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허수경, 『슬픔만한 거름이 어디 있으랴』, 실천문학사, 1988. | 미소장 |
2 | 허수경, 『혼자 가는 먼 집』, 문학과지성사, 1992. | 미소장 |
3 | 허수경, 『내 영혼은 오래되었으나』, 창작과비평사, 2001. | 미소장 |
4 | 허수경, 『청동의 시간 감자의 시간』, 문학과지성사, 2005. | 미소장 |
5 | 허수경, 『빌어먹을, 차가운 심장』, 문학동네, 2011. | 미소장 |
6 | 허수경, 『누구도 기억하지 않는 역에서』, 문학과지성사, 2016. | 미소장 |
7 | 허수경, 『나는 발굴지에 있었다』, 난다, 2018. | 미소장 |
8 | 허수경, 『가기 전에 쓰는 글들』, 난다, 2019. | 미소장 |
9 | 김지율,「허수경 시의 ‘고향’이라는 헤테로토피아의 변모와 서발턴 연구」, 『우리말글』 93, 우리말글학회, 2022, 259-292면. | 미소장 |
10 | 노태훈,「1990년대 한국소설의 소수성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22. | 미소장 |
11 | 박용국,「경남학: 역사로 본 경남지역」, 『경상문화연구』 31,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소, 2010, 80-125면. | 미소장 |
12 | 박소영,「허수경의 시와 산문에 내포된 고아성과 연대성 연구」, 『리터러시연구』 48, 한국리터러시학회, 2022, 453-487면. | 미소장 |
13 | 박은선,「허수경 시의 디아스포라 의식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90, 현대문학이론학회, 2022, 119-162면. | 미소장 |
14 | 박해현,「해설−마음의 관능, 세간의 혼몽」, 『혼자 가는 먼 집』, 문학과지성사, 1992, 96-109면. | 미소장 |
15 | 백선율, 이경수,「허수경 시의 공동체 의식 연구」, 『국제어문』 93, 국제어문학회, 2022, 139-173면. | 미소장 |
16 | 방승호,「허수경 시의 시간의식 연구」, 『어문연구』 99, 어문연구학회, 2019, 189-211면. | 미소장 |
17 | 서영채,「해설−나비와 잠자리 사이: 시를 쓰는 마음에 관하여」, 『빌어먹을, 차가운심장』, 문학동네, 2011, 140-153면. | 미소장 |
18 | 성민엽,「해설−고고학적 상상력과 시」, 『청동의 시간 감자의 시간』, 문학과지성사, 131-147면. | 미소장 |
19 | 송기원,「발문−저주와 은총의 사랑」, 『슬픔만한 거름이 어디 있으랴』, 실천문학사, 1988, 140-148면. | 미소장 |
20 | 송희복,「유종호의 시 비평에 나타난 토착어 지향성과 근현대시를 보는 시각」, 『비평문학』 49, 한국비평문학회, 2013, 231-260면. | 미소장 |
21 | 신경숙,「발문−시로 가는 길」, 『내 영혼은 오래되었으나』, 창작과비평사, 2001, 91-108면. | 미소장 |
22 | 신범순,「부서진 육체와 사랑의 공간: 채호기 허수경론」, 『문학과사회』 19, 문학과지성사, 1992, 1008-1020면. | 미소장 |
23 | 오형엽,「허수경 시의 구조화 원리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81, 현대문학이론 학회, 2020, 159-190면. | 미소장 |
24 | 유종호, 『비순수의 선언』, 신구문화사, 1963. | 미소장 |
25 | 이경수,「1980년대 여성시의 주체와 정동: 최승자 김혜순 허수경의 시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43, 한국여성문학회, 2017, 37-78면. | 미소장 |
26 | 이지은,「허수경 시의 기억 형상화 방식 연구」, 『여성문학연구』 55, 한국여성문학학회, 2022, 210-224면. | 미소장 |
27 | 이혜원,「‘나’의 자각에서 ‘나들’의 발견까지−젠더 관점으로 보는 허수경과 김선우의 시」, 『계간 서정시학』 76, 계간 서정시학, 2017, 12-28면. | 미소장 |
28 | 전명환, 이경수,「허수경의 언어공동체 의식과 방언시 작업의 의미」, 『우리문학연구』 72, 우리문학회, 2021, 455-489면. | 미소장 |
29 | 조연정, 『여성 시학, 1980~1990』, 문학과지성사, 2021. | 미소장 |
30 | Chakrabarty, Dipesh, 김택현, 안준범 역, 『유럽을 지방화하기』, 그린비, 2014. | 미소장 |
31 | Flusser, Vilém, 김성재 역, 『코무니콜로기: 코드를 통해 본 커뮤니케이션의 역사와 이론 및 철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 미소장 |
32 | Nixon, Rob, 김홍옥 역, 『느린 폭력과 빈자의 환경주의』, 에코리브르, 2020. | 미소장 |
33 | Naoki, Sakai, 후지이 다케시 역, 『번역과 주체』, 이산, 2005. | 미소장 |
34 | 양준영, <허수경 시인 “모국어 감각 잃어버릴까봐 소설 썼죠>,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life/article/2011121459901, 2011.12.15. (접속일: 2023.04.20.) | 미소장 |
35 | 오 은, <나 없는 겨울에도 눈이 내리겠지, 그리움 같은 눈이...>, ≪한겨레≫. 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873605.html, 2018.12.09. (접속일: 2023.04.2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