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긍정 정서 기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temperamental positive emotionality on depression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urgency and mindfulness : 부정 긴급성과 마음챙김의 조절된 매개효과 | 양아름, 최은실 | p. 1-19 |
|
|
도농복합지역 가정 및 학교 밖 청소년의 위기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risis experience of out of family and school drop adolescents in urban-rural complex area | 최재광, 한지현, 이유경, 송원영 | p. 21-50 |
|
|
부모소명 예측요인 탐색 = Examining predictors of parental calling : a focus on psychological, marital, and childrearing domains : 어머니의 내적 특성과 관계적 변인을 중심으로 | 황지민, 송은빈, 양수진 | p. 51-69 |
|
|
한국판 정신화 불균형 척도 타당화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entalization imbalances scale | 김은석 | p. 71-93 |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선미 (2011). 청소년사회안전망구축.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연구사업보고서, 171-198. | 미소장 |
2 | 고순청, 김다은, 이창한 (2016). 청소년 가출에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범죄학, 10(3), 37-64. | 미소장 |
3 | 곽금주, 박영신, 김의철 (1998). 한국 청소년의 생활만족도와 스트레스 형성요인:도시와 농촌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3(1), 79-101. | 미소장 |
4 |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9년 Wee 프로젝트 운영 기본 계획. 교육과학기술부. | 미소장 |
5 | 국가교육통계센터 (2021). 연도별 학업중단률. 국가교육통계센터. | 미소장 |
6 | 국가교육통계센터 (2021). 연도별 학업중단사유. 국가교육통계센터. | 미소장 |
7 | 국가교육통계센터 (2021). 지역규모별 학업중단률 및 중단사유. 진천: 국가교육통계센터. | 미소장 |
8 | 국가인권위원회. (2018). (국가인권위원회) 연간 보고서, 국가인원위원회 | 미소장 |
9 | 권재기, 나우열 (2017). 전국 고등학교 학생의학업중단에 대한 종단적 분석: 학업중단변화양상에 따른 유형탐색, 학교폭력 및학교상담의 변화추이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59), 209-234. | 미소장 |
10 | 금명자 (2008). 우리나라 학업중단청소년에대한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4(1), 299-317. | 미소장 |
11 | 김동일, 최수미 (2008). CYS-Net 상담서비스이용이 위기 청소년의 심리내적 및 환경적 위기수준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Asian Journal of Education), 9(3), 129-146. | 미소장 |
12 | 김동일, 윤현선, 서창원, 최수미 (2008). 위기청소년 통합지원체계 (CYS-Net) 운영평가 연구. 상담학연구, 9(4), 1769-1783. | 미소장 |
13 | 김세원 (2018). 청소년기 학교폭력 피해 및가해 경험이 초기 성인기 발달 결과에미치는 영향. 청소년문화포럼, 54, 39-66. | 미소장 |
14 | 김소연, 이순희, 안권순 (2018). 청소년의유해업소, 유해물질 및 유해매체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5(2), 447-475. | 미소장 |
15 | 김소영, 김지은 (2014). 학교안전망구축사업(Wee project) 의 효과 분석연구: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4(1), 115-133. | 미소장 |
16 | 김신영 (2019). 위기청소년 대응 정책 평가연구: 청소년 폭력과 CYS-net 대응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20(1), 123-150. | 미소장 |
17 | 김민정, 곽대경 (2021). 가정폭력 피해경험이남녀청소년 가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범죄심리연구, 17(1), 19-32. | 미소장 |
18 | 김영희, 최보영 (2015). 학업중단 청소년의심리사회적 적응과정. 한국청소년연구, 26(2), 145-175. | 미소장 |
19 | 김예린 (2018).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서비스네트워크의 효과성 영향요인 분석: 통합서비스의 관점에서. 한국조직학회보, 15(1), 101-135. | 미소장 |
20 | 김유경 (2015). 가족변화에 따른 가족갈등양상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015(10), 49-65. | 미소장 |
21 | 김재엽, 이지현, 정윤경 (2008). 청소년들의가정폭력노출경험이 학교폭력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 (26), 31-59. | 미소장 |
22 | 김지경, 김지연, 김정주, 정윤미, 이용해(2014). 학교 밖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개발연구: 지원서비스 전달체계 및 프로그램 구성을 중심으로(연구보고 2014-43). 여성가족부. | 미소장 |
23 | 김지연, 이인숙 (2008). 가정폭력 직· 간접경험이 청소년의 비행과 학교폭력에미치는 영향 분석-도시와 농촌의 비교를 중심으로. 피해자학연구, 16(1), 199-228. | 미소장 |
24 | 김지연, 좌동훈, 박세경, 한미경, 최수정(2015). 아동· 청소년· 가족 보호체계 개선방안 연구(연구보고 15-R1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미소장 |
25 | 김지혜 (2013). 가출의 비범죄화: 소년법상 가출 규정과 가정밖 청소년의 인권. 소년보호연구, 23, 35-60. | 미소장 |
26 | 김혜래, 최승희 (2009). 가족건강성과 학교체계요인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30), 159-182. | 미소장 |
27 | 김희진, 백혜정, 김은정, 이미영 (2018). 가정 밖 청소년의 실태와 자립지원 방안연구(연구보고 18-R0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미소장 |
28 | 노성덕, 배영태, 김호정, 김태성 (2011). 지역사회청소년통합지원체계 (CYS-Net) 발전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상담원. | 미소장 |
29 | 노성덕 (2016). CYS-Net 효과성 척도 개정 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미소장 |
30 | 대검찰청 (2021). 2021 범죄분석. 대검찰청. | 미소장 |
31 | 류정희 (2021). 아동· 청소년 보호서비스의 연속성과 통합성 강화 방안과 과제. 보건복지포럼, 2021(296), 7-21. | 미소장 |
32 | 박창남, 임성택, 전경숙, 김성식 (2001). 중도탈락 청소년 예방 및 사회적응을 위한 종합대책연구. 교육부. | 미소장 |
33 | 박하나, 김성은, 김현수 (2021).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중단 사유와 경험 이해: 학업중단 예방 정책에의 시사점. 한국청소년연구, 32(3), 261-288. | 미소장 |
34 | 백혜정, 송미경, 신정민 (2015).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정책 체계화 방안 연구(연구보고15-R09).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미소장 |
35 | 백혜정, 임희진, 송미경, 김양희 (2020). 청소년의 건강권 보장을 위한 정책방안 연구Ⅱ: 위기청소년(연구보고 20-R1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미소장 |
36 | 변숙영, 이수경, 이종범 (2009). 취약청소년의 직업능력향상을 위한 실태와 과제(연구보고 2009-12).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미소장 |
37 | 서미, 정익중, 이태영, 김지혜, 윤민지 (2018). 후기 청소년 심리· 정서적 지원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26(1), 207-232. | 미소장 |
38 | 서보람, 김광병 (2012). 가출 청소년의 가출팸경험에 대한 연구: 청소년쉼터 이용청소년을 대상으로. 소년보호연구, (18), 1-26. | 미소장 |
39 | 서보람, 김윤나 (2013). 가출팸 청소년의 생활경험에 관한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10(1), 19-48. | 미소장 |
40 | 서보람, 김윤나 (2018). 가출청소년의 사회복귀 경험 연구-단기청소년쉼터 퇴소 청소년을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16(4), 39-52. | 미소장 |
41 | 성윤숙 (2005). 학교중도탈락 청소년의 중퇴과정과 적응에 관한 탐색. 한국청소년연구, 16(2), 295-343. | 미소장 |
42 | 손병덕, 오혜정, 임희수 (2017). 잠재적 학교밖 청소년의 학교생활과 개인 심리, 우울감, 가정생활, 또래관계의 사이에서 사회적 지지와 상담복지지원 기관만족도의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4(11), 79-101. | 미소장 |
43 | 손재환, 김범구, 한유화, 김세진 (2020). 청소년쉼터 입소청소년 및 종사자 실태조사연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미소장 |
44 | 송아영 (2021). 코로나 19로 가려진 얼굴, 가정폭력. 월간 복지동향, (267), 51-53. | 미소장 |
45 | 여성가족부 (2014). 2014년 청소년유해환경 접촉 종합실태조사(연구보고 2014-52). 서울: 여성가족부. | 미소장 |
46 | 여성가족부 (2020). 2020년 청소년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 실태조사(연구보고 2020-22). 여성가족부. | 미소장 |
47 | 여성가족부 (2021). 2020 청소년백서. 서울:여성가족부. | 미소장 |
48 | 오경자, 배주미, 양재원 (2009). 위기청소년에대한 다중체계치료적 접근: 청소년동반자프로그램의 개입 효과성 연구. 청소년상담연구지, 17(1), 1-17. | 미소장 |
49 | 오새봄, 김승준, 김지웅, 오홍석, 임우영, 이나현 (2021). 대학병원에서 관찰한 코로나19가 소아청소년 자해에 미치는 영향. 정신신체의학, 29(2), 128-135. | 미소장 |
50 | 오성배, 김성식, 이유정 (2020). 사하구 위기청소년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사하구청 | 미소장 |
51 | 오해섭, 김진모, 김경준 (2006). 농촌청소년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분석. 한국농촌지도학회지, 13(1), 85-97. | 미소장 |
52 | 유서구 (2017). 가출팸 경험과 비행행동의 차이: 실천 대안의 탐색. 비판사회정책, (54), 52-80. | 미소장 |
53 | 유영재, 김나리, 최은하 (2015). 위기청소년 보호시설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4(4), 100-135. | 미소장 |
54 | 이병환 (2002). 학업중단 청소년의 사회적응 방안. [KEDI] 한국교육, 29(1), 175-196. | 미소장 |
55 | 이봉주, 민원홍, 김정은 (2014). 청소년기 사회적 위축 문제의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발달-맥락주의적 관점을 적용한탐색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21(8), 317-346. | 미소장 |
56 | 이상주, 전미숙 (2015). 가출청소년 문제현황과 대책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14), 75-92. | 미소장 |
57 | 이승주, 정병수 (2015).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학교폭력 가해행동의 관계: 공격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경찰학회보, 17(3), 223-250. | 미소장 |
58 | 이재삼 (2019). 청소년 기본법상 청소년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제고. 동북아법연구, 13(1), 195-232. | 미소장 |
59 | 이정민, 남아영 (2019). 학교부적응 청소년이경험한 ‘관계 맺기’양상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가정형 위 (Wee) 센터 입소생을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25(5), 687-710. | 미소장 |
60 | 이종석, 김은수, 정득 (2017). 농촌과 도시청소년의 자아정체성 영향요인에 대한비교연구: 학습적응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14(3), 1-25. | 미소장 |
61 | 이한우, 염동문 (2016). 잠재계층분석을 통한 청소년의 문제행동 경험유형에 관한 연구. 정서· 행동장애연구, 32(3), 257-274. | 미소장 |
62 | 이혜지, 이수정, 윤희진 (2015). 가정폭력피해 경험이 비행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9(2), 41-56. | 미소장 |
63 | 임유화, 이병욱 (2014). 특성화고 학생의 잠재적 학업 중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직업교육연구, 33(2), 1-16. | 미소장 |
64 | 장해영, 구자경 (2021). 친인척 위탁 청소년이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위기지원 받은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질적탐구, 7(3), 73-105. | 미소장 |
65 | 전경숙 (2006). 10 대 학업중단 청소년의근로실태에 관한 실증적 고찰 연구-가출경험 학업중단 청소년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14(1), 3-21. | 미소장 |
66 | 정경희, 최정호. (2020). 학교 밖 청소년들의청소년 지원센터 이용 경험에 관한 연구-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구 문화교류연구), 9(1), 245-271. | 미소장 |
67 | 정민, 선김, 현미, 유순덕 (2011). 잠재적 학업중단청소년의 학업지속 요인에 관한 질적분석.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19(1), 87-105. | 미소장 |
68 | 정성미, 이지연 (2014). 부모의 양육행동 및또래와의 부정적인 관계가 청소년의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인지왜곡의매개 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2(1), 5-18. | 미소장 |
69 | 정재훈, 권호인 (2017). 농촌지역 청소년의자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족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8(3), 5-28. | 미소장 |
70 | 정제영, 선미숙, 장선희 (2016). 중학생의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7(2), 325-352. | 미소장 |
71 | 정현주 (2015). 학교폭력 관련기관들의학교폭력 문제해결을 위한 연계경험 연구-CYS-Net․ 학교․ Wee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32, 247-279. | 미소장 |
72 | 조규필, 황순길, 김명찬 (2015). 학교 밖 청소년 건강증진 서비스 지원체계 구축방안.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23(2), 61-85. | 미소장 |
73 | 조민경, 조한익 (2019). 가정학대가 청소년의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과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6(1), 17-38. | 미소장 |
74 | 조혜영, 김영란 (2018). 학교 밖 청소년의학업 중단과 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참여 경험 연구. 미래교육연구, 8(3), 63-92. | 미소장 |
75 | 주영선, 정익중 (2020). 지역사회 범죄 수준과부모 양육태도가 비행친구관계에 미치는영향. 한국청소년연구, 31(2), 179-204. | 미소장 |
76 | 진혜민, 배성우 (2012). 청소년비행 관련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청소년복지연구, 14(2), 193-221. 청소년복지지원법 제2조 제4호. | 미소장 |
77 | 최경찬, 김기민, 박영균 (2016). 위기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와 치료담당자의 평가 비교분석-청소년기숙형종합치료재활센터 입교생을 대상으로. 재활심리연구, 23(1), 137-157. | 미소장 |
78 | 최지연, 김현철 (2016). 학업중단 청소년의특성 및 지원 방안 연구. 청소년학연구, 23(3), 103-132. | 미소장 |
79 | 추주희 (2019). 소년 혐오인가 사회 위기인가?: 위기청소년 담론에 대한 비판적 시론. 경제와사회, (124), 127-161. | 미소장 |
80 | 통계청 (2021). 장래인구추계. 대전: 통계청 | 미소장 |
81 | 허재경, 김유숙 (2005). 부모애착안정성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4), 483-495. | 미소장 |
82 | 홍나미 (2012). 청소년 자살생각에 대한 부모학대와 또래괴롭힘의 영향에서 대인관계내재화와 절망감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 64(1), 151-175. | 미소장 |
83 | 황매향, 최희철, 임효진 (2016). 청소년기의 또래애착, 자존감, 삶의 만족 사이의 종단적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Asian Journal of Education), 17(3). 195-220. | 미소장 |
84 | 황순길, 전연진, 이상균, 김태성, 허미경, 김남희, 김보람 (2013). 시. 도 및 시. 군. 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운영모형 개발-CYS-Net 중추기관 역할 중심.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미소장 |
85 | 황순길, 김동민, 김화연 (2015). 청소년위기실태조사-1차년도(문항개발)-. 부산: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 미소장 |
86 | Akers, R. L. (1998). Social learning and social structure: A general theory of crime and deviance. Boston: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87 | Amato, P. R. (2001). Children of divorce in the 1990s: an update of the Amato and Keith (1991) meta-analysis. J ournal of family psychology, 15(3), 355-370. | 미소장 |
88 | Baglivio, M. T., & Epps, N. (2016). The interrelatednes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mong high-risk juvenile offenders. Youth Violence and Juvenile Justice, 14(3), 179-198. | 미소장 |
89 | Burt, S. A., Barnes, A. R., McGue, M., & Iacono, W. G. (2008). Parental divorce and adolescent delinquency: ruling out the impact of common genes. Developmental psychology, 44(6), 1668-1677. | 미소장 |
90 | Guba, E. G., & Lincoln, Y. S. (1981).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Jossey-Bass. | 미소장 |
91 | Engels, R. C., Deković, M., & Meeus, W. (2002). Parenting practices, social skills and peer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30(1), 3-17. | 미소장 |
92 | Giorgi, A. (1985). P 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Duquesn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93 | Giorgi, A. (1997). The theory, practice, and evalu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 J ournal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y, 28(2), 235-260. | 미소장 |
94 | Giorgi, A. P., & Giorgi, B. M. (2003).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method. In P. Camic, J. E. Rhodes, & L. Yardley (Eds.),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pp. 242–273).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미소장 |
95 | Hirschi, T. (1969). Causes of delinquency. Berkeley, CA: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미소장 |
96 | Imran, N., Zeshan, M., & Pervaiz, Z. (2020). Mental health considerations for children & adolescents in COVID-19Pandemic. Pakistan journal of medical sciences, 36(COVID19-S4), S67-S72. | 미소장 |
97 | Joyce, H. D., & Early, T. J. (2014). The impact of school connectedness and teacher support on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ts: A multilevel analysi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9, 101-107. | 미소장 |
98 | Maxwell, K. A. (2002). Friends: The role of peer influence across adolescent risk behavio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1(4), 267-277. | 미소장 |
99 | Morton, B. M. (2017). Growing up fast:Implications for foster youth when independence and early adulthood collide.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82, 156-161. | 미소장 |
100 | Mwangangi, R. K. (2019). The role of family in dealing with juvenile delinquency. Open Journal of Social Sciences, 7(3), 52-63. | 미소장 |
101 | Noh, D., & Kim, E. (2021). Experiences of Family Conflict in Shelter-Residing Runaway Youth: A Phenomenological Study. J ournal of Family Issues, 42(10), 2335-2352. | 미소장 |
102 | Peled, E., & Cohavi, A. (2009). The meaning of running away for girls. Child abuse & neglect, 33(10), 739-749. | 미소장 |
103 | Pössel, P., Burton, S. M., Cauley, B., Sawyer, M. G., Spence, S. H., &Sheffield, J. (2018). Associ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from family, friends, and teachers and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7(2), 398-412. | 미소장 |
104 | Rudasill, K. M., Pössel, P., Winkeljohn Black, S., & Niehaus, K. (2014). Teacher support mediates concurrent and longitudinal associations between temperament and mild depressive symptoms in sixth grad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4(6), 803-818. | 미소장 |
105 | Safyer, A. W., Thompson, S. J., Maccio, E. M., Zittel-Palamara, K. M., & Forehand, G. (2004). Adolescents' and parents' perceptions of runaway behavior: Problems and solutions. Child and Adolescent Social Work Journal, 21(5), 495-512. | 미소장 |
106 | Størksen, I., Røysamb, E., Moum, T., & Tambs, K. (2005). Adolescents with a childhood experience of parental divorce: a longitudinal study of mental health and adjustment. J ournal of adolescence, 28(6), 725-739.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5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