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1
중학교 도덕에 나타난 이념 교육으로서의 현대사 = Contemporary history education as ideology education / 신항수 1
[목차] 1
국문 초록 1
Ⅰ. 머리말 2
Ⅱ. 도덕과 현대사 교육의 구조 5
Ⅲ. 이념 교육을 위한 현대사 내러티브의 형성 9
1. 1차 교육과정기 도의교육과 현대사 서술 9
2. 2차 교육과정기 반공도덕 교육과 현대사 서술 12
Ⅳ. 도덕 교과 현대사 교육의 제도화 19
1. 3차 교육과정 도덕과의 현대사 교육 19
2. 도덕과 현대사 교육 내러티브의 변화 25
Ⅴ. 맺음말 28
참고문헌 31
Abstract 34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한승조, 「국민 윤리 교육의 회고와 전망」, 『윤리연구』 10, 1980. | 미소장 |
2 | 정미숙, 「反共敎育의 變遷科程에 關한 硏究 –中學校 道德敎科書의 反共單元을 中心으로-」, 1981,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 미소장 |
3 | 朴和緖, 「中學校 道德敎科書 分析을 通한 國民精神敎育 變遷에 관한 硏究」,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민윤리교육 전공 석사학위논문, 1983. | 미소장 |
4 | 남궁달화 외, 『초·중학교 도덕교육내실화를 위한 기초연구 : 문제점 진단 및 개선방향 시사(RR84-19)』, 한국교육개발원, 1984. | 미소장 |
5 | 서울대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연구위원회, 『제7차 초·중·고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연구』, 교육부, 1997 | 미소장 |
6 | 정세구, 「초·중등 도덕·윤리 교육 반세기의 회고 및 반성과 21세기 초의 과제」, 『도덕윤리과교육』12, 2000 | 미소장 |
7 | 함종규, 『한국교육과정 변천사 연구』, 교육과학사, 2003. | 미소장 |
8 | 박병기, 「도덕 교과와 철학, 그 연속성과 불연속성: 홍윤기의 ‘도덕․윤리의 철학귀속성과 도덕․윤리교육의 정체성’에 대한 도덕 교육론적 응답」, 『사회와 철학』, 제14호, 2007. | 미소장 |
9 | 박진동, 「해방후 현대사 교육 내용 기준의 변천과 국사 교과서 서술」, 『역사학보』205, 2010. | 미소장 |
10 | 김정인, 「국정 ‘국사’ 교과서와 검정 ‘한국사’ 교과서의 현대사 체계와 내용 분석」, 『역사와 현실』92, 2014. | 미소장 |
11 | 정경희·강규형, 「2013 검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서술 분석 –교육부의 수정 과정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54, 2015. | 미소장 |
12 | 김수미, 『국가수준 대학입시의 선다형 국사 문항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 미소장 |
13 | 신항수, 「1980년대 유사역사학의 확산과 그 성격」, 『역사와 실학』75, 2021. | 미소장 |
14 | 「국사교육의 강화를 위한 건의」, 『교육평론』1972.8. | 미소장 |
15 | 『동아일보』, 「道義科目의 新設」,1954. 2.7. | 미소장 |
16 | 문교부, 『문교부령 제45호 별책 단기 4288년 8월 1일 제정 중학교 교과과정』, 1955. | 미소장 |
17 | 문교부, 『문교부령 제46호 별책 단기 4288년 8월 1일 제정 고등학교 및 사범학교 교과과정』, 1955. | 미소장 |
18 | 교육부,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1]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2022. | 미소장 |
19 | 역사교육연구회, 『중등 국사<중학교 1~2학년용>』, 정음사, 1959. | 미소장 |
20 | 안호상, 『정치와 사회』, 정음사, 1956. | 미소장 |
21 | 유진오, 『정치와 사회』, 일조각, 1956. | 미소장 |
22 | 홍이섭, 『우리 나라 문화사<고등 국사>』, 정음사, 1957. | 미소장 |
23 | 문교부, 『중학 도의 I』, 문교부, 1958. | 미소장 |
24 | 김증한, 『새로운 정치와 사회』 일한도서출판사, 1959. | 미소장 |
25 | 문교부, 『민주통일의 길』, 문교부, 1965. | 미소장 |
26 | 문교부, 『승공통일의 길』, 문교부, 1965. | 미소장 |
27 | 이원순 외, 『새로운 중학 사회』, 정음사, 1970. | 미소장 |
28 | 문교부, 『(중학교용) 승공통일의 길 1』, 문교부, 1973. | 미소장 |
29 | 문교부, 『(중학교용) 승공통일의 길 2』, 문교부, 1973. | 미소장 |
30 | 문교부, 『(중학교용) 승공통일의 길 3』, 문교부, 1973. | 미소장 |
31 | 문교부, 『중학교 국사』, 문교부, 1975. | 미소장 |
32 | 한국교육개발원, 『중학교 도덕 1(하)』, 문교부, 1979. | 미소장 |
33 | 한국교육개발원, 『중학교 도덕 2(하)』, 문교부, 1979. | 미소장 |
34 | 한국교육개발원, 『중학교 도덕 3(하)』, 문교부, 1979. | 미소장 |
35 | 한국교육개발원, 『(중학교) 도덕 1)』, 문교부, 1988. | 미소장 |
36 | 국사 편찬 위원회·1종 도서 연구 개발위원회, 『중학교 국사(하)』, 문교부, 1990. | 미소장 |
37 | 한국교육개발원, 『중학교 도덕 1』, 문교부, 1990. | 미소장 |
38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중학교 도덕 2 교사용 지도서』, 교육부, 1996. | 미소장 |
39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1종 도서 「도덕·윤리」 개발 위원회, 『중학교 도덕2』, 교육부, 1998, | 미소장 |
40 | 문교부, 『반공·도덕 생활 지도 지침』, 문교부, 1966. | 미소장 |
41 | 문교부, 『반공·도덕 생활 지도 지침』, 문교부, 1966. | 미소장 |
42 | 교학도서편집부,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학도서, 1973. | 미소장 |
43 | 문교부, 『중·고등학교 교사용 교과용 도서 국사』, 문교부, 1974. | 미소장 |
44 | 한국교육개발원, 『중학교 도덕1 교사용 지도서』, 한국교육개발원, 1988. | 미소장 |
45 | 장영환 편, 『학습지도안연구 9-1도덕(승공통일의 길)』, 裕亞出版社, 1975. | 미소장 |
46 | 이철규, 『1997년도(교사용) 학습지도안 연구』, 유아출판사, 1997.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8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