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1894년 중일 전쟁 이후 일본은 병합, 합병, 조계, 위임 통치를 통해 제국 일본의 새로운 영토를 완성했다. 이로 인해 국가의 범위를 명확히 고지하고 그에 따른 효율적인 통치, 자본주의의 발달로 인한 산업 구조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국세조사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제1회 국세조사는 1920년 10월 1일 오전 0시부터 오전 8시까지 실시되었으며, 전 국민이 참여하는 전국적인 사회조사로 근대 일본의 ‘일국(一國)’이라는 국가성과 국민의 범위를 확인했다. 임시국세조사사무국은 근대적인 조사 항목에 대한 국민들의 정확한 응답을 위해 다양한 홍보 캠페인을 실시했으며, 그 과정에서 국민들은 ‘근대’를 자각하게 되었다.

홍보는 시각, 청각, 문자, 실천적 활동 등 다각도로 이루어졌다. 시각은 기념그림엽서, 우표, 스탬프, 관보(官報)의 광고, 청각은 다양한 형태의 노래 반복, 문자는 슬로건, 잡지, 전단, 신문 등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현장에서는 환등회(幻燈会), 연극, 강연회, 전시 관람 등의 활동을 전개했다. 홍보 내용은 제국이 가져야 할 식민지라는 영토, 태양력 기준의 ‘시간’, 개인에 대한 근대적 관념에 대한 인식과 실천이었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제국의 영토는 다양한 색으로 칠해진 지도를 시각 매체에 지속적으로 노출했고, 둘째, 태양력의 오전 0시부터 오전 8시까지라는 근대적 시간은 달력, 시계, 부엉이, 닭과 같은 메타포를 활용했다. 셋째, 산업 발전의 새로운 계층 구조는 국민(국적(國籍)과 민적(民籍) 구분) 그리고 근세의 집단적 ‘가족’ 범위와 구분되는 ‘개인’이라는 근대성을 가르쳤다. 그 결과, 제1회 국세조사는 근대국가와 국민을 이해하는 단초로서 제국 일본의 ‘일국’이라는 관념을 지속하는 중요한 선전역할을 했다.

1894年の日清戦争後、日本は割讓、併合、租借、委任統治を通じて帝国日本の新しい領土を完成させた。これにより、国家の範囲を明確に告知し、効率的な統治、資本主義の発達による産業構造の変化を把握するために国勢調査が必要性は高まった。第1回国勢調査は1920年10月1日午前0時から午前8時まで実施され、全国民が参加する全国的な社会調査として、近代日本の「一国」という国家性と国民の範囲を確認した。臨時国勢調査事務局は、近代的な調査項目に対する国民の正確な回答のために様々な広報キャンペーンを実施し、その過程で国民は「近代」を自覚するようになった。 広報は視覚、聴覚、書面、実践的活動など多角的に行われた。視覚は記念絵葉書、切手、スタンプ、官報の広告、聴覚は様々な形の歌の繰り返し、文字はスローガン、雑誌、チラシ、新聞などが含まれた。最後に、現場では、幻灯会、演劇、講演会、展示観覧などの活動を展開された。広報の内容は、帝国が持つべき植民地という領土、太陽暦を基準にした時間、個人に対する「近代的」概念に対する認識と実践であった。具体的に第一、帝国の領土は様々な色で描かれた地図を視覚媒体に継続的に露出され、第二、太陽暦の午前0時から午前8時までの近代的な時間は、カレンダー、時計、フクロウ、鶏などのメタファーを活用した。第三、産業発展の新しい階層構造は、国民(国籍と民籍の区別)、そして近世の集団的な「家族」の範囲と区別される「個人」という近代的な象徴を教えた。その結果、第1回国勢調査は、近代国家と国民を理解する端緒として、帝国日本の「一国」という観念を持続させる重要な宣伝の役割を果たした。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전후일본에서 문예비평의 굴절 = Distortion of literary criticism in postwar Japan : the literary impact of the Korean War : 한국전쟁의 문학적 영향 가지오 후미타케 [저] ; 강민주 번역 p. 5-40

일본의 제1회 국세조사 홍보와 자각하는 '근대' = 日本の第1回国勢調査の広報と自覚する「近代」 김경리 p. 41-73

일제강점기 철도안내서로 보는 '조선' 인식 = 日帝強占期鉄道案内書に見る「朝鮮」認識 : 「名勝」の発見を中心に : '명승'의 발견을 중심으로 김선희 p. 75-106

신국가 건설과 문화국가론의 전개 = 新国家建設と文化国家論の展開 : 敗戦後の日本、解放後の韓国 : 패전후 일본, 해방후 한국 이경희 p. 107-137

일본국 헌법 제24조와 '가족보호 = 日本国憲法第24条と「家族保護」 : 現代日本の保守·右翼の憲法改正の動きにあたって : 현대 일본 보수·우익의 헌법개정 움직임에 즈음하여 이은경 p. 139-168

일본문학 속 '거절하는 여성' 고찰 = 日本文学における「拒絶する女性」考察 : 『竹取物語』と「かぐや姫の物語」を中心に : 『다케토리모노가타리(竹取物語)』와 <가구야공주 이야기(かぐや姫の物語)>를 중심으로 조아라 p. 169-193

참고문헌 (3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讀賣新聞』 DB. 미소장
2 관보(官報). 미소장
3 김민경 『人口센서스의 理解』, 도서출판 글로벌, 2000. 미소장
4 박정수·구자홍 지음 『인구 통계학의 이론과 실제』, 교우사, 2016. 미소장
5 손병규 『국가의 인구 관리, 옛날과 오늘』, ㈜은행나무, 2020. 미소장
6 폴 몰런드 지음, 서정아 옮김 『인구의 힘』, 미래의 창, 2020. 미소장
7 伊藤恒太郎 編 『特殊通信日附印』, 寸葉會, 1923. 미소장
8 大阪市 『大阪市第一回国勢調査記念誌』, 大阪市, 1921. 미소장
9 国勢調査編纂会 編 『國勢調査記念錄』, 国勢調査編纂会, 1921. 미소장
10 佐藤正広 『国勢調査と日本近代』, 岩波書店, 2002. 미소장
11 竹村民郎 『モダニズム日本と世界意識』, 株式會社三元社, 2012. 미소장
12 統計局 編 『国勢調査報告. 大正9年 在外本邦人』, 統計局, 1920. 미소장
13 內閣統計國 編 『國勢調査報告 大正九年 全國の部』第一·二·三巻, 內閣統計國, 昭和3-4. 미소장
14 二階堂保則 『国勢調査総覧』, 第一回国勢調査委員会, 1920. 미소장
15 日本国勢調査記念出版協会 編 『日本国勢調査記念録』 第1巻, 日本国勢調査記念出版協会, 1922. 미소장
16 橋本家蔵 『国勢調査: 建国的大事業』, 国勢協会, 1920. 미소장
17 矢野恒太 編 『日本国勢図会. 昭和2年版』, 日本評論社, 1927. 미소장
18 臨時国勢調査局 編 『国勢調査宣伝歌謡集』, 臨時国勢調査局, 1920. 미소장
19 구수경 「근대적 시간 규율의 도입과정과 그 의미」, 『교육사회학연구』, Vol.17 No.3, 2007. 미소장
20 김경리 「‘제국 일본’의 이미지 네트워크-시정스탬프를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No.60, 2022. 미소장
21 김경일 「20세기 전반기 동아시아의 주변-조선과 대만의 인구 이동」, 『사회와 역사』, No.109, 2016. 미소장
22 김화경 「일본 건국신화의 연구-진무 천황의 동정 전승에 나타난 한국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한 고찰」, 『민족문화논총』, Vol.41, 2009. 미소장
23 이지은 「 『인도 센서스』에 나타난 아리아 인종설과 식민사관의 구축」, 『호서사학회』, No.87, 2018. 미소장
24 이혜숙 「일제 시대 센서스 지도화를 통한 지역의 이해」,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미소장
25 伊藤浩子, 申亨振 「초기 하와이 닛케이(日系) 이민의 시대 및 세대별 특징: 1900년 및 1910년 미국 센서스 자료의 분석」, 한국일본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No.08, 2016. 미소장
26 上藤一郞 「第1回國勢調査と日本の統計學-龜田豊治朗による抽出結果の學說史的意義-」, 『經濟硏究』, Vol.69 No.2, 2018. 미소장
27 奥積雅彦(総務省統計図書館) 「崇神天皇の時代における人口調査-日本書紀を訪ねて」 統計図書館ミニトピックス, №17,2007. 미소장
28 辻 博 「甲斐国現在人別調」の成立について」, 『同志社大學經濟學論叢』, 11卷, 1961. 미소장
29 中澤高志 「第一回国勢調査にみる戦間期女性労働の地域的多様性」, 『經營論集』, 68卷 4號, 2021. 미소장
30 村上篤太郎 「通計の読み方(第2回): 人口編」, 『情報の科学と技術』, 49巻 7号, 1999. 미소장
31 Kenichi Ohmi and Akihito Suzuki, “Evaluating the impact of the 1918-1920 influenza pandemic in Pre-War Imperial Japan.”, Social Science Diliman: A Philippine Journal of Society and Change, 14(2), 2018. 미소장
32 國立公文書館: https://www.archives.go.jp/ (검색일 : 2023.02.25.) 미소장
33 國立國會圖書館 「近代日本人の肖像」(검색일 : 2023.01.23.) 미소장
34 統計で見る日本: https://www.e-stat.go.jp/ (검색일 : 2023.01.13.) 미소장
35 https://c11.kr/1dhwa (검색일 : 2022.12.2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