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중국 문헌에서 삽입구는 단순히 문장의 보충이나 설명에서 유래하였지만 소설의 발달과 함께 다른 양상으로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백화 화본소설에서는 단순한 삽입의 개념을 넘어 문학의 구성체계와 작품의 예술성을 가미한 미학적 개념까지 수용하였다.
특히 『삼국연의』는 다양한 삽입구의 출현과 첨삭과정을 거쳐 발전하였는데 그중 가장 큰 변화의 판본으로 삼국지평화본·가정본·이탁오 비평본·모종강 통행본(一名 모종강본)을 꼽을 수 있다. 삽입구는 크게 운문류와 산문류로 분류하였는데, 삼국지평화본에서는 총 45개의 삽입구가 보이고, 嘉靖本에서는 총 542개로 대폭 증가하였다. 또 李卓吾 批評本에 이르러서는 총 742개로 가장 많은 삽입구가 등장하고 있다. 그 후 모종강본에서는 총 455개로 다시 크게 정돈하며 문학성은 물론 예술성까지 크게 제고시켰다. 모종강본의 揷入句는 총 455개로 운문류는 [詩:195·詞:2·謠言:1·童謠:5·歌:10·曲:1·賦:2·對句:120] 총 336개가 나오며, 산문류에는 [詔書:9·榜文:3·書簡:63·世譜:1·碑文:1·上疏文:3·冊文:1·祭文:6·告示文:1·檄文:4·策文:1·表文:21·製作法:2·占卦:3] 총 119개가 나온다.
모종강본 120회 가운데 삽입구가 가장 많은 곳은 10개(제37회/제119회)가 나오며 삽입구가 단 1개인 곳은 총 11곳으로 확인된다. 또 120회 가운데 제1회와 제120회만 對句가 아닌 온전한 詩로 마무리하였고, 제1회는 칠언절구로 제120회는 古風의 長篇 散場詩로 마무리하였다. 나머지 제2회부터 119회까지 총 118곳에는 모두 對句法을 사용하여 마무리하였는데 대부분의 對句는 이전의 내용을 요약하거나 이후의 사건을 암시하는 형태로 활용하였다. 그리고 桃園結義 宣言文·七步詩·隆中歌·短歌行·銅雀臺賦·出師表 등 유명한 명언명구는 이미 나관중의 가정본부터 삽입되었고 후에 모종강에 의해서 開場詞 臨江仙과 같은 일부만 보완되었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建安虞氏 撰, 1993『三國志平話』, 中國文化圖書公司印行. | 미소장 |
2 | 古本小說集成編輯委員會 編, 1984 『古本小說集成』, 上海古籍出版社. | 미소장 |
3 | 嘉靖本, 1522 『三國志通俗演義』, 北京大學 所藏本 (File本 사용). | 미소장 |
4 | 李卓吾本, 明末 『李卓吾先生批評三國志』, 日本早稲田大学圖書館 所藏本 (File本 사용). | 미소장 |
5 | 毛宗崗本, 淸初 『四大奇書第一種』, 日本國文學研究資料館 所藏本 (File本 사용). | 미소장 |
6 | 蒲松齡 撰, 1984 『聊齋志異』, 臺灣 漢京文化事業有限公司. | 미소장 |
7 | 羅貫中 著․劉世德 鄭銘 點校 2006 『三國演義』 中華書局. | 미소장 |
8 | 王嘉 著․김영지 譯, 2008 『拾遺記』, 지만지. | 미소장 |
9 | 김영문 옮김, 『삼국지평화』, 교유서가, 2020년. | 미소장 |
10 | 瞿佑 原著․윤춘년 訂正․임기 句解․정용수 譯註, 2003 『剪燈新話句解譯註』, 푸른사상. | 미소장 |
11 | 胡士瑩, 1983 『話本小說槪論』, 臺灣 丹靑圖書公司. | 미소장 |
12 | 蕭相愷, 1997 『宋元小說史』, 浙江古籍出版社. | 미소장 |
13 | 楊 義, 1995 『中國古典小說史論』, 中國社會科學出版社. | 미소장 |
14 | 鄭鐵生, 2000 『三國演義敍事藝術』, 中國 新華出版社. | 미소장 |
15 | 鄭鐵生, 1995 『三國演義詩歌鑑賞』, 中國 北京出版社. | 미소장 |
16 | 정철생 지음․정원기 옮김, 2007 『삼국지 시가 감상』, 현암사. | 미소장 |
17 | 徐傳武 지음․정원기 옮김, 2005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삼국지 상식 백가지』, 현암사. | 미소장 |
18 | 沈伯俊 校註, 1993 『三國志通俗演義』, 華山文藝出版社. | 미소장 |
19 | 沈伯俊, 2002 『三國演義新探』, 中國四川人民出版社. | 미소장 |
20 | 譚帆 2011 『中國小說評點硏究』, 華東師範大學出版社. | 미소장 |
21 | 정범진, 1981 『唐代傳奇小說選』, 범학도서. | 미소장 |
22 | 정원기 역, 2000 『三國志平話』, 청양출판사. | 미소장 |
23 | 정원기 역, 2008 『정역삼국지』, 현암사. | 미소장 |
24 | 李鎭國, 1994 「三國演義 毛批本의 詩詞 改訂考」, 『曉大論文集』 제48집. | 미소장 |
25 | 李鎭國, 1999 「三國演義의 詩歌 運用에 관하여」, 『중국문학』 제32집. | 미소장 |
26 | 姜在仁 · 權鎬鐘, 2017 「三國演義 詩詞 編入過程 硏究」, 『中國語文學誌』 제58집. | 미소장 |
27 | 옥 주, 2022 「소설 삼국지의 변화양상 연구」,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미소장 |
28 | 박종우, 2003 「傳奇小說 揷入詩의 기능과 성격」, 『韓國詩歌硏究』 제13집. | 미소장 |
29 | 鄭鐵生, 2005 「論三國演義不同版本中周靜軒詩」, 『廈門敎育學院學報』 第8卷 第2期. | 미소장 |
30 | 鄭鐵生, 2005 「周静軒詩在三國演義版本中的演變和意義」, 『明清小说研究』 第78卷 第4期. | 미소장 |
31 | 安憶涵, 2016 「毛本三國演義中周靜軒詩硏究」, 『河北北方學院學報』 第32卷第1期. | 미소장 |
32 | 李萬鈞, 1996 「詩在中國古典長篇小說中的功能」, 『文史哲』 第3期. | 미소장 |
33 | 胡燕, 2009 「三國演義論讚詩新論」, 『西華師範大學學報』 第1期. | 미소장 |
34 | 楊小平, 2009 「淺論三國演義中的詩歌」, 『明淸小說硏究』 第4期. | 미소장 |
35 | 裴雲龍, 2011 「新論三國志演義中論贊詩文的變化」, 『明淸小說硏究』 第1期.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대학01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