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Andersen, Hans Christian. Les Souliers rouges et autres contes, édité par les Bourlapapey, traduit par Ernest Grégoire et Louis Moland, bibliothèque numérique romande, [WEB], www.ebook-bnr.com, 접속일: 2023.03.20. |
미소장 |
2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인어공주』, 『안데르센 동화집 1』, 빌헬름 페테르센 외 그림, 햇살과 나무꾼 옮김, 시공주니어, 2010, p. 138-181. |
미소장 |
3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빨간 구두』, 『안데르센 동화집 2』, 빌헬름 페테르센 외 그림, 햇살과 나무꾼 옮김, 시공주니어, 2010, p. 320-332. |
미소장 |
4 |
Le Clézio, J.-M.G. Histoire du pied et autres fantaisies, Paris, Gallimard, 2011 ; 『발 이야기 그리고 또다른 상상』, 정희경 옮김, 문학동네, 2017. |
미소장 |
5 |
Bédrane, Sabrinelle. 《Histoire du pied et autres fantaisies. Déplacements génériques》, Roman 20-50, Vol. 55, n° 1, 2013, p. 25-36. |
미소장 |
6 |
Bénichou, Jean, & Libotte, Marc. Le Livre du pied et de la marche, Odile Jacob, 2002. |
미소장 |
7 |
Deleuze, Gilles & Guattari, Félix. Mille plateaux. Capitalisme et schizophrénie 2, coll. « Critique », Minuit, 1980 ; 『천 개의 고원』, 김재인 옮김, 새물결, 2001. |
미소장 |
8 |
Freud, Sigmund. 『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김정일 옮김, 열린책들, 2007(1996). |
미소장 |
9 |
Rossi, William A.. 『에로틱한 발』, 이종인 옮김, 그린비, 2002. |
미소장 |
10 |
Roussel-Gillet, Isabelle. 《En dialogue avec Jean-Marie Gustave Le Clézio. Sous le signe de la fantaisie》, Roman 20-50, Vol. 55, n° 1, 2013, p. 131-146. |
미소장 |
11 |
Schaffner, Alain. 《Réécriture, intertextualité et romanesque》, entretien mené par Sabrinelle Bedrane [le 8 février 2018], Romanesques, Romances. Les Cahiers J.-M.G. Le Clézio, n° 11, Passage(s), 2018, p.31-36. |
미소장 |
12 |
Wullschlager, Jackie. 『안데르센 평전』, 전선화 옮김, 미래M&B, 2006. |
미소장 |
13 |
Zipes, Jack. Hans Christian Andersen: The Misunderstood Storyteller, New York, Routledge, 2005. |
미소장 |
14 |
김나연, 「안데르센 동화에 나타나는 잔인성, 선정성, 폭력성, 그리고 추상적 개념에 대한 완역본과 아동도서 간 비교 - 『미운 오리 새끼』와 『인어 공주』를 중심으로, 『T&I Review』, Vol. 6, 2016, p.149-174. |
미소장 |
15 |
박선아, 「유르스나르의 팔랭프세스트 글쓰기 연구 - 『인어공주 La Petite Sirène』의 경우」, 『불어불문학연구』, 제88집, 2011, p.273-302. |
미소장 |
16 |
신성림, 『춤추는 여자는 위험하다』, 웅진지식하우스, 2007. |
미소장 |
17 |
연효숙, 「들뢰즈와 가타리의 유목주의와 욕망론 그리고 여성적 주체」, 『한국여성철학』, 제6권, 2006, p.77-102. |
미소장 |
18 |
연효숙, 「들뢰즈, 가타리의 분열분석에서 억압과 무의식의 문제」, 『철학연구』, 제121집, 2018, p.93-121. |
미소장 |
19 |
오보배, 「르 클레지오의 「발 이야기」가 보여주는 ‘열린 모성’의 가능성, 『외국문학연구』, 제82호, 2021, p. 107-129. |
미소장 |
20 |
이영준, 「안데르센의 동화에 나타난 팜므 파탈 이미지 분석: 「인어 공주」, 「눈의 여왕」과 「얼음처녀」」, 『현대영어영문학』, 제56권 4호, 2012, p.171-191. |
미소장 |
21 |
정기성, 김민자, 「몸·복식에서 억압과 욕망의 패러다임 개발」,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ol. 63, No. 6, 2013, p.97-112. |
미소장 |
22 |
정재윤, 『프로이트의 도착증 이론에 대한 들뢰즈의 비판』, 석사논문, 경북대학교, 2015. |
미소장 |
23 |
조만수, 「베르나르 마리 콜테스 Bernard-Marie Koltès 작품 속의 발과 신발의 상징」, 『프랑스어문교육』, 제28집, 2008, p.338-358. |
미소장 |
24 |
한상수, 「안데르센의 『인어공주』, 『주석병정』과 『빨간 구두』에 나타난 성의 정치학과 정치적 잔인성」, 『현대영어영문학』, 제57권 1호, 2013, p.241-260. |
미소장 |
25 |
한혜정, 「(신)발에 대한 욕망과 억압-안데르센 요정 이야기 속 소녀들의 위반」, 『새한영어영문학』, 제54권 2호, 2012, p.109-131.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