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국제규범상 식량권 개념과 책임에 대한 내용을 토대로 북한과 국제사회가 북한 주민들의 식량권 보장과 관련된 의무를 이행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먼저 세계인권선언과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 위원회 등 국제규범은 개인의 식량권 보장 및 국가와 국제사회의 책임을 명시하고 있다. 북한은 최고 지도자의 지침, 포전담당제 등 식량 생산성 제고방안, 당 농업부와 내각 농업위원회 신설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오고 있으나 성과는 좋지 않다. 이는 북한 당국이 필요한 자본과 기술력을 투입하지 못한 채 자력갱생을 내세워 과거처럼 노동력 동원만을 강조하고 국제사회로부터의 식량 도입도 차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의 시장은 주민들의 식량 획득성을 높이고 있으나, 당국의 식량 수매와 분배에 대한 통제가 여전하고 시장 진입이 어려운 주민들의 식량권을 보장하기 어렵다. 국제사회는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의 식량난 해소를 지원해왔으나, 북핵 문제로 인한 유엔과 미국의 대북제재와 코로나-19 계기 북한의 봉쇄에 막혀 식량을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북한과 국제사회 모두 실제적으로 북한주민 식량권 보장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 주민 식량권 보장을 위해 몇 가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인도적 지원에 대한 유엔의 제재 면제 조치를 활용하고 지원시 분배의 투명성을 사전 확보해 유엔기구와 국제 NGO의 지원을 재개하는 것이다. 둘째, 북한에 주민 식량권에 대한 책임을 압박하면서 외부 지원을 수용토록 하고 유엔 SDGs와 연계해 북한 농업기반 강화와 식량 증산을 추진하는 것이다. 셋째, 북한의 식량 사정을 정확히 파악하고 중장기적으로 식량 생산성 제고를 위해 국제기구와 개별국가가 함께 참여하는 가칭 ‘한반도 농업개발기구’나 ‘동아시아 인도협력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이다.

식량권은 핵심 인권으로서 개인의 생존과 생활에 필수적이다. 책임 있는 주체들 간 협조하여 북한 주민 식량권 보장 방안이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글로벌 보건안보 위기상황시 국제사회의 대북협력 = Cooperation betwee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North Korea under the crisis of global health security : an analysis of a trend of support : 지원 동향 분석 권재범, 황수환 p. 7-35

조선로동당 8기 정치국 인선 변화 연구 = Dissection of composition and changes in KWP 8th Politburo : focusing on the relations between Kim Jong Un and his ruling coalition : 김정은과 그 지배연합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준희 p. 37-68

공세적 수정주의적 행태가 핵확산 과정에 끼치는 영향 = The impact of offensive revisionist behavior on nuclear proliferation 김민정 p. 69-91

북한주민 식량권(Right to Food)에 대한 북한과 국제사회의 책임 = The right to food in North Korea : assessing the responsibilitie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North Korean authorities 박성열, 이철, 권진아, 정원희 p. 93-137

사회적 자본으로서 종교계의 통일운동 = A study on the unification movement and unification network of the religious community as social capital : 기독교와 불교의 통일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문인철, 여현철 p. 139-161

통일미래 준비를 위한 남북 재해재난 협력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inter-Korean disaster cooperation plans to prepare for the future of Korean unification 박형준, 박은주 p. 163-187

참고문헌 (7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재희(2010), 북한 유치원 유아의 식량권 및 건강권, 보호권, 교육권 실태, 아동과 권리 제14권 제4호. 미소장
2 구영록(1995), 한국의 국가이익: 외교정책의 현실과 이상, 서울: 법문사. 미소장
3 국가인권위원회(2006). 유엔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범 해설집.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미소장
4 국가인권위원회(2020). 유엔 인권조약기구 일반논평 및 일반권고: 사회권규약위원회 일반논평.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미소장
5 국가정보원(2020). 북한법령집上·下. 서울: 국가정보원. 미소장
6 김근식(2013). 북한의 사회권 실태와 개선방향 - 포괄적, 실질적 접근을 중심으로-. <동북아연구>. 제18권. 미소장
7 김석우(2013). 북한주민의 식량권 확보 위해 강제수용소 폐쇄해야. <신아세아>. 제20권제2호. 미소장
8 김수암(2012). 북한사회 만연 부패행위가 주민 식량권 제한: ‘북한부패와 인권의 상관성.’ 서울: 통일연구원. 미소장
9 김양희(2014). 북한 식량권의 연구동향 및 과제. <통일인문학>. 제60집. 미소장
10 김양희·서보혁·정은이(2014). 북한의 시장화와 인권의 상관성. 서울: 통일연구원. 미소장
11 김영훈(2022). 최근 북한의 식량 농업 상황과 전망. . 2022-1. 미소장
12 김종덕·감정기(2007). 식량권 실현과제와 사회복지, <상황과 복지>. 제24호. 미소장
13 김종덕·신원식·이현정(2010). 식량권에 대한 사회복지 전문가들의 인식 유형. <사회보장연구>. 제26건 제4호. 미소장
14 김태훈(2019). 북한 주민의 인권 실태. <신아세아>. 第26卷 第1號. 미소장
15 류지성(2022). 최근 북한 입법의 분석. <북한법연구>. 제28호. 미소장
16 박성열(2021). 남북교류협력 변화 추이 및 영향요인-대북제재 및 코로나 19 중심으로-. <국가전략>. 제27권 1호. 미소장
17 박성열·한지만·정원희(2022). 북한의 식량 위기론: 1990년대와 2020년대 사례 비교 분석 - FAD와 FED 접근법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제91집. 미소장
18 백명숙·김성배(2021), 북한시장에서 재산권의 보호 메카니즘: 사적 침해에 대한 공식및 비공식제도의 비교, 통일전략 21집, 125-162. 미소장
19 대한변호사협회(2022). 2022 북한인권백서. 서울: 대한변호사협회. 미소장
20 이우영(2008). 북한 주민 인권 실태 조사. 서울: 북한대학원대학교. 미소장
21 신동익(2016). 보호책임(R2P)의 국제사회 논의 현황: 북한 인권 문제와 한국의 기여 방안. . IF2016-49K. 미소장
22 오승진(2007). 식량권(right to Food)에 관한 소고. <法學論叢>. 第31卷 第2號. 미소장
23 이동규(2022), 식량과 인권: 1960년대 후반 식량농업기구의 ’기아로부터의 자유운동‘과 사회경제적 권리, 역사학보 제253집. 미소장
24 이신화(2012). “국가실패와 보호책임(R2P)의 북한 적용가능성.” <한국정치학회보>. 제46집 제1호. 미소장
25 이지선(2022). 유엔과 국제사회의 대북지원 단절 배경과 전망, . 332호. 미소장
26 임상순(2017). 국제기구를 통한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한 고찰-북한 상주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통일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미소장
27 임상순(2015). 유엔 인권메커니즘의 관여전략과 북한 김정은 정권의 대응전략-로동신문과 유엔문서 분석을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보>. 제19권 제1호. 미소장
28 임수호(2023). 북한 양곡전매제 복원 시도는 성공할 수 있을까?. . 434호. 미소장
29 정은이(2020). 김정은시기 식량 증산과 격차의 ‘엇박자(offbeat).’ . CO20-22. 미소장
30 조성은·고경표·도경옥·엄주현·조영주(2021). <대북제재 국면에서 보건복지분야의 인도주의적 면제 활용방안 연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미소장
31 조정현(2011). 보호책임(R2P)의 이론 및 실행, 그리고 한반도에의 함의: 리비아 및 코트디부아르 사태를 중심으로-. . 11-04. 미소장
32 최규빈(2022). 다자협력방식을 통한 대북 인도적 지원. . CO22-21. 미소장
33 최승환(2018). 국제연합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이후의 남북교류협력 방안. <통일과 법률>. 통권34호. 미소장
34 최용호(2022). 북한 식량 수급의 변화와 함의, 보건복지포럼, 8. 미소장
35 통일부(2023). 북한인권보고서. 서울: 통일부. 미소장
36 평화문제연구소(2019). 북한 식량 상황의 바람직한 정책 방향은?. <제26차 통일한국포럼>. No. 26. 미소장
37 이종규(2022). 북한의 재정추이와 주요 이슈. . 2022년 4월호. 미소장
38 허만호(2022). 김정은 집권 10년과 북한 주민들의 식량권: Entitlement와 R2P의 관점에서. <국제정치연구>. 제25집 제4호. 미소장
39 헤이절 스미스(2013), 북한의 식량권 침해 여부와 반인도범죄 규명, 유엔 인권 메카니즘과 북한 인권 증진방안, KINU 샤이오 인권포럼 자료집. 미소장
40 헤이젤 스미스(2021). 대북제재와 식량불안: 향후 국제사회의 공공정책 방향은?. . 미소장
41 Amnesty International(2004). Starved of Rights: Human Rights and the Food Crisis in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미소장
42 Cohen, Marc J.(2003). The right to adequate food and food security.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Congressional Human Right Caucus Members Briefing on World Hunger: Moving toward Global Food Security, Washi ngton D.C. 미소장
43 Marcus, David(2017). Famine Crimes in International Law, American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44 Marcus, Noland, Haggard, Stephen(2007), Famine in North Korea: markets, ai d, and Reform.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미소장
45 Natsios, Andrew S(2001). The Great North Korean Famine. Washington, D.C.: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Press. 미소장
46 Robinson, Thomas(1969). National Interest, in International Politics and Forei gn Policy: A Reader in Research and Theory. Revised Edition. New York: Free Press. 미소장
47 Sen, Amartya(1981). Poverty and Famines-An essay on Entitlement and Depri va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미소장
48 Amnesty International(2016/12/10). “세계인권선언.” https://amnesty.or.kr/resource/%EC%84%B8%EA%B3%84%EC%9D%B8%EA%B6%8C%EC%84%A0%EC%96%B8/ (검색일: 2023.5.19.). 미소장
49 A/HRC/52/64: Promoting accountability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 Report of the Office of the United Nations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18 Jan. 2023. https://www.ohchr.org/en/documents/country-reports/ahrc5264-promoting-accountability-democratic-peoples-republic-korea (검색일: 2023.5.23.) 미소장
50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Voluntary National Review(2021). https://hlpf.un.org/sites/default/files/vnrs/2021/282482021_VNR_Report_DPRK.pdf (검색일: 2023.5.23.). 미소장
51 FAO(2022). “The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2022: Repurposing food and agricultural policies to make healthy diets more affordable.” https://www.fao.org/3/cc0639en/cc0639en.pdf (검색일: 2023.5. 23.). 미소장
52 FAO(2023). “Crop Prospects and Food Situation – Quarterly Global Report” No. 1, March 2023. https://doi.org/10.4060/cc4665en (검색일: 2023.5.28.) 미소장
53 OECD/DAC, Creditor Reporting System. http://fts.unocha.org/countries/118/flows/2019?order=directional_property&sort=as (검색일: 2023.5.22.). 미소장
54 OHCHR. (검색일: 2023.5. 10.) 미소장
55 Official Document System of the United Nations. “Report of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77/522 . 미소장
56 RFA(2021/9/13). “캐나다 NGO ‘북, 지원식량 변질 위험에도 반입 안해’.” https://www.rfa.org/korean/in_focus/food_international_org/nkaid-09132021075047.html. (검색일: 2023.5.23.). 미소장
57 RFA(2023/2/27). “WFP ‘올 7월까지 대북지원에 1,300만 달러 더 필요’.” https://www.rfa.org/korean/in_focus/food_international_org/nkaid-02272023153356.html (검색일: 2023.5.23.). 미소장
58 Treaty Bodies Database, https://tbinternet.ohchr.org/_layouts/15/treatybodyexternal/Download.aspx?symbolno=E%2FC.12%2F1999%2F5&Lang=en. (검색일: 2023.5.24.). 미소장
59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s://documents-dds-ny.un.org/doc/UNDOC/GEN/N22/628/57/PDF/N2262857.pdf?OpenElement (검색일: 2023. 5.9.). 미소장
60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2023). Subsidiary Organs of the United Nations Security Council. 3 April 2023. https://www.un.org/securitycouncil/sites/www.un.org.securitycouncil/files/subsidiary_organs_series_3apr23_final.pdf (검색일: 2023.5.23.). 미소장
61 VOA(2022/8/29). “북한, 인도산 쌀 1만t 수입 추진...식량난 가능성 주목.” https://www.voakorea.com/a/6720035.html (검색일: 2023.5.23.) 미소장
62 VOA(2022/9/1). “북한 남포에 식량 추정 하얀색 포대 가득…지난달 중국산 쌀은 육로운송.” https://www.voakorea.com/a/6724793.html (검색일: 2023.5.23.). 미소장
63 VOA(2022/11/25). “북한 ‘식량 포대’ 계속 유입…포대 ‘8천만 개’ 수입.” https://www.voakorea.com/a/6849532.html (검색일: 2023.5.23.). 미소장
64 VOA(2023/1/18). “북한 선박, 중국 항구서 ‘하얀색 물체’ 실어…곡물 수입 지속하는 듯.” https://www.voakorea.com/a/6923046.html (검색일: 2023.5.23.). 미소장
65 YTN(2022/9/2). “RFA ‘인도에 식량 요청 北 관리는 유엔 제재 대상자’.” https://www.ytn.co.kr/_ln/0101_202209021546215092 (검색일: 2023.5.23.). 미소장
66 노동신문(1995/06/24). “참다운 인권을 옹호하여.” 미소장
67 노동신문(2012/11/17). “공고한 세계평화보장의 근본요구.” 미소장
68 노동신문(2013/07/02). “규탄과 배격을 받는 <인권재판관>.” 미소장
69 노동신문(2023/03/02). “숭고한 리상과 포부를 안고 농촌진흥희 새시대, 자립경제발전의 전성기를 더욱 힘차게 열어나가자.” 미소장
70 문화일보(2022/8/31). “北, 식량난 ‘한계상황’ 왔나…인도·캐나다에 SOS 급선회” https://www.munhwa.com/news/view.html?no=2022083101039930114004. (검색일: 2023.5.23.) 미소장
71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 규약(Internati 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https://www.law.go.kr/trtyInfoP.do?trtySeq=232 (검색일: 2023.5.25.) 미소장
72 연합뉴스(2023/2/20). “통일부 ‘북한 일부 지역에 아사자 속출…식량난 심각’.” https://www.yna.co.kr/view/AKR20230220061100504 (검색일: 2023.5.23.) 미소장
73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2019.8. 개정). 미소장
74 조선중앙통신(2021/06/16).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3차전원회의 개회.” 미소장
75 통계청 북한통계포털. https://kosis.kr/bukhan/. (검색일: 2023.5.23.) 미소장
76 통일부 주요사업통계. https://www.unikorea.go.kr/unikorea/business/statistics/(검색일: 2023.5.23.) 미소장
77 한겨레(2023/1/24). “미 정부, 6년 만에 북한인권특사 지명.”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siapacific/1076732.html (검색일: 2023.5.23.)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