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스피치 프로젝트가 말하기 능력과 말하기 불안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the speech project on speaking skills and speaking anxiety 박창균, 이기정 p. 1-29

토크쇼 <유 퀴즈 온 더 블록>에 나타난 진행자 유재석의 질문 기능 연구 = Function of host Yu Jae-seok's question in the talk show <You Quiz on the Block> Niu Lei, 권순희 p. 31-67

참고문헌 (3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문희. (2015). 교육연극을 통한 말하기 불안 감소 효과 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인천. 미소장
2 교육부. (2022). 국어과 교육과정 (고시 자료 제2022-33호). 세종: 교육부. 미소장
3 김선혜. (2020). 초등학교 고학년의 발표불안 감소를 위한 비디오피드백을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충북. 미소장
4 김지선. (2018). 협력적 듣기 공동체 형성을 통한 초등학생의 말하기 불안 해소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서울. 미소장
5 김지은. (2002). 반성적 평가를 활용한 말하기 교수-학습 모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미소장
6 김한나. (2016). 면접 훈련이 말하기 능력과 말하기 불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충북. 미소장
7 박창균. (2012). 청중을 고려한 화자의 스피치 전략 연구. 초등교육연구논총, 28(2), 49-73. 미소장
8 박창균. (2015). 화자의 스피치 수행에 대한 반성적 사고 양상 연구. 화법연구, 30, 217-248. 미소장
9 박창균. (2018). 말하기 평가 방법에 대한 비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3), 819-837. 미소장
10 박창균, 이정우. (2019). 말하기 평가 방법의 활용 방안. 화법연구, 43, 1-24. 미소장
11 서영진, 전은주. (2010). 고등학생의 공식적 말하기에 대한 불안 연구-화법구성 요소와 말하기 불안의 상관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42, 209-242. 미소장
12 양성근. (2011). 스캐폴딩을 적용한 브레인라이팅 토의·토론 수업이 학습부진학생의 발표력 및 발표불안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인천. 미소장
13 우성호. (2021). 초등학생의 말하기 불안 해소를 위한 인형극 프로그램 실행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서울. 미소장
14 이성종. (2000). 상호평가가 말하기 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말하기 외적 형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충북. 미소장
15 임태섭. (2003).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미소장
16 임호성. (2021).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말하기 능력 발달에 관한 단기 종단연구-설득적 말하기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서울. 미소장
17 장해순, 강태완. (2005). 스피치교육이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49(1), 163-191. 미소장
18 전인숙. (2004). 자기 조정 학습을 통한 스피치 능력 신장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서울. 미소장
19 정광자. (2010). 교육연극 특별활동이 교과시간 말하기 능력 신장에 미치는영향. 석사학위논문, 진주교육대학교, 경남. 미소장
20 정은이, 남인용. (2018). 국내 스피치커뮤니케이션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소통학보, 17(3), 31-76. 미소장
21 정혜식. (2012). 스피치교육이 스피치능력과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서울. 미소장
22 최나은. (2017). 발표 불안이 높은 학습자를 위한 발표 교육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미소장
23 최윤희. (2020). 동료 및 자기 평가 피드백을 통한 대학생 말하기 교육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 573-580. 미소장
2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2).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시안(최종안) 개발 연구 (연구보고서 2022-14). 충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25 한금영. (2016). 말하기 불안 검사 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충북. 미소장
26 한금영, 최숙기. (2016). 중학생의 말하기 불안 양상에 관한 연구-중학생의성별과 학년별 변인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 60, 183-213. 미소장
27 EBS. (2016). 21세기 교육 패러다임-세계의 PBL(12부). 서울: EBS. 미소장
28 Fremouw, W. J., & Breitenstein, J. L. (1990). Speech anxiety. In H. Leitenberg (Ed.), Handbook of Social and Evaluation Anxiety (pp. 455-474). New York, NY: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미소장
29 McCroskey, J. C. (1972). The implementation of a large-scale program of systematic desensitization for communication apprehension. Speech Teacher, 21, 255–264. 미소장
30 McCroskey, J. C. (1984). The communication apprehension perspective. In J. A. Daly & J. C. McCroskey (Eds.), Avoiding communication: Shyness, reticence, and communication apprehension (pp. 13–338 ). Beverly Hills, CA: Sage. 미소장
31 Spielberger, C. D. (1966). Anxiety and behavior. New York: Academic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