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교육과학기술부 (2010), 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
미소장 |
2 |
권순희 (2013). 영화 <세 얼간이>를 통해 살펴본 바람직한 교사 화법: 학교 폭력 해결책에 대한 논의를 위하여. 화법연구, 0(22), 285-327. https://www.doi.or.kr/10.18625/jsc.2013.22.285. |
미소장 |
3 |
김미경 (2021). 영화 <리바이어던〉에 합의된 권력의 의미와 시민교육적 해석: 윤리적 성찰을 중심으로. 사고와표현, 14(2), 253-287. https://www.doi.or.kr/10.19042/kstc.2021.14.2.253. |
미소장 |
4 |
김영천 (2016). 질적연구방법론 1: Bricoleur.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
미소장 |
5 |
김은주 (2011). 한국 애니메이션 “마당을 나온 암탉" 에서 찾은 생태적 인식 및 유아교육적 의미 탐색.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2), 183-199. |
미소장 |
6 |
김은주, 김민경 (2020). 애니메이션 <언더독>에 나타탄 자연-인간 관계에 대한 유아교육적 의미 탐색. 생태유아교육연구, 19(3), 89-114. https://www.doi.or.kr/10.30761/ecoece.2020.19.3.89. |
미소장 |
7 |
김은주, 김정미 (2019). 그룬트비 교육사상의 유아교육적 함의: '살아있는 말'을 중심으로.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3), 153-173. https://www.doi.or.kr/10.22154/JCLE.20.3.6. |
미소장 |
8 |
김선요 (2005). 홈스쿨운동의 전개와 시사. 사회과학논총, 12, 101-121. |
미소장 |
9 |
김정래 (2020).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의 교육적 고찰. 교육연극학, 12(1), 1-24. https://www.doi.or.kr/10.31342/JKADTE.2020.12.1.01. |
미소장 |
10 |
더쿱 (2020). 오늘 개봉! 당신을 위한 굿라이프 안내서! 판타스틱 관람 포인트 TOP3 전격 공개!.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0132862&memberNo=33294539&vT ype=VERTICAL에서 2021년 1월 21일 인출 |
미소장 |
11 |
여태철 (2006). 전생애발달이론의 관점에서의 아동발달과 교육. 교육논총, 26(2), 157-178. |
미소장 |
12 |
윤정진, 정수정, 임홍남 (2021). 은유분석을 통해 본 창의·인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탐색. 인문사회21, 12(4), 923-938. http://dx.doi.org/10.22143/HSS21.12.4.66. |
미소장 |
13 |
이병환 (2008a). 미국 대안교육의 다양화 경향 분석과 정책적 시사. 교육행정학연구, 26(1), 163-188. |
미소장 |
14 |
이병환 (2008b). 서구 대안학교의 동향과 특성 비교, 교육실천연구, 7(1), 121-140. |
미소장 |
15 |
이지은 (2014). 레비나스의 '타자철학' 관점에서 본 교육적 관계맺음의 의미: 영화 <프리덤 라이터스(Freedom Writers)>에 나타난 교사와 학생 관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미소장 |
16 |
이코노믹리뷰 (2013.08.26). 한국 홈스쿨링 어디까지 왔나. http://www.econovill.com/news/articleView.html?idxno=115462에서 2022년 2월 7일 인출. |
미소장 |
17 |
임홍남 (2018). 리오타르의 서사적 지식을 통해 본 유아교육의 방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3), 207-235. http://dx.doi.org/10.22154/JCLE.19.3.9. |
미소장 |
18 |
장은주, 홍석노, 김상무, 이경옥, 정경수 (2014). 왜, 그리고 어떤 민주시민교육인가? 한국형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이론적 기초에 관한 연구. 경기: 경기도 교육연구원. |
미소장 |
19 |
전은희 (2003). 영화읽기의 교육적 의미: 『집으로』를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6(2), 165-204. |
미소장 |
20 |
조희연 (2018). Rousseau Dolto를 통해 본 아동기 자녀양육법 연구. 생태유아교육연구, 17(1), 153-174. https://www.doi.or.kr/10.30761/ecoece.2018.17.1.153. |
미소장 |
21 |
최관경, 최두진, 황시오 (2015). 무엇을 위한 교육인가: 교육목적관을 중심으로. 교육혁신연구, 25(3), 129-149. |
미소장 |
22 |
하일선 (2018). 다문화사회에서 인간다움과 나다움 - 보편성과 개별성 논쟁을 중심으로. 교육사상연구, 32(3), 187-205. https://www.doi.or.kr/10.17283/jkedi.2018.32.3.187. |
미소장 |
23 |
한혜영, 이성엽 (2017). 영화 “히든피겨스”에 나타난 '흑인여성' 이미지 전환과 홀리스틱 교육적 접급.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1(3), 117-134. |
미소장 |
24 |
Eisner, E. (2013). 교육평설 : 엘리어트 아이즈너의 질적연구방법론. (박승배 역). [Educational criticism : Elliot Eisner's tool to inquire educational practice qualitatively]. 파주: 교육과학사. |
미소장 |
25 |
Lenz Taguchi, H. (2018). 들뢰즈와 내부작용 유아교육: 이론과 실제 구분 넘어서기. (신은미 외 역). [Going beyond the theory/practice divid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troducing an intra-active pedagogy] 서울: 창지사. |
미소장 |
26 |
Montgomery, Linda R. (1989). The effect of home schooling on the leadership skills of home schooled students. Home School Researcher, 5(1), 1-10.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