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1

"부친 '긍휼지심' 유지 계승하여 '인술' 베풀며 계속해서 사회적 약자, 어두운 곳에 손 내밀 것" : 자생의료재단 신민식 사회공헌위원장 [인터뷰] / 신민식 ; 장세윤 ; 월간 순국 편집부 편 1

[Title] 1

자생의료재단의 설립과 운영, 7대째 한의업 전통이 바탕 2

종조부와 부친의 독립운동 관련 현장과 자료 직접 찾으려 각고의 노력 3

너무 까다롭고 어려운 독립유공자 심사와 포상 4

자생의료재단의 사회공헌 방침·방향 6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선열들에게 국민 마음을 돌이키는 순국선열 추모관 돼야, '이야기의 힘'으로 리더십 문화 정립 필요 글: 이정은 p. 8-11

보기
"세계시민에게 '설렘'과 '떨림', '울림' 안겨주는 '문화 매력국가'로 도약토록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 김세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원장 [인터뷰] [인터뷰이]: 김세원 ; 인터뷰: 장세윤 ; 글·사진: 월간 순국 편집부 p. 12-19

보기
한국독립운동사 연구 현황 진단과 올바른 연구를 위한 시론 글: 김형목 p. 22-27

보기
한국 독립운동사 교육의 현황과 과제 글: 조성운 p. 28-33

보기
대학 한국독립운동사 교육의 실상과 문제점 글: 이계형 p. 34-39

보기
한국사 교과서의 항일 무장독립투쟁사 서술과 학생의 인식 글: 최현우 p. 40-45

보기
고문으로 불구가 되자 스스로 '벽옹'으로 불러 :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김창숙(金昌淑) 선생 글: 월간 순국 편집부 p. 46-49

보기
치열한 항일투쟁 벌인 호남 최후 의병장 : 건국훈장 독립장 양진여(梁振汝) 의병장 글: 월간 순국 편집부 p. 50-53

보기
"부친 '긍휼지심' 유지 계승하여 '인술' 베풀며 계속해서 사회적 약자, 어두운 곳에 손 내밀 것" : 자생의료재단 신민식 사회공헌위원장 [인터뷰] [인터뷰이]: 신민식 ; 인터뷰: 장세윤 ; 글·사진: 월간 순국 편집부 p. 54-59

보기
일본제국에 맞서 한국 독립을 지원한 일본인들 : 가네코 후미코·후세 다쓰지 지사 월간 순국 p. 60-65

보기
미군이 중공군에 고립되어 후퇴하자 자발적으로 남아 부상자들 수습, 결국 포로수용소에서 희생돼 : 에밀 조세프 카폰 미국 군종 신부 월간 순국 p. 66

보기
유관순 열사에 묻혀 그동안 조명받지 못해 : 조선총독부와 정면으로 맞선 간호사 "노순경" 글: 이윤옥 p. 68-71

보기
국립서울현충원을 걸으며 여성독립운동가를 생각하다 글: 김학규 p. 72-77

보기
만주 독립군 장교, 한국광복군 제2지대장으로 항일무장투쟁 앞장서 : 항일무장투쟁의 영웅, 철기 이범석 글: 권용우 p. 78-81

보기
미·중 사이 '새로운 냉전'에서 온고지신 교훈 찾아야 [서평] 글: 김학준 p. 82-84

보기
석주 이상룡의 서사록. 3, 사람들은 따뜻함을 취했지만, 나는 추운 곳으로 나아가 글: 최진홍 p. 86-91

보기
학동면에서는 별도의 '조선독립선언서' 작성 배포 글: 이정은 p. 92-95

보기
김규식·서영해·황기환 등 프랑스 활동 한국인들, 유럽 정치의 중심지 파리에서 한국 독립을 호소하다 글: 김도형 p. 96-101

보기
첫 한인 정착지 지신허, 폐허로 변하고 강력한 국내진공 거점 연추는 한인들 떠난 뒤 크라스키노로 개명돼 글: 이원규 p. 102-106

보기
김창숙 생가·기념관, 야성송씨 백세각, 한개마을 등 가볼 곳 많아 : 경북 성주 글·사진: 월간 순국 편집부 p. 107-111

보기
항일 민족교육 명동학교의 기숙사 역할도 : 추운 기후 특유의 북간도 명동 함경도식 한옥 글: 김시덕 p. 112-117

보기
생일잔치를 무덤에서 할 게 아니라 생가터부터 성역화해야 : '스승의 날'로 지내는 세종임금의 탄생일 글: 김영조 p. 118-122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