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고대 그리스-로마 도덕 철학은 일종의 영혼돌봄이고, 철학적 담론은 이 영혼돌봄의 주요 매개이다. 영혼의 인도자는 철학적 학설을 학생의 영혼에 전달함으로써 영혼돌봄을 수행하였다. 철학적 학설들은 대화와 변증을 통해서 전달되었는데, 이것은 철학적 영혼돌봄의 성패가 영혼 인도자의 설득 능력에 달려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동체의 문화적 관습의 운반 장치로서 토포스는 학생을 설득하는 데 효과적인 방식이다. 『영혼의 감정 진단과 치료에 관하여』에서 갈레노스는 분노의 정의, 분노를 치료해야 하는 이유, 분노를 치료하는 방법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 분노의 토포스를 사용한다. 플라톤의 영혼 삼분설과 영혼 일원론에 근거하여 고안된 스토아-에피쿠로스철학의 분노 치료법을 결합한다는 점에서 갈레노스의 토포스 사용은 독특하다. 본 논문은 분노의 토포스를 설명하고 갈레노스가 그것을 사용하는 방식을 분석하여 영혼돌봄의 영역에서 분노 토포스의 기능을 밝히고, 갈레노스가 스토아-에피쿠로스주의의 분노 치료법을 플라톤의 영혼 모델을 실천적으로 적용한 결과로 소개하는 이유를 설명하고자 시도한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창세기 1-2장 내의 에레츠(אֶרֶץ)와 아다마(אֲדָמָה)에 관한 연구 = 'Erets(אֶרֶץ)' and 'Adamah(אֲדָמָה)' in Genesis 1-2 : regarding Kairos and Chronos : 카이로스 및 크로노스와 관련하여 변경욱 p. 7-37

고대 이스라엘 초기 예언자들의 역할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roles of the pre-classical prophets in ancient Israel 박해령 p. 39-67

히포크라테스의 『머리 부상에 대하여』에 보이는 두개골 천공술과 그리스 조각 기술 비교 = Trepanation described in Hippocrates' On the Head Wounds and Greek sculptural technique 이상덕 p. 69-100

헬레니즘 시대 유대와 스파르타의 조우 = Jewish and Spartan encounters in the Hellenistic period : 유대적 상황을 중심으로 최혜영 p. 101-144

'제3의 종족'으로서 초기 기독교인들 = The early Christians as the 'third race' 정기문 p. 145-174

고대 로마 물 공급의 공공성과 트라야누스 수로(Aqua Traiana) = Water as a public resource in ancient Rome and Aqua Traiana 신명주 p. 175-212

철학하는 의사 갈레노스의 영혼돌봄(psychagogy)에 관하여 = On the psychagogy of the philosopher-physician galen : based on the topos of anger in 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Soul's Emotions (De propriorum animi cuiuslibet affectuum dignotione et curatione) : 『영혼의 감정 진단과 치료에 관하여 (De propriorum animi cuiuslibet affectuum dignotione et curatione)』에 나타난 분노의 토포스(τόπος)를 중심으로 박정훈 p. 213-248

참고문헌 (4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갈레노스,『나의 책들에 관하여』 미소장
2 갈레노스,『영혼의 감정 진단과 치료에 관하여』 미소장
3 세네카,『분노에 관하여』 미소장
4 아리스토텔레스,『수사학』,『니코마코스 윤리학』,『변증론』 미소장
5 키케로,『투스쿨란 논쟁』 미소장
6 플라톤.『국가』 미소장
7 플루타르코스,『분노 억제에 대하여』 미소장
8 필로데모스,『분노에 대하여』 미소장
9 Alieva, O. "Protreptic: A Protean Genre." In When Wisdom Calls: Philosophical Protreptic in Antiquity, edited by O. Alieva, A. Kotze, and S. Van der Meeren, 29-45. Turnhout: Brepols, 2018. 미소장
10 Allen, J. "Galen." In The Routeledge Companion to Ancient Philosophy, edited by J. Warren and F. Sheffield, 1340-1372, New York, London: Routledge, 2014. 미소장
11 Aune, D. E. The Westminster Dictionary of New Testament and Early Christian Literature and Rhetoric Louisville, London: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03. 미소장
12 Brennan, T. "The Old Stoic Theory of Emotions." In The Emotions in Hellenistic Philosophy, edited by J. Sihlova and T. Engberg-Pedersen, 21-70, Dordrecht: Springer Science+Business, 1998. 미소장
13 Broadie, S. "Ethics." In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4th ed., edited by S. Hornblower, A. Spawforth, & E. Eidinow, 538,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미소장
14 Collins II, J. H. Exhortation to Philosophy: The Protreptics of Plato, Isocrates and Aristotl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미소장
15 Corbett, E. P. J. and Connors, R. J. Classical Rhetoric for the Modern Student, 4th ed., New Yor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미소장
16 Curtius, E. R. European Eietrature and the Latin Middle Ages. Translated by W. R. Trask, New York: Bollingen Foundation, 1953. 미소장
17 Fortenbaugh, W. W. "Aristotle: Emotion and Moral Virtue", Arethusa 2/2 (1969): 163-177. 미소장
18 Foucault, M. The Care of the Self: Volume 3 of The History of Sexuality. Translated by R. Hurley, New York: Pantheon Books, 1986. 미소장
19 Gill, C. Personality in Greek Epic, Tragedy, and Philosophy: The Self in Dialogu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미소장
20 Gill, C., The Structured Self in Hellenistic and Roman Though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 2006. 미소장
21 Gill, C., Naturalistic Psychology in Galen and Stoicism, Oxfor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미소장
22 Gill, C., "Philosophical Psychological Therapy: Did It Have Any Impact on Medical Practice?" In Mental Illness in Ancient Medicine, edited by C. Thumiger and P. N. Singer, 365-380, Leiden: Brill, 2018. 미소장
23 Gould, J. B. The Philosophy of Chrysippus, Leiden: E. J. Brill, 1970. 미소장
24 Graver, M. Cicero on the Emotions: Tusculan Disputations 3 and 4, Chicago,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2. 미소장
25 Hadot, I. Seneca und die griechisch-romische Tradition der Seelenleitung, Berlin: Walter de Gruyter, 1969. 미소장
26 Hadot, I. "The Spiritual Guide." In Classical Mediterranean Spirituality, edited by A. H. Armstrong, 436-459, London: Routeledge & Keagan Paul, 1986. 미소장
27 Hadot, P. Philosophy as a Way of Life. Translated by A. Davidson, Oxford, MA: Blackwell, 1995. 미소장
28 Hadot, P. What is Ancient Philosophy? Translated by M. Chase, MA, Lond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2. 미소장
29 Hadot, P. "The Figure of the Sage in Greek and Roman Antiquity." In The Selected Writings of Pierre Hadot: Philosophy as Practice. Translated by M. Sharpe and F. Testa, 185-206, New York: Bloomsbury, 2020. 미소장
30 Hankinsoin, R. J. "Actions and Passions: Affectoin, Emotion, and Moral Self-Management in Galen's Philosophical Psychology." In Passions and Perceptions, edited by J. Brunschwig and M. C. Nussbaum, 184-222,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미소장
31 Harris, W. V. Restraining Rage: The Ideology of Anger Control in Classical Antiquity, MA, London: Harvard University Press, 2001. 미소장
32 Knuuttila, S. and Sihlova, J. "How the Philosophical Analysis of Emotions was Introduced." In The Emotions in Hellenistic Philosophy, edited by J. Sihlova and T. Engberg-Pedersen, 1-19, Dordrecht: Springer Science + Business, 1998. 미소장
33 Lausberg, H. Handbook of Literary Rhetoric: A Foundation for Literary Study. Translated by M. T. Bliss, A. Jansen and D. Orton, Leiden: Brill, 1998. 미소장
34 Long, A. A. Epictetus: A Stoic and Socratic Guide to Lif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미소장
35 Lorenz, H. "Plato on the Soul." In The Oxford Handbook of Plato, edited by G. Fine, 243-266,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미소장
36 Lutz, C. A. Unnatural Emotions: Their Challenge to Western Theor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8. 미소장
37 Malherbe, A. J. "The Christianization of a Topos", Novum Testamentum 38/2(1996): 123-135. 미소장
38 Moss, J. "Shame, Pleasure, and he Divided Soul." In Oxford Studies in Ancient Philosophy, vol. XXIX, edited by D. Sedley, 137-170,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미소장
39 Nussbaum, M. C. The Therapy of Desire: Theory and Practice in Hellenistic Ethic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9. 미소장
40 Perelman, C. H. and Olbrechts-Tyteca, L. The New Rhetoric: A Treatise on Argumentation. Translated by J. Wilkinson and P. Weaver, Notredame, London: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69. 미소장
41 Pernot, L. "Lieu et lieu commun", Bulletin de l Association Guilliaume Bude 1/3 (1986): 253-284. 미소장
42 Rabbow, P. Seelenfuhrung: Methodik der Exerzitien in der Antike, Munchen: Kosel-Verlag, 1954. 미소장
43 Roskam, G. On the Path to Virute: The Stoic Doctrine of Noral Progress and Its Reception in (Middle-) Platonism, Leuven: Leuven University Press, 2005. 미소장
44 Sellars, J. Stoicism, Durham: Acumen, 2006. 미소장
45 Sellars, J. The Art of Living: The Stoics on the Nature and Function of Philosophy, 2nd ed., London, New York: Bloomsbury, 2009. 미소장
46 Solomon, R. C. "Getting Angry: The Jamesian Theory of Emotion in Anthropology." In Culture Theory: Essays on Mind, Self, and Emotion, edited by R. A. Shweder and R. A. Levine, 238-254,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미소장
47 Thom, J. C. ""The Mind is Its Own Place": Defining the Topos." In Early Christianity and Classical Culture: Corperative Studies in Honor of Abraham J. Malherbe, Novum Testamentum Supplements 110, edited by J. T. Fitzgerald, T. H. Olbricht, and L. M. White, 555-573, Leiden: Brill, 2003. 미소장
48 Torri, P. "The Telos of Assimilation to God and the Conflict between Theoria and Praxis in Plato and the Middle Platonism." In Thinking, Knowing, Acting: Epistemology and Ethics in Plato and Ancient Platonism, edited by M. Bonazzi, F. Forcignano and A. Ulacco, 228-250, Leiden: Brill, 2019. 미소장
49 Wierzbicka, A. Emotions across Languages and Cultures: Diversity and Universal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