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成為 「國民」 : 國家總動員體制下台韓的女性動員論述 = Becoming a "Nation" : discussion of womens mobilization in Taiwan and South Korea under the general mobilization system / 崔末順 1
ABSTRACT 1
I. 戰時體制與國民動員 2
II. 精神與意識上的女性動員 6
III. 身體與力行的女性動員 16
IV. 作為 「國民」 的女性論述 20
參考文獻 23
1. 資料 23
2. 專書 24
3. 期刊論文 25
4. 學位論文 26
[저자소개] 27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中華婦女》,中華婦女反共抗俄聯合會,1950~2017。 | 미소장 |
2 | 《台灣時報》,台灣總督府,1919~1945。 | 미소장 |
3 | 《台灣新報》,台灣總督府,1944~1945。 | 미소장 |
4 | 《南方》,南方雜誌社,1941~1944。 | 미소장 |
5 | 《新建設》,皇民奉公會中央本部,1942~1945。 | 미소장 |
6 | 《婦友》,國民黨中央委員會婦女工作會,1954~1997。 | 미소장 |
7 | 《大東亞》,大東亞社,1942。 | 미소장 |
8 | 《大韓日報》,漢陽財團,1961~1973。 | 미소장 |
9 | 《女性》,朝鮮日報社,1936~1940。 | 미소장 |
10 | 《女苑》,學園社,1955~1970。 | 미소장 |
11 | 《自由新聞》,自由新聞社,1945~1961。 | 미소장 |
12 | 《每日申報》,朝鮮總督府,1910~1945。 | 미소장 |
13 | 《京鄉新聞》,京鄉新聞社,1946~。 | 미소장 |
14 | 《別乾坤》,開闢社,1926~1934。 | 미소장 |
15 | 《朝光》,朝光社,1935~1944。 | 미소장 |
16 | 《朝鮮》,朝鮮總督府,1920~1944。 | 미소장 |
17 | 朴泰遠,《군국의 어머니 軍國之母》,朝光社,1942.10。 | 미소장 |
18 | 金祥德,《어머니의 승리 母親的勝利》,京城同心院,1944.9。 | 미소장 |
19 | 南昌熙,《어머니의 힘 母親之力量》,南昌書館,1943.5。 | 미소장 |
20 | 康本健二譯,《일본의 어머니 日本的母親》,內鮮一體社,1944.3。 | 미소장 |
21 | 中國國民黨中央委員會婦女工作會,《總裁對婦女訓詞輯要》。台北:中國國民黨中央委員會婦女工作會,1956年。 | 미소장 |
22 | 中國國民黨中央委員會婦女工作會,《指導長蔣夫人對婦女的訓詞》,1979年。 | 미소장 |
23 | 許佩賢,《殖民地台灣近代教育的鏡像:一九三○年代台灣的教育與社會》,台北:衛城出版,2015年。 | 미소장 |
24 | 崔末順,《海島與半島:日據台韓文學比較》,台北:聯經出版社,2013年。 | 미소장 |
25 | 郭怡君、楊永彬編著,《風月·風月報·南方·南方詩集》,台北:南天書局,2001年。 | 미소장 |
26 | 金得重(音譯),《빨갱이의 탄생:여순사건과 반공국가의 형성 赤色分子的誕生—麗順事件和反共國家的形成》,首爾:先人出版社,2009年。 | 미소장 |
27 | 方基中,《일제 파시즘주의 지배정책과 민중생활 日帝法西斯主義支配政策與民眾生活》,首爾:慧眼,2004年。 | 미소장 |
28 | 西川長夫,尹大石譯,《국민이라는 괴물 叫做國民的怪物》,首爾:昭明出版,2002年。 | 미소장 |
29 | 趙熙淵(音譯),《동원된 근대화 被動員的近代化》,首爾:教養出版社,2010年。 | 미소장 |
30 | 鄭根植(音譯)等人主編,《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 近代主體和殖民地規律權力》,首爾:文化科學社,2003年。 | 미소장 |
31 | 崔末順,《식민과 냉전하의 대만문학 殖民與冷戰下的台灣文學》,首爾:書享出版社,2019年。 | 미소장 |
32 | 宮田節子,《朝鮮民眾と皇民化政策》,東京:未來社,1985年。 | 미소장 |
33 | 金世鈞(音譯),〈이승만정권하에서의 사회운동 李承晚政權下的社會運動〉, 《韓國政治研究》5,首爾大學韓國政治研究所,1996年。 | 미소장 |
34 | 金允瓊(音譯),〈1950년대 미국문명인식과 교양여성담론 1950年代對美國文明的認知和教養女性論述〉,《女性文學研究》27,韓國女性文學學會,2012年。 | 미소장 |
35 | 金允瓊(音譯),〈1950년대 미국문명인식과 교양여성담론 1950年代對美國文明的認知和教養女性論述〉,《女性文學研究》27,韓國女性文學學會,2012年。 | 미소장 |
36 | 郭恩熙(音譯),〈전시체제기 노동, 소비 담론에 나타난 젠더정치 戰時體制期勞動和消費論述所見的性別政治—以《女性》雜誌為對象〉,《人文研究》59,嶺南大學人文科學研究所,2010年。 | 미소장 |
37 | 李相瓊,〈일제말기의 여성동원과 군국의 어머니 日帝末期的女性動員和軍國之母〉,《女性主義研究》2,韓國女性研究所,2002年。 | 미소장 |
38 | 李任河(音譯),〈해방 뒤 국가건설과 여성노동 解放後國家建設與女性勞動〉,《歷史研究》15,歷史學研究所,2005年。 | 미소장 |
39 | 全奎燦(音譯),〈국민의 동원, '국민'의 형성 : 한국사회 '국민'담론의 계보학 國民的動員,國民的形成:韓國社會「國民」論述的系譜學〉,《韓國言論情報學報》31,韓國言論情報學會,2005年。 | 미소장 |
40 | 崔末順,〈결전에서 총궐기로:일제 최후기(1943-1945)의 대만문단 從決戰到總蹶起—日據最後期(1943-1945)的台灣文壇〉,《地球的世界文學》13,2019年。 | 미소장 |
41 | 崔末順,〈‘지방향토’에서 ‘일본정신’으로:전쟁기(1937-1945) 대만의 문화동원 논리 從「地方鄉土」到「日本精神」—戰爭期台灣的文化動員邏輯〉,《中國語文論叢》105,中國語文研究會,2021年。 | 미소장 |
42 | 春木育美,〈근대 일본과 조선의 현처양모주의 近代日本與朝鮮的良妻賢母主義〉,《第二期韓日歷史共同研究報告書第5卷》,2010年。 | 미소장 |
43 | 陳惠敏,《戰爭動員體制下的台灣婦女(1950-1958)》,國立中山大學中山學術研究所碩士論文,2005年。 | 미소장 |
44 | 楊雅慧,《戰時體制下的台灣婦女(1937-1945)—日本殖民政府的教化與動員》,國立清華大學歷史研究所碩士論文,1994年。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