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선원 직업윤리의 법적 기초와 직업윤리 강화방안 연구 = A study on legal basis of seafarers' professional ethics and measures to strengthen professional ethics / 최진이 1

목차 1

국문요약 1

I. 서론 2

II. 직업과 직업윤리 3

1. 개념 및 성질 3

2. 직업윤리의 필요성 6

III. 선원법 관련법상 선원직무와 직업윤리의 법리적 기초 7

1. 선원법과 선원의 직무 7

2. 선박직원법과 선원의 직무 8

3. 선원 직업윤리의 법리적 기초 11

IV. 선원의 직업윤리 강화방안 13

1. 직업윤리 강화 필요성 13

2. 직업윤리 강화 방안 14

V. 결론 16

참고문헌 17

Abstract 19

초록보기

현대사회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과학문명의 발달이라 할 것이다. 정보통신기술(IT), 인공지능(AI) 등과 같은 과학기술의 발달은 인간의 삶을 통째로 바꿔놓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직업이 특히 그러하다. 기존의 직업들이 내용적으로 분화하여 새로운 형태의 직업이 출현하고,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던 전혀 새로운 형태의 직업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처럼 현대사회에서 사람의 직업환경의 변화는 종래의 직업적 가치관에 대한 판단기준과 직업활동에 대한 관념들을 약화시키고 있다. 무엇보다 직업활동을 하는데 있어서 도덕적 관념이나, 윤리의식이 무시되거나 간과하는 경향이 보편화되고 있다.

선원이라는 직업은 그들이 수행하는 직무활동이 어떻게 수행되는가에 따라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분야 중의 하나이다. 선박이 위험에 처하면 선원들이 그들의 직무활동을 어떻게 수행하는가에 따라 피해의 규모가 결정된다. 그렇게 때문에 선원의 직업윤리는 사회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침몰사고에서 당시 선박에는 15명의 선원이 승무하고 있었지만, 구조조치 없이 승객을 두고 선박을 탈출한 선장을 비롯한 선원들의 직무해태는 그들의 법적 책임이 어떠한가를 논하기 이전에 직업윤리 부재의 심각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선원의 직업윤리는 선원의 직무수행에 관한 법규범적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중요한 행동규범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직업과 선원의 직업윤리 성질을 검토하고, 선원법과 선박직원법 등 선원 관련 법률에서 규정하는 선원의 직무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선원 직업윤리의 법리적 기초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선원의 직업윤리 강화를 위하여 선원법 등에서 선원 직무 구체화, 선원 중 직업윤리가 특히 강조되는 선박직원에 대하여 그 전제가 되는 해기사 면허취득과정에서 선원의 윤리관 평가반영, 직업윤리를 선원의 행위규범으로 객관화함으로써 선원 직무와 법제도의 합치성 제고 필요성, 그리고 선원의 직업적 만족과 자긍심을 위한 정당한 대가지급 등 처우개선의 필요성 등을 제안하였다.

The most striking feature of modern society is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civilization.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such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IT) and artificial intelligence(AI) is changing all areas of human life. Among these changes, there are many changes, especially in the professional field. Existing occupations are divided into content, and new types of occupations are emerging. And completely new types of jobs that did not exist before are emerging. As such, changes in human work environment in modern society are weakening the conventional judgment standards for professional values ​​and ideas about professional activities. As a result, people tend to ignore or overlook moral ideas or ethical consciousness in their professional activities. The occupation of seafarer is one of the fields that have a great social impact depending on how their job activities are performed.

It is very important for a ship to sail safely with what kind of mindset a sailor carries out his duties assigned to him. Seafarer's professional ethics can be an important code of conduct that can supplement the legal and normative limitations of seafarers' job performance.

Therefore, in this thesis, the nature of occupation and occupational ethics of seafarers was reviewed. And the duties of seafarers according to the ship organization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SEAFARERS’ ACT」& 「SHIP PERSONNEL ACT」, and the legal basis of seafarer occupational ethics was analyzed. Lastly, several measures were proposed to strengthen the occupational ethics of seafarer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해양관광축제의 특성과 글로벌 연계 발전방안 : Characteristics of marine tourism festival and development plan for global connection : focusing on Gijang Anchovy Festival / 기장멸치축제를 중심으로 공미희 p. 1-29

보기
연안크루즈 해양관광을 통한 부산 블루투어리즘 구상 = A study on the promotion of blue tourism through coastal cruise tour in Busan, Korea 우양호 p. 31-63

보기
섬 지역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신안 만재도 지질공원 지정 필요성과 기대효과 = Necessity and expected effects of designating Manjaedo geopark in Shinan-gun for revitalization of island ecotourism 이승하, 홍선기 p. 65-86

보기
칸트철학에서 사물자체 개념의 운동과 의미 = The movement of the concept Ding an sich in Kant's philosophy 박종식 p. 87-118

보기
명사구 계층을 통해 본 한·일 수동표현의 대응양상 = A study on the Korean equivalents of Japanese passives through Silverstein’s noun phrase hierarchy 김현숙, 손동주 p. 119-145

보기
More than intervention effects : 내포문 '왜'의 작용역 분포에 대한 화용론적 연구 / pragmatic accounts of an embedded why Yoo Myunghye p. 147-173

보기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college writing education using topic modeling 유인선 p. 175-200

보기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고등학생 진로 관련 연구 동향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career of high school students using text mining 차윤희, 김준성, 장지우 p. 201-222

보기
역량 기반 교육 성과관리를 위한 교과 기반 환류시스템 설계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design of course-embedded feedback system for performance management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안정민, 박수미 p. 223-250

보기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다차원적 심리적 유연성 척도(K-MPFI) 타당화 연구 =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Multidimensional Psychological Flexibility Inventory (K-MPFI) through assessment of university students 이상일, 김영윤, 이선미, 김명성, 정동일, 정두영 p. 251-280

보기
지운(知雲) 유동수 선생의 집단상담 개입 특성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of Yoo Dong su's group theraphy[실은 therapy] 김아영, 천성문, 김효정 p. 281-317

보기
로컬 문화산업에 투영되는 지역의 정치경제학 : Politics and local capital reflected in the local cultural industry : focusing on the cases of historic cities, Suwon and Jeonju / 역사 도시 수원과 전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노영은, 류웅재 p. 319-360

보기
19세기말-20세기초 관문도시 샌프란시스코의 형성과 환태평양 메가지역의 연계성 = The making of San Francisco as a gateway city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and the connectivity of the trans-Pacific mega region 현민 p. 361-384

보기
경기도 공립박물관과 공공가치 창출 = Gyeonggi Province’s local museums and public value creation 변지영, 정헌주 p. 385-416

보기
선원 직업윤리의 법적 기초와 직업윤리 강화방안 연구 = A study on legal basis of seafarers' professional ethics and measures to strengthen professional ethics 최진이 p. 417-436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