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C. Peterson and A. McCabe, Developmental psycholinguistics, Three Ways of Looking at a Child’s Narrative Spro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3. | 미소장 |
2 | D. Hughes, L. McGillivray, and M. Schmidek, Guide to Narrative Language, Procedures for Assessment, Austin: Thinking Publications, 1997. | 미소장 |
3 | A. Preece, “The range of narrative forms conversationally produced by young children,”Journal of child language, Vol.14, No.2, pp.353-373, 1987. | 미소장 |
4 | L. S. Bliss and K. S. Pierre, “Personal narrative structures of children with specific-language impairment,” Journal of children’s communication development, Vol.18, No.2, pp.11-18, 1997. | 미소장 |
5 | A. McCabe, L. Bliss, G. Barra, and M. Bennett, “Comparison of personal versus fictional narratives of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Vol.17, No.2, pp.194-206, 2008. | 미소장 |
6 | L. S. Bliss and A. McCabe,“Personal narratives:Cultural differences and clinical implication,”Topics in Language Disordres, Vol.28, No.2, pp.162-177, 2008. | 미소장 |
7 | J. R. Johnston, “Narratives: twenty-five years later,” Topics in Language Disorders, Vol.28, No.2, pp.93-98, 2008. | 미소장 |
8 | M. Minami and A. McCabe, “Haiku as a discourse regulation device: A stanza analysis of Japanese children’s personal narratives,” Language in Society Vol.20, No.4, pp.557-599, 1991. | 미소장 |
9 | 이영자, 이지현, Schickedanz, “한국과 미국 유아들의 개인적 ·가상적 내러티브 구조 발달 양상 및 논리적 응집장치 사용의 비교,”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pp.361-389, 2006. | 미소장 |
10 | P. R. Rollins, A. McCabe, and L. Bliss, “Culturally sensitive assessment of narrative skills in children,” In Seminars in Speech and Language. Vol.12, No.3, pp.223-234, 2000. | 미소장 |
11 | A. McCabe and L. S. Bliss, Patterns of narrative discourse: A multicultural, life span approach, Allun & Bacon, 2003. | 미소장 |
12 | G. S. Olness, H. Ulatowska, C. Carpenter, L. Williams-Hubbard, and J. Dykes, “Holistic assessment of narrative quality: A social validation study,”Aphasiology, Vol.19, No.3-5, pp.251-262, 2005. | 미소장 |
13 | R. M. Newman and K. K. McGregor, “Teachers and laypersons discern quality differences between narratives produced by children with or without SLI,”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49, No.5, pp.1022-1036, 2006. | 미소장 |
14 | 윤환희, 김효선, 김정미, “허구적 이야기 평가를 위한사회적 타당도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Disorders, 제24권, 제2호, pp.332-342, 2019. | 미소장 |
15 | 한다솜, 일반아동의 개인적 경험 이야기와 허구적 이야기 산출 비교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을 중심으로, 나사렛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5. | 미소장 |
16 | 김영태, 홍경훈, 김경희, 장혜성, 이주연, 수용·표현어휘력 검사,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009. | 미소장 |
17 | 김정미, “유치원과 초등학교 2학년 일반 아동의 개인적 경험 이야기와 허구적 이야기 산출 비교: 표현정교화를 중심으로,” Communication Sciences &Disorders, 제23권, 제1호, pp.60-73, 2018. | 미소장 |
18 | P. Schneider and S. Winship, “Adult’s judgments of fictional story qualit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45, No.2, pp.372-383, 2002. | 미소장 |
19 | A. McCabe and C. Peterson, “What makes a good story,” Journal of Psycholinguistic Research, Vol.13, No.6, pp.457-480, 1984. | 미소장 |
20 | M. T. Mills, L. C. Moore, R. Chang, S. Kim, and B. Frick, “Perceptions of black children’s narrative language: a mixed-methods study,”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Vol.52, No.1, pp.84-99, 2021.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