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인공지능의 대두와 코로나19로 인해 디지털 대전환이 가속화되며 사회 전반의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인공지능 시대에 대응하여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Cooper, Fusarelli, 그리고 Randall(2004)의 다차원 교육 정책 분석 모형을 바탕으로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 정책을 분석함으로써 정책이 나아갈 방향을 종합적으로 모색하였다. 규범적 차원으로는 인공지능 인재 양성 및 인공지능 소양 함양, 맞춤형 교육 지원을 분석하였고, 구조적 차원으로는 AI교육선도학교, AI융합교육중심고와 학교 내 인공지능 교육 구현을 위한 인프라를 분석하였다. 구성적 차원에서는 중앙정부와 시·도교육청, 교원, 유관기관 및 기업을 분석하였고, 기술적 차원은 교육과정 운영, 교원 양성 및 연수, 교육환경 조성, 제도적 기반 마련으로 나누어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의 학교 현장 안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공지능 융합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는 구체적인 법적,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의 현장 도입을 위해 학회와 연구소, 교원단체를 비롯한 전문가들로 구성된 학문공동체 차원의 역할이 확대되어야 한다. 셋째,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디지털 기기 보급과 교육기회 확대의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학교 내 인공지능 교육 도입은 교사 개인이 아닌 학교장을 비롯한 교원학습공동체를 통해 추진되어야 한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원도교육청(2022). 2022년 인공지능(AI)교육 선도학교 운영 계획 보도자료. | 미소장 |
2 | 경상남도교육청(2021). 경남형 빅데이터・인공지능(AI) 기반 지능형 교육지원시스템 구축 심층 연구. | 미소장 |
3 | 경상남도교육청(2022. 9. 21.). 온라인 수업 도구 활용해 진로 수업 질 높인다 보도자료. | 미소장 |
4 | 과학기술정보통신부(2020. 5. 28.). 초중등 인공지능 교육을 선도하는 교사연구회 운영보도자료. | 미소장 |
5 | 관계부처 합동(2019). 인공지능 국가전략. | 미소장 |
6 | 관계부처 합동(2020a). 인공지능 시대 교육정책방향과 핵심과제. | 미소장 |
7 | 관계부처 합동(2020b). 전 국민 인공지능(AI)・소프트웨어(SW) 교육 확산방안. | 미소장 |
8 | 관계부처 합동(2022).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 | 미소장 |
9 | 권정민, 이영선(2023). ChatGPT시대 인공지능교육정책의 문제점 고찰. 인공지능인문학연구, 13.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 9-38. | 미소장 |
10 | 교육부(2020a). 정보교육 종합계획(안) [2020년~2024년]. 세종: 교육부. | 미소장 |
11 | 교육부(2020b). 2020년 교육부 업무 계획 참고자료. 세종: 교육부. | 미소장 |
12 | 교육부(2020c). 인공지능 융합교육 전문 교사 양성. 세종: 교육부. | 미소장 |
13 | 교육부(2021a). 2021 업무계획: 함께 성장하는 포용사회 내일을 열어가는 미래교육. 세종: 교육부. | 미소장 |
14 | 교육부(2021b). 한국판 뉴딜 ‘그린스마트 미래학교 종합 추진계획’. 세종: 교육부. | 미소장 |
15 | 교육부(2021c).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세종: 교육부. | 미소장 |
16 | 교육부(2022a). 「교육분야 인공지능 윤리원칙」. 세종: 교육부. | 미소장 |
17 | 교육부(2022b). 교육부 업무보고. 교육부 보도자료 2022. 7. 29. | 미소장 |
18 | 교육부(2022c).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 세종: 교육부. | 미소장 |
19 |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2022). 교육통계연보. | 미소장 |
20 | 교육부(2023).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을 위한 디지털 디바이스 보급 환경은 개선되고 있습니다. 세종: 교육부. | 미소장 |
21 | 김성희, 김자미, 이원규(2023). 인공지능(AI) 융합 교육 중심고등학교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진단 도구 개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 6(1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95-108. | 미소장 |
22 | 김상철(2018). 한국의 인성교육정책 변동과정 분석-다차원 교육정책분석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연구발표회논문집, 9. 한국교육행정학회. 166-214. | 미소장 |
23 | 김지선, 하동엽(2022). Cooper 등의 다차원 정책분석모형에 기초한 수석교사제도의 정책 위기 요인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40(1). 한국교육행정학회. 221-247. | 미소장 |
24 | 김현진, 박정호, 홍선주, 박연정, 김은영, 최정윤, 김유리(2020). 학교교육에서 AI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교육공학연구, 36(3). 한국교육공학회. 905-930. | 미소장 |
25 | 남호엽, 조현기(2020). 사회과에서 인공지능교육의 유형화와 현장 적용 탐색. 한국초등교육, 31.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119-133. | 미소장 |
26 | 대구광역시교육청(2022). 제 11대 대구광역시교육감 공약이행계획. | 미소장 |
27 | 대전광역시교육청(2022). 2022년 과학교육 추진 계획. | 미소장 |
28 | 부산광역시교육청(2022). 2022 역점과제. | 미소장 |
29 | 서울특별시교육청(2021a). AI 기반 융합 혁신미래교육 중장기 발전 계획(’21~’25). | 미소장 |
30 | 서울특별시교육청(2021b). 과학교육 중장기 발전계획(’21~’25). | 미소장 |
31 | 이경전(2019). [전문가 포럼] 인공지능 활용법 아는 인재 육성해야. 2019년 8월 29일 보도. https://www.hankyung.com/opinion/article/2019082974231 | 미소장 |
32 | 이경호(2010). 방과후학교 정책분석 및 발전방향 탐색. 열린교육연구, 18(2). 한국열린교육학회. 177-179. | 미소장 |
33 | 이원규, 김자미(2020). AI융합 교육을 위한 교사 교육과정 개발. 한국융합인문학, 8(3). 한국인문사회질학회. 29-52. | 미소장 |
34 | 이재호, 정홍원(2022). 키워드 분석을 활용한 인공지능 교육 정책의 시사점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6(5). 정보교육학회. 397-406. | 미소장 |
35 | 이정민, 정제영(2022). Birkland의 사건 중심 정책학습 모형을 활용한 AI・SW교육 정책변동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 40(3).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121-144. | 미소장 |
36 | 이지수, 주철안(2021). 다차원 정책분석 모형을 적용한 고교 무상교육 정책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489-503. | 미소장 |
37 | 이화진(2016). 지능정보사회 대비 미래 교육정책 방향과 과제 - 인공지능의 교육에의 활용 및 미래 학교교육의 인재육성 방향을 중심으로 -. 한국교육학회 학술대회, 2016. 한국교육학회. 57-63. | 미소장 |
38 | 이현숙, 성정숙, 윤일규(2021). 공공기관(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의 SW・AI 교육정책 현황과 미래. 정보과학회지, 39(9). 한국정보과학회, 57-69. | 미소장 |
39 | 인천광역시교육청(2020). 2020년 인공지능교육발전 3개년 사업. | 미소장 |
40 | 인천광역시교육청(2021a). 2020년 인천광역시교육청 자체평가 보고서. | 미소장 |
41 | 인천광역시교육청(2021b). 2021년 인천교육계획. | 미소장 |
42 | 인천광역시교육청(2022). 2022년 인천교육계획. | 미소장 |
43 | 임다미, 강신천, 이은상(2022). 초・중등 인공지능(AI)교육 학교 적용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 미소장 |
44 | 전인성, 김수환, 송기상(2021). 국내 인공지능 교육 정책 동향 및 기관별 운영 현황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5(1(A)). 한국컴퓨터교육학회. 99-103. | 미소장 |
45 | 제20대 대통력직인수위원회(2022). 윤석열정부 1 10대 국정과제. | 미소장 |
46 | 정제영(2018). (디지털 시대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교육의 시대. 서울: 박영스토리. | 미소장 |
47 | 정제영, 이선복 역(2020).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교육. 서울: 박영스토리. | 미소장 |
48 | 정제영(2021). [특별기획] 교육의 미래, AI융합교육과 교사의 역할. 서울교육. | 미소장 |
49 | 최나리, 박찬우, 강은영(2019). Cooper 등의 다차원 정책분석모형을 활용한 특수교육정책 분석: 경기특수교육정책계획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8(2). 특수교육재할과학연구. 343-364. | 미소장 |
50 | 한선관(2020). 인공지능과 교육,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교육정책포럼, 325. 한국교육개발원. 4-7. | 미소장 |
51 | 홍선주, 조보경, 최인선, 박경진(2020). 학교교육에서 인공지능(AI)의 개념 및 활용.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소장 |
52 | 홍선주(2021). 학교 교육에서 인공지능(AI) 활용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미소장 |
53 | Cooper, B. S., Fusarelli, L. D., & Randall, E. V. (2004). Better policies, better schools: Theories and applications. Boston: Allyn and Bacon. | 미소장 |
54 | Holmes, W. (2019).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Promise and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Symposium conducted at the institute of educational technology, The Open University, UK. | 미소장 |
55 | Holmes, W., Bialik, M., & Fadel, C. ( 2019).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Promises and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Boston: MA, The Center for Curriculum Redesign. | 미소장 |
56 | Luckin, R., Holmes, W., Griffiths, M., & Forcier, L. (2016). Intelligence unleashed: An argument for AI in education. Pearson, UK: London.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