raging Bull 신사빈 p. 61-71
영화로 가는 미술, 미술로 가는 영화 = A study on the intermediality of film and fine art seen through the works of Dario Argento and Vito Aconci : 다리오 아르젠토와 비토 아콘치의 작품들을 통해 본 영화와 미술의 상호매체성 연구 심형근 p. 72-81
서브컬처 게임의 사용자 분석 = User analysis of subculture games : focusing on Genshin impact : 원신을 중심으로 변지선, 김재웅 p. 82-93
FDM 3D 프린팅을 활용한 조형 디테일에 관한 연구 = Enhanced detailing study of improving FDM 3D printing quality : 디지털 아트에서 3D 프린팅으로 권인선 p. 94-102
SNS 사용자의 멀티 페르소나 형성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on of user multi-persona in SNS : focused on Kakao Talk : 카카오톡을 중심으로 강소리, 이다은, 이진 p. 103-114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배우 오디션 현장의 변화와 양상 연구 = A study on changes and aspects in the audition process for actors in the post-corona era 박명희 p. 115-125
레스토랑간편식(RMR)에 관한 소비자의 주관성 연구 = A study on consumer subjectivity of the restaurant meal replacement product 백내용, 김호석 p. 126-133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담긴 따뜻함의 은유가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The metaphor of warmth contained in the brand identity impact on corporate image : the moderating effect of conformity, focusing on social enterprises : 사회적 기업을 중심으로 살펴본 순응의 조절효과 포함, 박용진 p. 134-141
산업단지 에너지 관리 시스템의 데이터 품질 테스트 방법 = Data quality test method for industrial complex energy management system 주승환, 서희석 p. 142-148
클릭률 예측 성능 향상을 위한 행렬 분해 연구 = A study on matrix decomposition to improve CTR prediction performance 김태석 p. 149-158

클러스터 특성과 심층 신경망을 이용한 창원시 공영자전거 이용자 수 예측 = Prediction of public bicycle usage in Changwon City using cluster characteristics and deep neural networks 안진수, 김재우, 유재수, 최도진 p. 159-170

학습자 니즈 분석을 통한 AHP기반의 교양 IT과목 학습모형 = AHP based learning model of general IT classes by an analysis for student's needs 정화영 p. 171-176

가상박물관의 전시유형별 제작방식의 특징 =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ion method by exhibition type in virtual museum 구제, 김미진 p. 177-184

공공데이터를 이용한 지역 산업위기 대응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onitoring system for responding to the local industrial crisis using public data 황지나, 서주환 p. 185-196
AHP를 활용한 기부문화 척도 가중치 산정 = A study on calculation of the weight of donation culture scale using AHP 이도희, 김주희 p. 197-206
메타버스의 효용과 손실이 지속적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metaverse's benefits and sacrifices of on intention to continuous use : the moderating effects of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 대인 간 영향 민감성의 조절 효과 황인호 p. 207-221
기존가입자 활용한 OTT 서비스 확산 전략에 관한 연구 = An exploratory analysis of an OTT diffusion strategy using the installed base 이선미 p. 222-229
포켓몬고와 프랜차이즈 요인이 포켓몬빵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Pokémon Go and franchise factors on purchase intention of Pokémon bread 이규동 p. 230-238
Pricing of package tours in tour industry using a sequential game-theoretic approach = 순차적 게임을 활용한 여행패키지 상품의 가격책정 연구 Choong-Young Jung, Jun-Jae Lee p. 239-251
증강현실 기반 관광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과 사용자 만족도 및 방문의도 연구 = User experience, us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visit of augmented reality-based tourism applications 윤승욱 p. 252-264
산연협력에서 관계적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relational success in industry-public research institutes cooperation : a fuzzy 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approach : 퍼지집합 질적 비교분석 접근 황경연, 성을현 p. 265-278

동적역량이 비즈니스모델혁신을 통해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dynamic capabilities on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through business model innovation : focusing on SMEs :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이종관, 서영욱 p. 279-294
개인 투자자의 가상자산 투자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virtual asset investment by individual investors 홍성문, 이원부 p. 295-313
오피스 시장 버블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office market bubble estimation : using RADF test and GSADF test : RADF 검정과 GSADF 검정을 이용하여 전해정 p. 314-320
주민참여예산의 본질과 변형 = The original object and change of participatory budgeting 김인영, 민기 p. 321-330
중국 비물질문화유산 전승 지원제도의 발전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hines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ransmission support policy 전인석, 채경진 p. 331-339
대형마트 셀프 계산대에 대한 소비자의 이용 거부감에 관한 연구 = Consumers' refusal to use self-checkout system at supermarkets 김효정 p. 340-352
신제품 독특성 및 주변 제품의 의인화가 신제품 구매 의사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new product uniqueness and presence of surrounding anthropomorphic products on purchase intention 정나영, 장수령 p. 353-363
커뮤니티웰빙이 개인의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community wellbeing on individuals' subjective wellbeing 이준영, 최낙혁 p. 364-372
사회적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신형섭, 하창순 p. 373-383
부모교육열과 아동의 행복감 및 미디어 기기 중독 간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educational enthusiasm and children's happiness, media addiction : focused on low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 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이규림, 공유경 p. 384-394
영어매개강의에 대한 예비초등영어교사의 학습 만족도와 효능감 분석 = Learn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of pre-servic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on English medium instruction 윤택남 p. 395-401
여대생의 대학생활과 경력개발 경험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college life and career development experience of female college students 노경란, 김은비 p. 402-414
대학생의 학업적,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군집에 따른 기본심리욕구, 학업참여, 학업성취도의 차이 = Differences in basic psychological needs, academic engagement, and score according to the academic·social achievement goal group of college students 이지연, 조한익 p. 415-426
대학생 대상의 결혼과 가족 교양강좌 효과 연구 = Effects of a marriage and family life course on the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임정하, 김경미, 정미연 p. 427-437
디지털 환경에서 웹기반 교육만족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of a web-based instruction in digital environment : focusing on accounting education : 회계교육 중심으로 이신남 p. 438-446
에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산학협력 양상 연구 = A study of aspects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through ego network analysis 권선희 p. 447-457

역량 모델링 및 타당도 검증을 통한 교원 역량진단 도구 개발 사례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faculty competency modeling and validation of self-diagnostic tools 백평구, 권세영, 김소정 p. 458-474

교사의 디지털 역량 함양을 위한 CAFA 시스템 활용 제안 = Suggestions on the use of the CAFA system to promote teachers' digital competencies 김성연 p. 475-493

문화예술교육 매개자의 퍼실리테이터 역량 개발 사례 = Development of facilitator capac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mediators 이지설, 김경회 p. 494-505
기초지역의 문화예술교육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거점 구축 탐색연구 = Exploratory research on establishing a hub for basic area cultural and art education community 이지설 p. 506-516
아동의 개인적 경험 이야기에 대한 일반인, 교사, 언어재활사의 질적 판단 비교 = Comparison of a judgment of laypersons, teachers, an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on children's personal narrative quality 오은별, 김정미 p. 517-526
지역사회 지속 거주를 위한 고령 친화적 지역사회 환경요인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ging-friendly community environmental factors for aging in place (AIP)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김은경 p. 527-539

전·후기 노인 대상 사회적 관계의 구조적 차원과 질적 차원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structural and qualitative dimensions of social relationships on successful aging between young-old and old-old : moderating effects by type of social conflict : 사회적 갈등 유형별 조절효과 이상철 p. 540-549
기혼 남녀의 부부간 성적 자기결정권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탐색 = Correlates of the perception of married couples about individual's own extramarital relationships and spouse's extramarital relationships 이원준, 이희진 p. 550-562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이후 마스크 지속 착용 영향 요인의 탐색 = Exploring influencing factors for continuing to wear the quarantine mask after the removal of outdoor mandatory mask wearing : focusing on selfish/altruistic value orientation, attitude toward recommendations to wear the mask, and intention to continue wearing the mask : 이기적/이타적 가치성향, 마스크착용 권고에 대한 태도 및 지속 착용의도를 중심으로 주지혁 p. 563-573
프라모델 여가활동 남성 참여자의 여가몰입과 여가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leisure flow and leisure satisfaction on quality of life in male participants of the pla-model leisure activity 정종신, 이규철, 김재희 p. 574-583
스트레스 고위험군 대학생의 치유농업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A qualitative analysis on the experience in care farm program of university students at high risk of stress 정순진, 양정빈, 백형의 p. 584-596
중년여성불자의 가족가치관과 스트레스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What impact family values and stress has on the marriage satisfaction of middle-aged women Buddhist 김정희 p. 597-610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 연구 =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of activity supporters for the persons with a disability and their organizational engagement 이재구 p. 611-621
사무직 근로자가 지각하는 관계지향 조직 문화, LMX, 감성지능, 직무소진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office workers' relationship-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LMX,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burnout 최원설, 문미혜 p. 622-637
대학생 치매관련 교육 및 체험활동 경험이 노인차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dementia education and experience activities for college students on ageism : mediating effect of family friendship : 가족친밀감의 매개효과 김현경 p. 638-647
노인요양시설 간호사의 임종간호 경험 = A study on the end-of-life care experiences of nurs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권신영, 변진이 p. 648-659
부산지역 주민들의 수은 노출 특성 = Exposure characteristics of Hg in residents of Busan area 문찬석, 지가영 p. 660-665
문헌 연구를 통한 프로바이오틱스의 최근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recent research trends in probiotics through literature study : focusing on lactobacillus : Lactobacillus 중심으로 정원용, 이광희, 진태은 p. 666-675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C. Peterson and A. McCabe, Developmental psycholinguistics, Three Ways of Looking at a Child’s Narrative Spro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미소장
2 D. Hughes, L. McGillivray, and M. Schmidek, Guide to Narrative Language, Procedures for Assessment, Austin: Thinking Publications, 1997. 미소장
3 A. Preece, “The range of narrative forms conversationally produced by young children,”Journal of child language, Vol.14, No.2, pp.353-373, 1987. 미소장
4 L. S. Bliss and K. S. Pierre, “Personal narrative structures of children with specific-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children’s communication development, Vol.18, No.2, pp.11-18, 1997. 미소장
5 A. McCabe, L. Bliss, G. Barra, and M. Bennett, “Comparison of personal versus fictional narratives of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Vol.17, No.2, pp.194-206, 2008. 미소장
6 L. S. Bliss and A. McCabe,“Personal narratives:Cultural differences and clinical implication,”Topics in Language Disordres, Vol.28, No.2, pp.162-177, 2008. 미소장
7 J. R. Johnston, “Narratives: twenty-five years later,” Topics in Language Disorders, Vol.28, No.2, pp.93-98, 2008. 미소장
8 M. Minami and A. McCabe, “Haiku as a discourse regulation device: A stanza analysis of Japanese children’s personal narratives,” Language in Society Vol.20, No.4, pp.557-599, 1991. 미소장
9 이영자, 이지현, Schickedanz, “한국과 미국 유아들의 개인적 ·가상적 내러티브 구조 발달 양상 및 논리적 응집장치 사용의 비교,”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pp.361-389, 2006. 미소장
10 P. R. Rollins, A. McCabe, and L. Bliss, “Culturally sensitive assessment of narrative skills in children,” In Seminars in Speech and Language. Vol.12, No.3, pp.223-234, 2000. 미소장
11 A. McCabe and L. S. Bliss, Patterns of narrative discourse: A multicultural, life span approach, Allun & Bacon, 2003. 미소장
12 G. S. Olness, H. Ulatowska, C. Carpenter, L. Williams-Hubbard, and J. Dykes, “Holistic assessment of narrative quality: A social validation study,”Aphasiology, Vol.19, No.3-5, pp.251-262, 2005. 미소장
13 R. M. Newman and K. K. McGregor, “Teachers and laypersons discern quality differences between narratives produced by children with or without SLI,”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49, No.5, pp.1022-1036, 2006. 미소장
14 윤환희, 김효선, 김정미, “허구적 이야기 평가를 위한사회적 타당도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Disorders, 제24권, 제2호, pp.332-342, 2019. 미소장
15 한다솜, 일반아동의 개인적 경험 이야기와 허구적 이야기 산출 비교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미소장
16 김영태, 홍경훈, 김경희, 장혜성, 이주연, 수용·표현어휘력 검사,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9. 미소장
17 김정미, “유치원과 초등학교 2학년 일반 아동의 개인적 경험 이야기와 허구적 이야기 산출 비교: 표현정교화를 중심으로,” Communication Sciences &Disorders, 제23권, 제1호, pp.60-73, 2018. 미소장
18 P. Schneider and S. Winship, “Adult’s judgments of fictional story qual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45, No.2, pp.372-383, 2002. 미소장
19 A. McCabe and C. Peterson, “What makes a good story,” Journal of Psycholinguistic Research, Vol.13, No.6, pp.457-480, 1984. 미소장
20 M. T. Mills, L. C. Moore, R. Chang, S. Kim, and B. Frick, “Perceptions of black children’s narrative language: a mixed-methods study,”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Vol.52, No.1, pp.84-99, 202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