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광학 이성질체의 광학적 특징을 살펴보고 간이 편광계를 제작해, 시약을 분류하는 교육용 실험 키트를 제작하였다. 기존의 사용하는 편광계는 값이 너무 비싸고 전문적인 지식 없이는 쉽게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편광판과 아크릴을 이용해 교육용 실험 키트를 제작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R-Limonene, S-Limonene, D-Glucose, D-Fructose, D-Sucrose을 이용하여 간이 편광계로 광회전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이론적 광회전도와 측정 광회전도의 오차범위가 ±1° 미만으로 나타나 상당히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제작한 간이 편광계에선 수집한 데이터를 엑셀과 미분 프로그램을 사용해 직접 처리하는 다소 복잡한 과정을 본 연구에서는 아두이노를 이용해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측정부터 결과 도출까지 모두 자동화시켰다. 후속연구에선 지금보다 물질의 광회전도를 더 정확하게 측정할 방법을 고안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으면 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일반학급과 영재학급에서 과학영재가 지각하는 과학 성취 상황별 성취 정서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achievement emotions by science achievement situation perceived by science gifted students in general and gifted science class 성승민, 김수미, 여상인 p. 1-11

ASEAN+3 과학실험 탐구대회에 참가한 중학교 영재 학생의 과학 관련 경험과 과학에 대한 인식 변화 분석 = Analysis of science-related experiences and changes in perceptions of science of middle school gifte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SEAN+3 junior science odyssey 신채연, 이수영 p. 12-27

창의적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중등 생물영재 대상 SSI 글쓰기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SI writing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middle school biology gifted students to enhanc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김형미, 강경희 p. 28-43

중학생 R&E 지도 사례 = A case study of R&E instruc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the search for winning solutions of NIM games and the development of modified NIM games : NIM 게임의 필승 해법 탐구와 변형 NIM 게임 개발을 중심으로 송상헌 p. 44-57

예비 초등교사의 영재 교수 효능감과 영재교육에 대한 태도에 관한 설문조사 연구 = Pre-service primary school teachers' self-efficacy and attitudes towards gifted education : a survey study 우희진 p. 58-68

식 지도 관점에서 역량중심 초등수학 영재교육 프로그램 및 교과서 분석 = Analysis of competency-based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education programs and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from the perspective of teaching a mathematics expression 고준석 p. 69-85

독도 투어 = Dokdo tour : augmented reality tour system using dioramas : 디오라마를 활용한 증강현실 투어 시스템 강우성, 강이빈, 박현택, 반채윤, 이사무엘, 황승현, 이수원 p. 86-95

광학 이성질체 시험 및 합성을 위한 키트 제작 = Kit for optical isomer testing and synthesis 조원재, 강민지, 김승안, 김태은, 장서영, 조은혜 p. 96-104

장내미생물 Gram 염색패턴을 이용한 누에나방 유충 건강 상태 예측 CNN 알고리즘 모델 구축 = Construction of CNN algorithm model for predicting the health status of bombyx moth larvae using the Gram staining pattern of intestinal microbes 홍준기, 윤덕한, 오서연, 김민서, 이지연 p. 105-121

Vanillin과 o-Vanillin의 항진균 활성과 이를 이용한 항진균 벽지 제작 = Anti-mold activity of Vanillin and o-Vanillin for the production of anti-mold wallpaper 김태형, 정희석, 박수지, 김경민 p. 122-135

삼각형의 내접 타원의 넓이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the area of the inscribed ellipse of triangle 조영민, 황석훈, 노대현, 문세현, 김도훈 p. 136-147

유전 알고리즘을 적용한 바이러스의 진화와 확산 시뮬레이션 제작 = Modeling viral evolution and epidemic simulation using genetic algorithms 백정현, 유하건, 경다인 p. 148-159

음파를 이용한 수박 선별 = Watermelon sorting using sound waves : based on machine learning :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민승희, 임가은, 신연우, 이태윤, 이승환, 조대기 p. 160-169

센서와 머신 러닝을 통한 교실 책상 면 조도 예측 = Prediction of daylight illuminance on classroom desk surface using machine learning model and illuminance sensor 김재근, 조경찬, 지형진, 정서원, 조대기 p. 170-182

학생 만족도를 높이는 시험 시간표 배치 알고리즘 = Scheduling algorithm for test period to increase student satisfaction 한예림, 조민준, 김재숙 p. 183-195

잠자리 수채의 사냥 시 아랫입술 움직임에 대한 생체역학적 분석 = Biomechanical analysis of labial movement in the hunting of dragonfly nymphs 김민서, 김수진, 김명희 p. 196-204

볼록 사각형의 Siebeck-Marden의 정리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Siebeck-Marden's theorem of convex quadrilaterals 윤준오, 이준희, 황석훈, 조영민 p. 205-216

참고문헌 (1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과학백과사전 (2015a, September 9). 편광. 사이언스올. https://www.scienceall.com/ (검색일 2022.04.04.) 미소장
2 과학백과사전 (2015b, September 9). 편광계. 사이언스올. https://www.scienceall.com/ (검색일 2022.04.04.) 미소장
3 과학백과사전 (2015, October 20). 아두이노. 사이언스올. https://www.scienceall.com/ (검색일 2022.04.04.) 미소장
4 과학백과사전 (2016, August 16). 고유광회전도. 사이언스올. https://www.scienceall.com/ (검색일 2022.04.04.) 미소장
5 과학백과사전 (2016a, November 7). 광학 이성질체. 사이언스올. https://www.scienceall.com/ (검색일 2022.04.04.) 미소장
6 과학백과사전 (2016b, November 7). 광학활성. 사이언스올.https://www.scienceall.com/ (검색일 2022.04.04.) 미소장
7 김광준, 최인, 이범규, 문홍섭, 한효경, 최은주, 이원재. (2011). 광학이성질체 의약품의 안전성과 유효성 측면에서 의약품 허가신청 자료에 대한 비교연구. 조선자연과학논문집, 4(4), 315-322. DOI : 10.13160/ricns.2011.4.4.315 미소장
8 박용남, 김상욱, 권효식. (2017). 간단한 광학활성 측정장치의 개발 및 거울상 초과량 측정. 현장과학교육(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1(3), 346-357. DOI : 10.15737/ssj.11.3.201710.346 미소장
9 삼성디스플레이 (2020, November 25). 우리가 보는 대부분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편광된 빛’이다? 디스플레이‘편광판’에 숨겨진 과학 원리!https://news.samsungdisplay.com/25210/.1 (검색일:2022.04.04.) 미소장
10 이원재, 한효경, 김광준, 최인, 서규화. (2011). 광학이성질체의약품 개발에서 안전성과 유효성 평가에 대한 규제요건. 약학회지, 55(5), 426-431. 미소장
11 최선옥, 장성희, 엄소영, 정서정, 김주일, 정수연 (2005). 광학활성의약품 개발과정에서의 입체화학적 문제.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35(1), 57-63. DOI : 10.4333/KPS.2005.35.1.057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