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임오군란 직후 청국의 간섭 강화에 따른 조선의 대영(對英) 관계 정립 추이 : 민영익과 박영효·김옥균의 조청 속방관계에 대한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 The process of Korea's relationship with Britain following the Qing Dynasty's increased interference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the Imo Rebellion : focusing on Min Young-ik, Park Young-hyo, Kim Ok-kyun's differences in perceptions on [t]he Korea-Qing tributary relationship / 한승훈 1
[목차] 1
국문 초록 1
Ⅰ. 들어가며 2
Ⅱ. 임오군란 직후 조선의 문호개방정책 공고화 시도 7
1) 문호개방에 대한 흥선대원군의 긍정적 발언 7
2) 군란 진압 이후 조선 정부의 문호개방정책 유지 통보 12
Ⅲ. 민영익과 박영효·김옥균의 조청 속방관계 인식 차이 17
1) 민영익의 의례적 조청 속방관계 복원 추구 23
2) 박영효·김옥균의 조청 속방관계 청산 및 독립 추구 28
Ⅳ. 나오며 34
참고문헌 36
Abstract 38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 Records created and inherited by the Foreign Office in UK 17(Political and Other Departments: General Correspondence before 1906, China) : FO 17/899 | 미소장 |
2 | - Records created and inherited by the Foreign Office in UK 46(Political and Other Departments: General Correspondence before 1906, Japan) : FO 46/287, FO 46/288 | 미소장 |
3 | - Records created and inherited by the Foreign Office in UK 405(China and Taiwan Confidential Print) : FO 405/33 | 미소장 |
4 | 근대한국외교문서 편찬위원회, 『근대한국외교문서』 제5권 조영수호통상조약, 동북아역사재단, 2012 | 미소장 |
5 | 근대한국외교문서 편찬위원회, 『근대한국외교문서』 제7권 임오군란,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3 | 미소장 |
6 | 『사화기략(使和記略)』 | 미소장 |
7 | 『고종실록』 | 미소장 |
8 | 『朝日新聞』 | 미소장 |
9 | 강현정, 「박영효의 외교활동 연구―1882년 수신사 활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미소장 |
10 | 김용구, 『세계관 충돌과 한말 외교사, 1866~1882』, 문학과지성사, 2001 | 미소장 |
11 | 김원모, 『韓美修交史: 朝鮮報聘使의 美國使行(1883)』, 철학과 현실사, 1999 | 미소장 |
12 | 김종학, 『개화당의 비밀외교』 일조각, 2017 | 미소장 |
13 | 김현철, 「박영효(朴泳孝)의 ‘近代國家 구상’에 관한 연구―개화기 문명개화론자에 나타난 傳統과 近代를 중심으로―」, 서울대 외교학과 박사학위논문, 1999 | 미소장 |
14 | 노대환, 「閔泳翊의 삶과 정치활동」, 『한국사상사학』 18, 2002 | 미소장 |
15 | 박은숙, 『갑신정변 연구』, 역사비평사, 2005 | 미소장 |
16 | 이효정, 「19세기 후반 조선 지식인의 독립 국가 지향 – 박영효의 『使和記略』을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 52, 2017 | 미소장 |
17 | 최덕수, 「『使和記略』(1882) 연구」, 『史叢』50, 1999 | 미소장 |
18 | 최문형, 「列强의 對韓政策에 대한 一硏究」, 『역사학보』 92, 1881 | 미소장 |
19 | 河宇鳳, 「開港期 修信使行에 관한 一硏究」『韓日關係史硏究』10, 1999 | 미소장 |
20 | 한승훈, 「조선의 불평등조약체체 편입에 관여한 영국외교관의 활동과 그 의의(1882~1884)」, 『한국근현대사연구』 52, 2010 | 미소장 |
21 | 한철호, 「개화기 朴泳孝의 『使和記略』에 나타난 일본 인식」, 『韓國學論集』 44, 2008 | 미소장 |
22 | Jones, F. C., 1935, “Foreign diplomacy in Korea 1866-1894”. PhD. in Harvard University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